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비
`
  • 상담문의
제 목 전국 18개 지자체 국공립 보육시설 전무
작성자 iadmin5 작성일 2008-08-27 00:00:00
조회수 3,630회 댓글수 0

전국 18개 지자체 국공립 보육시설 전무

▲ CNB뉴스,CNBNEWS ,씨앤비뉴스

서민들의 보육을 지원해야 할 국공립 보육시설 보유현황이 지자체별로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미경 의원(한나라당, 수원 권선구)이 보건복지가족부로부터 제출받은 “2007년 12월말 현재, 시군구별 국공립보육시설 현황”에 따르면, 전국 232개 시군구의 영유아(0세~5세)는 총 2,875,966명인데 비해, 국공립보육시설은 1,698개소(정원 133,417명)에 그쳐 영유아 22명 중 한명 꼴로 국공립 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남 9개 군, 충남 5개 군 등 전국적으로 총 18개 군에는 국공립 보육시설이 전무했으며, 대전시 유성구의 경우 지역 내 19,950명의 영유아가 있는데도 국공립 보육시설은 단 1개소(정원 40명)만이 있어 498.8 대 1의 비율을 보였다. 500명의 영유아 중 단 한 명만이 국공립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셈이다.

반면, 경기도 양주시는 2,727명의 영유아 대비 국공립 보육시설 12개소(정원 834명)로 3.3, 서울 중구와 종로구는 각각 3.3(6,156명 대비 16개소 1,872명), 3.7(6,630명 대비 24개소 1,806명) 대 1의 낮은 비율을 나타내 상대적으로 국공립 보육시설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별로는 서울이 10.4 대 1로 가장 시설 보유율이 높았으며, 대구가 73.2 대 1로 가장 보유율이 낮았다.

정미경 의원은 “해당 가정의 소득수준이나 민간 보육시설․유치원․기타 각종 학원들의 보육기능을 고려하면, 이 비율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라고 전제하면서, “그러나, 국가가 중산층 이하 저소득층의 보육을 가장 잘 지원할 수 있는 것이 국공립 보육시설임을 고려할 때, 국공립 보육시설 수의 부족이나 지역적 불균형이 너무 크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또 “국공립 보육시설의 설립을 위한 예산이 정부-광역-기초 지자체 분담형태로 되어 있어서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의 보육시설 설립이 어렵다는 지적이 많다”면서, “지자체별 재정자립도와 국공립 보육시설 보유율을 고려하여 분담금의 차등이 있도록 관련 법제를 개선하고 정책 집행의 유연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목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계 소식 목록

Total 7,621건 453 페이지
교육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43 초중고 병설유치원 의무 설립 추진 iadmin5 08-09-05 4839
842 유치원도 똑같이 지원을 iadmin5 08-09-04 3492
841 초등생 갈수록 줄어든다 iadmin5 08-09-04 2971
840 유아 공교육 활성화 대책 시급 iadmin5 08-09-02 3334
839 영유아 51만명에 月10만원 양육수당 iadmin5 08-09-02 3457
838 2학기가 시작되었어요~ holylove 08-09-01 3467
837 신흥주거단지 병설유치원 신설 시급 iadmin5 08-09-01 3496
836 넘치는 보육시설 ‘질 저하’ 우려 iadmin5 08-09-01 2988
835 어린이집 평가 인증제 본궤도에 iadmin5 08-08-29 3478
834 2살 이하 보육시설 ‘보조금 대란’ iadmin5 08-08-29 2989
833 국공립 보육시설 아동 인구 대비 정원은 태부족 iadmin5 08-08-28 3375
832 정부, 교원 명퇴자 급증 비상 iadmin5 08-08-27 3414
831 공무원 명퇴 급증… 예산 벌써 ‘바닥’ iadmin5 08-08-27 3429
열람중 전국 18개 지자체 국공립 보육시설 전무 iadmin5 08-08-27 3632
829 교사 지망생 ‘장애인 특수교육’ 의무화 iadmin5 08-08-26 3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