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유·초·중·고 100명중 1명 특수교육 필요 | ||
---|---|---|---|
작성자 | iadmin | 작성일 | 2009-02-26 00:00:00 |
조회수 | 2,906회 | 댓글수 | 0 |
교육과학기술부와 국립특수교육원은 통계청과 합동으로 '2008년 특수교육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학령인구(940만8624명)의 0.95%(8만9051명)가 특수교육 요구 대상자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특수교육 요구학생 가운데 취학 학생 수는 7만7764명으로 87.3%를 차지했고, 나머지 1만1287명(12.7%)은 미취학 아동으로 분류됐다.
취학 학생 중 7만1484명(91.9%)은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돼 지원을 받고 있으나 6280명(8.1%)은 특수교육이 필요함에도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유아 9445명(10.6%), 초등학생 4만378명(45.3%), 중학생 1만9058명(21.4%), 고등학생 2만170명(22.6%) 등으로 집계됐다.
장애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는 '만1세~3세 미만'(20.5%)이며, '만3세~만6세 미만'(16.9%), '출생~만1개월 미만'(16.1%), '만2개월~1세 미만'(13.5%) 순으로 많았다.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가장 많이 제공받는 치료지원은 언어치료(22.1%)이며, 가장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영역은 여가활동 서비스(23.1%)로 조사됐다.
특수교육을 위해 한 가구당 6개월 동안 지출한 교육비는 50만원 미만(30.2%)이 가장 많았고 '없다'고 응답한 비율도 19.8%에 달했다.
그러나 100만원 이상 지출한다는 가구도 32.1%나 돼 교육비 지출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교과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대상자들에 대한 취학 지원과 상담을 강화하기로 했다. 2007년 5월 공포된 '장애인특수교육법'에서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돼 있다.
특수교육 요구학생 가운데 취학 학생 수는 7만7764명으로 87.3%를 차지했고, 나머지 1만1287명(12.7%)은 미취학 아동으로 분류됐다.
취학 학생 중 7만1484명(91.9%)은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돼 지원을 받고 있으나 6280명(8.1%)은 특수교육이 필요함에도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유아 9445명(10.6%), 초등학생 4만378명(45.3%), 중학생 1만9058명(21.4%), 고등학생 2만170명(22.6%) 등으로 집계됐다.
장애 발생이 가장 많은 시기는 '만1세~3세 미만'(20.5%)이며, '만3세~만6세 미만'(16.9%), '출생~만1개월 미만'(16.1%), '만2개월~1세 미만'(13.5%) 순으로 많았다.
특수교육 관련 서비스 중 가장 많이 제공받는 치료지원은 언어치료(22.1%)이며, 가장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영역은 여가활동 서비스(23.1%)로 조사됐다.
특수교육을 위해 한 가구당 6개월 동안 지출한 교육비는 50만원 미만(30.2%)이 가장 많았고 '없다'고 응답한 비율도 19.8%에 달했다.
그러나 100만원 이상 지출한다는 가구도 32.1%나 돼 교육비 지출 격차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교과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 대상자들에 대한 취학 지원과 상담을 강화하기로 했다. 2007년 5월 공포된 '장애인특수교육법'에서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돼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