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강원교육감 “유치원·초등 무상급식 내년부터 실시” | ||
---|---|---|---|
작성자 | iadmin5 | 작성일 | 2010-07-14 00:00:00 |
조회수 | 2,945회 | 댓글수 | 0 |
강원교육감 “유치원·초등 무상급식 내년부터 실시”
학생·학부모 찬성하면 2012학년도 고교평준화
[경향신문] 최승현 기자 = 강원도 내 초등학생들은 내년부터 전원 무상급식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오는 2012학년도 고입전형부터 고교평준화가 도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병희 강원도교육감은 12일 이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도교육청 기본운영 방향 및 주요 추진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민 교육감은 이날 강원도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4년의 임기 동안 무상급식, 고교평준화, 혁신학교 운영,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 4대 핵심과제 추진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무상급식은 오는 2011년 유치원(공립)·초등학교부터 시작해 2012년 중학교, 2013년 고등학교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민 교육감은 “무상급식 실시에 따른 소요예산의 50%는 도교육청이 부담하고 나머지 50%는 강원도와 기초자치단체에 분담을 요청할 계획”이라며 “오는 8월 초까지 지자체와 협의틀을 만들어 예산확보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부터 중·고등학교까지 무상급식을 실시하려는 자치단체가 있을 경우 추가적인 대응 투자를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 교육감은 “학생과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 50% 이상이 찬성할 경우 오는 2012년 고입전형부터 고교평준화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조기 과열 입시경쟁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조속한 시일 내에 고교평준화를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 민 교육감의 평소 신념이다.
이밖에 민 교육감은 “오는 2010년 8~10개가량의 혁신학교를 시범 운영하고 단계적으로 늘려나갈 생각”이라며 “오는 2011년 2월까지 학생인권조례안을 제정해 강원도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1만여명에 달하는 강원도 내 초·중·고 학생들에게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할 경우 강원도교육청의 한 해 가용예산과 맞먹는 1046억여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돼 자치단체의 지원 여부에 따라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경향신문] 최승현 기자 = 강원도 내 초등학생들은 내년부터 전원 무상급식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오는 2012학년도 고입전형부터 고교평준화가 도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병희 강원도교육감은 12일 이 같은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 ‘도교육청 기본운영 방향 및 주요 추진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민 교육감은 이날 강원도교육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4년의 임기 동안 무상급식, 고교평준화, 혁신학교 운영,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 4대 핵심과제 추진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우선 무상급식은 오는 2011년 유치원(공립)·초등학교부터 시작해 2012년 중학교, 2013년 고등학교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민 교육감은 “무상급식 실시에 따른 소요예산의 50%는 도교육청이 부담하고 나머지 50%는 강원도와 기초자치단체에 분담을 요청할 계획”이라며 “오는 8월 초까지 지자체와 협의틀을 만들어 예산확보 방안을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부터 중·고등학교까지 무상급식을 실시하려는 자치단체가 있을 경우 추가적인 대응 투자를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 교육감은 “학생과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 50% 이상이 찬성할 경우 오는 2012년 고입전형부터 고교평준화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조기 과열 입시경쟁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조속한 시일 내에 고교평준화를 시행해야 한다는 것이 민 교육감의 평소 신념이다.
이밖에 민 교육감은 “오는 2010년 8~10개가량의 혁신학교를 시범 운영하고 단계적으로 늘려나갈 생각”이라며 “오는 2011년 2월까지 학생인권조례안을 제정해 강원도의회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1만여명에 달하는 강원도 내 초·중·고 학생들에게 전면 무상급식을 실시할 경우 강원도교육청의 한 해 가용예산과 맞먹는 1046억여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돼 자치단체의 지원 여부에 따라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