제 목 | 녹색교육, 숲 유치원 | ||
---|---|---|---|
작성자 | 아이미소연구소 | 작성일 | 2011-09-08 16:01:40 |
조회수 | 4,535회 | 댓글수 | 0 |
[산림복지, 이젠 누리자] 1. 녹색교육, 숲 유치원
회색도시 벗어나 대자연을 배운다
덴마크서 시작 자연친화적 교과과정 운영
영서지역 10곳 개설… 지난해 8만명 교육
[강원도민일보 원주] 김기섭 기자 = 최근 ‘1박2일’ 가족과 함께 자연으로 떠나는 캠핑이 신(新) 여가 문화로 자리를 굳히고 있다. 예전까지만 해도 보호 대상이었던 자연을 이제는 사람들이 즐기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 절반 이상의 산림이 모여 있는 강원도는 더 이상 접근하기 힘든 오지나 낙후된 산골마을이 아닌 자연을 즐길 수 있는 최상의 놀이터로 변하고 있다. 이처럼 강원도 산림자원이 주는 자연의 혜택을 살펴보기 위해 강원도민일보와 북부지방산림청은 2011 산림캠페인 ‘요람에서 무덤까지… 산림복지, 이젠 누리자’를 시리즈로 보도한다. 이번 기획은 산림청이 어머니 뱃속에 잉태될 때부터 죽어 자연으로 돌아갈 때까지 생애의 모든 과정에 걸쳐 산림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의 이른바 ‘전 생애 산림복지 체계(Green Welfare 7 Project)’ 가운데 유아기와 청년기, 중·장년기, 회년기에 맞는 자연 활용 방안을 4회에 걸쳐 연재한다.
▲ 인제군 남면 신남리에 조성된 뫼동무 숲유치원. 아이들이 자작나무숲에서 나무에 매단 줄을 갖고 놀고 있다.
한 때 ‘벼나무’, ‘쌀나무’가 농촌이나 자연을 잘 모르는 도시 학생들을 골려먹는 유행어가 된 적이 있다. 그만큼 자연과 떨어진 ‘자연’ 교육이 이뤄진 탓에 ‘벼나무’를 보지 못한 학생이 많았기 때문에 그런 유행어가 생겨났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더 이상 유행어로 존재하지 않는다. 체험학습 열풍을 불면서 웬만한 도심지 학생들도 주말이나 방학 때면 자연으로 떠나 자연학습보고서를 쓰며 이젠 ‘벼나무’ 쯤은 웃어 넘길 것이다.
더구나 최근 아이들의 감성과 창의성이 중요시되면서 자연과의 교감을 통한 전인적 성장발달을 목적으로 하는 숲을 활용한 녹색교육이 부모들 사이에서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런 사회적 요구에 따라 산림청이 유아대상 녹색교육을 목적으로 조성한 것이 ‘숲유치원’이다. 국유림마다 조성된 숲 유치원은 딱딱한 콘크리트 건물을 벗어나 자연속에서 뛰어놀며 자연을 공부할 수 있는 최고의 놀이터로 학부모나 유치원생들에게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숲유치원이 국내 국유림에 도입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북부지방산림청은 지난 2008년 국가기관으로는 처음으로 숲 유치원을 강원 영서와 수도권 국유림에 도입, 시범 운영하고 있다.
국유림에 숲유치원을 조성하게 된 이유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잘 조성된 숲이 있고 숲해설가가 나무와 풀 등 자연을 아이들에게 설명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숲의 활용도를 다양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녹색교육 패턴을 개발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지난해부터 전국 국유림에 숲유치원이 속속 들어서고 있다. 숲유치원이 유아들에게 최고의 배움터가 되면서 녹색 교육프로그램도 도입됐다. 자연 그대로인 숲에서 아이들이 맘껏 뛰놀고 활동하며 만지고, 보고, 듣고, 맛보고, 느끼는 오감(五感)을 통해 스스로 배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또 자연체험 학습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인공시설보다는 자연체험 위주의 시설물을 갖추고 형식이나 규칙, 통제와 제한은 최소화해 아이들이 자연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숲유치원은 산림선진국인 유럽에서 먼저 시작됐다. 1950년 덴마크의 작은 마을에 살던 한 엄마가 자신의 아이들과 마을 아이들을 데리고 숲속 체험활동을 한 데서 시작됐다고 한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숲유치원이 활성화된 것은 1980년대부터다. 덴마크에서는 이때 숲유치원 설립이 활성화돼 현재 60여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독일은 정부가 2003년 정식 유치원으로 인정하면서 현재 1000여개의 숲유치원이 운영되고 있다.
스웨덴도 정부가 현재 유치원을 포함해 초등학교 교과과정의 40% 정도를 자연친화적인 교육으로 진행할 것을 권유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300여개의 숲유치원이 운영되고 있다.
