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국립대 부설학교 공립화 반발 확산 | ||
---|---|---|---|
작성자 | iadmin | 작성일 | 2008-12-10 00:00:00 |
조회수 | 3,506회 | 댓글수 | 0 |
서울대 사범대 교수 110명 “철회·장관 사퇴” 촉구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 중인 국립대 부설 유치원과 초·중·고 공립화를 두고 정부와 대학 간 충돌이 본격화되고 있다.
서울대 사범대 교수들은 긴급 성명을 통해 안병만 교과부 장관의 사퇴까지 요구하고 나섰고, 다른 사범대학들도 이에 동참할 태세다. 해당 학교 교사와 학부모들의 반발도 거세다. 앞서 교과부는 지난 4일 각 국립대 부설학교, 교대 부설초등학교 등 부설학교 40곳과 국립공고 3곳 등 모두 43곳을 공립학교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었다.
서울대 사범대 학장단은 9일 기자회견을 갖고 공립화 추진안 철회와 안 장관 퇴진을 요구했다. 이들은 사범대 전체 교수 110명 명의로 된 성명서에서 "교육 실습·실험의 장인 부설학교가 없는 사범대학은 실험·실습실 없는 이공계 대학과 마찬가지"라며 "교육의 근간이 되는 정책을 제대로 된 의견 수렴도 없이 밀어붙인 장관은 교육 수장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교수들은 교과부가 중대 사안을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대 조영달 사범대학장은 "지속적으로 반대 의견을 밝혔지만 이를 철저히 무시했다"며 "교과부는 국립학교 교감 및 행정실장 등과 의견을 조율했다고 하지만 이들은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대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다른 사범대학들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부산대 김부윤 사범대학장은 "학교 전체 교수들로부터 '공립화 반대' 서명을 받고 있으며 장관 퇴진운동 동참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안동대 현태덕 사범대학장도 "반대 성명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해당 초·중·고 교사들도 반발하고 있다. 서울교대부설초등학교 고성욱 교감은 "공립화되면 국립학교 고유 기능이 사라질 것"이라며 "기득권 때문에 공립화를 반대한다고 말하는데 소속이 교과부에서 시·도 교육청으로 바뀔 뿐 교원 신분은 동일하다. 신분상 불이익 때문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학부모들은 교육 수준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학부모 김모씨는 "현재 부설초등학교는 공립학교 선생님들 중 최고 수준의 교사만 데려오는데 공립화가 되면 하향평준화될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이제껏 해오던 실험·실습 학교의 기능은 협약을 맺어 계속 진행하면 된다"며 "공립화는 초·중등교육과 관련된 국가업무를 지방에 이양하고 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원철 권지혜 기자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 중인 국립대 부설 유치원과 초·중·고 공립화를 두고 정부와 대학 간 충돌이 본격화되고 있다.
서울대 사범대 교수들은 긴급 성명을 통해 안병만 교과부 장관의 사퇴까지 요구하고 나섰고, 다른 사범대학들도 이에 동참할 태세다. 해당 학교 교사와 학부모들의 반발도 거세다. 앞서 교과부는 지난 4일 각 국립대 부설학교, 교대 부설초등학교 등 부설학교 40곳과 국립공고 3곳 등 모두 43곳을 공립학교로 전환하겠다고 밝혔었다.
서울대 사범대 학장단은 9일 기자회견을 갖고 공립화 추진안 철회와 안 장관 퇴진을 요구했다. 이들은 사범대 전체 교수 110명 명의로 된 성명서에서 "교육 실습·실험의 장인 부설학교가 없는 사범대학은 실험·실습실 없는 이공계 대학과 마찬가지"라며 "교육의 근간이 되는 정책을 제대로 된 의견 수렴도 없이 밀어붙인 장관은 교육 수장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교수들은 교과부가 중대 사안을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서울대 조영달 사범대학장은 "지속적으로 반대 의견을 밝혔지만 이를 철저히 무시했다"며 "교과부는 국립학교 교감 및 행정실장 등과 의견을 조율했다고 하지만 이들은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대표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다른 사범대학들의 분위기도 비슷하다. 부산대 김부윤 사범대학장은 "학교 전체 교수들로부터 '공립화 반대' 서명을 받고 있으며 장관 퇴진운동 동참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안동대 현태덕 사범대학장도 "반대 성명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해당 초·중·고 교사들도 반발하고 있다. 서울교대부설초등학교 고성욱 교감은 "공립화되면 국립학교 고유 기능이 사라질 것"이라며 "기득권 때문에 공립화를 반대한다고 말하는데 소속이 교과부에서 시·도 교육청으로 바뀔 뿐 교원 신분은 동일하다. 신분상 불이익 때문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학부모들은 교육 수준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학부모 김모씨는 "현재 부설초등학교는 공립학교 선생님들 중 최고 수준의 교사만 데려오는데 공립화가 되면 하향평준화될 수밖에 없다"고 걱정했다.
이에 대해 교과부 관계자는 "이제껏 해오던 실험·실습 학교의 기능은 협약을 맺어 계속 진행하면 된다"며 "공립화는 초·중등교육과 관련된 국가업무를 지방에 이양하고 학교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원철 권지혜 기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