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맞벌이 직장인 10명중 3명 부모에게 양육 맡겨 | ||
---|---|---|---|
작성자 | iadmin2 | 작성일 | 2007-11-26 00:00:00 |
조회수 | 2,831회 | 댓글수 | 0 |
맞벌이 직장인 10명 중 3명은 부모에게 아이의 양육을 맡기고 있지만 직장 보육시설의 혜택을 받는 직장은은 고작 2.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크루트(www.incruit.com)는 최근 엠브레인(www.embrain.com)과 함께 자녀가 있는 직장인 1천59명을 대상으로 ‘맞벌이 직장인의 자녀양육과 부모 의존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29.0%(173명)가 아이를 부모에게 맡기고 있다는 응답을 해 왔다고 25일 밝혔다. 이어 구립 또는 사설 어린이집(유치원)을 이용하는 사람이 24.7%(147명)로 그 뒤를 이었지만 직장 보육시설의 혜택을 받고 있는 사람은 2.3%(14명)에 불과했다. 또한 맞벌이의 경우는 49.3%, 외벌이의 경우는 38.9%로 맞벌이 직장인일수록 부모와 함께 살거나 부모 집 인근에 사는 사람이 많았다. 이유는 양육과 직장생활을 병행하기 위한 것. 맞벌이의 경우 부모와 함께 살거나 근처에 사는 이유에 대해서 ‘육아 및 살림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38.8%(114명)로 가장 많았다. ‘부모를 모시기 위해서’라는 응답도 37.8%(111명)이었으며 ‘주택마련 등 경제적 이유’로 함께 한다는 사람도 16.7%(49명)이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도 부모로부터 육아, 살림은 물론 경제적인 도움을 받는 맞벌이 직장인이 절반 이상(55.5%)이나 되는 것. 반면 외벌이는 ´육아 및 살림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19.4%에 머무는 대신 ´부모님을 모시기 위해´ 함께 살거나 근처에 사는 경우가 절반 가까이(48.9%) 됐다. 이처럼 부모에게 의지하는 맞벌이 직장인이 절반 이상이나 되는 가운데, 맞벌이 직장인 10명중 약 2~3명(25.8%, 154명)은 ‘부모의 도움이 없으면 맞벌이가 불가능하다’고 응답해,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 아이를 부모에게 맡기고 있는 맞벌이 직장인일수록 부모의 도움이 없으면 직장생활이 불가능(48.6%)하다고 답해,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