국내 국유림에서 산림청이 운영하는 숲유치원의 경우 대부분 정식 유치원으로 등록돼 있지 않다.
북부지방산림청이 운영하는 숲유치원은 하루 2∼3시간 정도 1주일에 한번 또는 2주일에 한번씩 정규 유치원의 원생들이 이곳을 찾는 형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는 부분적으로 숲유치원이 운영되고 있지만 조만간 한국형 숲유치원도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
북부지방산림청은 한국에 맞는 숲유치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숲유치원 형태를 국유림현장에서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체험형 숲유치원으로 꼽히고 있는 곳이 춘천시 남산면 강촌의 ‘숲속다람쥐 학교’다.
숲속다람쥐 학교는 춘천 강촌 임도변에 위치한 숲유치원으로 수중생물공간이 조성돼 있고 흙놀이터와 오솔길, 나무이름표 등 60여개의 숲해설 안내판이 설치돼 있어 숲교육 장소로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 학부모들의 인지도도 높은 편이다.
이와 함께 매일반 형태의 숲유치원도 연구개발 중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인천의 청량산 숲유치원에서 30여명의 아이들이 매일 청량산 숲유치원에서 오전 9시부터 낮 12시30분까지 활동하고 있다. 말 그대로 교실 없는 숲유치원이다. 이곳 아이들은 일반 유치원을 ‘집유치원’이라고 이야기한다고 한다. 현재 10명의 졸업생이 배출된 상태로 북부지방산림청은 지속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형 숲유치원 모델을 보급할 계획이다.
북부지방산림청이 운영하는 숲유치원은 강원 영서지역과 서울, 경기를 포함해 14곳이다.
강원 영서지역에는 북부지방산림청이 직접 운영하는 원주시 흥업면 매지 숲유치원과 횡성군 둔내면 숲체원 등 두 곳을 비롯해 춘천국유림관리소와 홍천국유림관리소, 인제국유림관리소, 양구국유림관리소 등에 모두 10개의 숲유치원이 개설돼 있다.
또 서울국유림관리소에는 인천 연수구 청량산 숲유치원과 서울 노원구 수락산 숲유치원, 서울 성북구 북악산 숲유치원 등 3곳이 조성됐으며 수원국유림관리소는 수원 장안구에서 장안 숲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08년 숲유치원 도입 당시에는 1만3000여명이 국유림을 찾아 녹색교육을 받았으나 지난해에는 7만9000여명으로 5배이상 급격히 증가했다. 현장에 함께 온 학부모들이나 보육기관 관계자들의 호응도 크게 높아지고 있다.
북부지방산림청 관계자는 “숲유치원은 지역별 자연여건에 따라 다르지만 오감을 통해 자연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며 “숲유치원에 다닌 후부터 아이들이 잘 먹고 잘 자고 감기가 줄고 적극적이 됐다며 만족해 하는 부모들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숲유치원에 대한 정보는 산림휴양포털사이트인 숲에ON(http://www.foreston.go.kr/)과 북부지방산림청 블로그(http://blog.daum.net/northforest4u)에서 얻을 수 있다.
■ 북부지방산림청 관내 숲유치원
관리 기관 |
숲유치원 명칭 |
소 재 지 |
인터넷 카페 |
북부지방산림청 |
매 지 숲유치원 |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 산9 |
http://cafe.naver.net/wonjumaejisup |
숲체원 숲유치원 |
횡성군 둔내면 삽교리 산1-13 |
- |
|
춘천국유림관리소 |
숲속다람쥐학교 |
춘천시 남산면 강촌리 산136-1 |
http://cafe.daum.net/withsup |
검 봉 숲유치원 |
춘천시 남산면 백양리 산97 |
- |
|
홍천국유림관리소 |
삼마치 숲유치원 |
홍천군 홍천읍 삼마치리 산47-1외1 |
http://cafe.daum.net/sammachforest |
어 론 숲유치원 |
홍천군 서석면 어론리 산132-1 |
- |
|
매화산 숲유치원 |
홍천군 홍천읍 상오안리 |
- |
|
인제국유림관리소 |
뫼동무 숲유치원 |
인제군 남면 신남리 산36외1 |
http://cafe.daum.net/inje-soop |
양구국유림관리소 |
푸르미 숲유치원 |
양구군 양구읍 학조리 503-1 |
http://cafe.daum.net/soop-kid-old |
팔 랑 숲유치원 |
양구군 동면 팔랑리 65-3 외21 |
- |
|
서울국유림관리소 |
청량산 숲유치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 산55-4외3 |
http://cafe.daum.net/insansamo |
수락산 숲유치원 |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 산1-1외1 |
http://cafe.naver.com/foresters |
|
북악산 숲유치원 |
서울시 성북구 정릉동 산87-1 |
- |
|
수원국유림관리소 |
장 안 숲유치원 |
수원시 장안구 하광교동 산77-4 |
-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