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목 | 초등학교 의무교육 맞아? | ||
---|---|---|---|
작성자 | iadmin2 | 작성일 | 2007-10-23 00:00:00 |
조회수 | 2,551회 | 댓글수 | 0 |
서울 시내 공립초등학교 교육경비의 3분의 2 가량을 학부모들이 내고 있어, 의무교육 제도의 취지가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서울지부는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받은 ‘연도별 공립초등학교 예산편성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5~2007년 서울 526개 공립초교 전체 예산은 연평균 5951억원이었다고 22일 밝혔다. 이 가운데 학부모들이 낸 예산(수익자부담 경비)은 연 평균 3706억원으로 62.3%였으나, 학교 부담 예산(공부담 경비)은 2245억원으로 37.7%에 그쳤다. 2007년 서울 전체 초교(공립 526곳, 사립 40곳, 국립 2곳)의 수익자부담 경비 내역을 보면 급식비가 54.1%였고, 특기·적성교육 활동비(21.1%), 청소년단체활동비·어린이신문대금 등 기타 수익자부담 경비(17.3%), 수련활동·수학여행 등 현장학습비(7.6%) 차례였다. 학생 1인당 부담 비용은 2005년 54만원, 2006년 58만원에서 2007년 66만원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특기·적성교육 활동비는 2005년 679억원에서, 2006년 797억원, 올해 929억원으로 늘었다. 학교급식비, 현장학습비도 지난해보다 각각 9.3%, 14.2% 증가했다. 민경대 전교조 서울지부 초등위원장은 “특기·적성교육이나 현장학습 등은 교육활동의 연장이므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경비를 내는 게 맞다”며 “선심성·전시성·낭비성 예산 제거, 투명한 회계 집행 등으로 예산을 절감해 공교육 부담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홍성희 서울시교육청 초등교육정책과 장학관은 “예산 부족으로 쉽지 않으나 공교육 부담을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