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표집 多段階標集 multi-stage sampling
|
1. 군집표집에 이어서 군집(cluster)이 여러 상?하위 단계로 나누어질 때 최종 단위의 표집대상을 직접적으로 표집하지 않고 각 단계에서 표집하는 방법 2. 예 : 서울 시내 초등학교 5학년의 수학 학력을 조사하는 경우, 학생은 단순무선 표집방법으로 직접적으로 선정하지 않고, 먼저 학교를 표집하고, 다음 각 학교 내에서 학급을 표집하고 다시 각 학급 내에서 학생을 무선적으로 표집할 수가 있다. 3. 이와 같이 최종분석 단위의 표집을 위하여 학교?학급이라는 상위단위의 표집과정을 거치는 표집방법을 다단계 표집방법이라 부른다. 4. 물론 각 단계의 표집방법은 군집표집?유층표집 등의 여러 가지 표집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집의 단계를 몇 번 거치느냐에 따라 2단계(two-stage) 또는 3단계(three-stage or tertiary) 표집이라고 부른다. |
다매체 접근법 多媒體接近法 multi-media approach
|
1. 수업과정에 어떤 단일 매체만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과정의 단계마다 갖는 특성에 따라 많은 수업매체를 다양하게 종합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접근하는 수업 2. 다매체 접근법에 의한 수업체제의 구상으로는 브리그스(L.J. Briggs)의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⑴ 목표의 진술, 목표기준, 검사의 제작, 학습목표의 구조와 계열의 분석, 선행학습 능력의 확인, 진단검사와 보충 프로그램의 제작, 매체선정 및 수업처방, 학습자료 개발, 수정보완, 평가작업 등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 중에서 목표의 특성과 학습 내용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매체를 선정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⑵ 어떤 한 매체를 미리 상정하고 학습내용을 조정하는 것과는 반대되는 입장이다. |
단기 기억 短期記憶 short term memory
|
1. 감각통로를 통해 투입된 정보가 단기간 저장되는 기억과 과정 2. 일차적 기억(primary memory) 3. 단기 기억은 대체로 정보를 20~30초 정도 저장하며, 이 기간 동안 활발한 정보처리 현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단기 기억을 일명 「워킹 메모리」라고도 한다. 4. 단기 기억의 특징은 그 수용능력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고(7±2 정보단위), 단기 기억장치(short-term-store)에 저장된 정보는 반복시연(反復試演, rehearsal)이 없는 한 곧 기억흔적이 소멸되기 쉽고, 정보처리 부담이 늘어남에 따라 새로이 투입된 정보는 장기 기억에 이르지 못하고 쉽게 망각된다고 한다. |
단선형 학제 單線型學制 single ladder system
|
1. 학교계통이 모든 국민을 위하여 단일의 계통 또는 계제(階梯)로 일원화되어 있는 형태 2. 이 형태는 여러 가지 종류의 학교들이 존립하는 경우에는 동일의 단계에 있는 학교들 사이에 근본적인 성격의 차이가 없고 교육연한도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단계의 학교에서 상급단계의 학교로 진학할 수 있는 길이 열려져 있는 민주사회에 적합한 교육제도라고 할 수 있다. 3. 미국?일본?소련 등과 미국과 소련의 문화적 영향을 많이 받은 여러 나라에서 단선형 학제가 널리 시행되고 있고, 그리고 전통적으로 복선형(復線型) 학제를 취하고 있는 유럽이나 유럽형 학제를 택하고 있는 여러 나라에서도 기초 교육의 전부 또는 일부는 통일학교를 이루고, 상부구조만 복선형화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며, 이들 국가들도 학제의 단선형화를 촉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단원 單元 unit 1. 교수-학습장면에 있어서 일정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학습 내용 및 경험을 전체성과 통일성을 지니도록 조직해 놓은 분절(分節) 2. 전체성과 통일성의 기초를 학습되는 내용에 두고 있느냐, 학습자의 경험에 두고 있느냐, 혹은 내용과 경험에 균등히 두고 있느냐에 따라 교과형 단원, 경험형 단원, 학문형 단원으로 나누어진다. |
단원 單元 unit
|
1. 교수-학습장면에 있어서 일정한 과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학습 내용 및 경험을 전체성과 통일성을 지니도록 조직해 놓은 분절(分節) 2. 전체성과 통일성의 기초를 학습되는 내용에 두고 있느냐, 학습자의 경험에 두고 있느냐, 혹은 내용과 경험에 균등히 두고 있느냐에 따라 교과형 단원, 경험형 단원, 학문형 단원으로 나누어진다. |
단체교섭 團體交涉 collective bargaining
|
1. 노동조합(勞動組合)의 대표자가 소속 조합원의 노동조건과 기타 요구조건에 관하여 경영자와 대등한 입장에서 교섭하는 것 2. 오늘날 노동조합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로(經路)로 되어 있다. 3. 노동조합은 당초에 경제적 약자의 단결체로서 성립된 것이지만 단체교섭권이 법률에 의하여 보장됨으로써 하나의 사회세력으로서 자본가나 경영자에 대응할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4. 오늘날 단체교섭권은 단결권?단체행동권과 함께 노동의 삼권으로서 법률의 보장을 받는 것이 보통이다. 5. 단체교섭의 취급 대상이 되는 것 : 주로 임금?노동시간?조합원의 인사기준과 같은 노동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포함한다. |
단체교섭 團體交涉 collective bargaining
|
1. 노동조합(勞動組合)의 대표자가 소속 조합원의 노동조건과 기타 요구조건에 관하여 경영자와 대등한 입장에서 교섭하는 것 2. 오늘날 노동조합이 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경로(經路)로 되어 있다. 3. 노동조합은 당초에 경제적 약자의 단결체로서 성립된 것이지만 단체교섭권이 법률에 의하여 보장됨으로써 하나의 사회세력으로서 자본가나 경영자에 대응할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4. 오늘날 단체교섭권은 단결권?단체행동권과 함께 노동의 삼권으로서 법률의 보장을 받는 것이 보통이다. 5. 단체교섭의 취급 대상이 되는 것 : 주로 임금?노동시간?조합원의 인사기준과 같은 노동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포함한다. |
대교수학 大敎授學 Didactica Magna
|
1. 1632년 코메니우스(J.A. Comenius, 1592-1670)가 저술한 세계 최초의 교육학 이론서 2. 이 책은 모두 3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인간형성과 교육(1-7), 학교교육의 필요성과 보편성(8-10), 학교의 병폐와 학교 개혁의 가능성(11-12), 자연질서에 따른 교수법의 원리(13-19), 교과영역별 교수법(20-26), 교육제도와 각급 학교의 조직운영(27-31), 그리고 교수법의 보편성과 필요조건(32-3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이 책의 기본 기조는 적령기의 모든 남녀가 내세(來世)를 위한 준비로서 지식과 덕과 경건(敬虔)을 길러야 한다는 것, 이를 위해 집단적인 학교교육이 공통적으로 베풀어져야 한다는 것, 집단교육을 위해 자연질서에 따른 교수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해 연령별로 학교를 단계화 하여야 한다는 것 등에 있다. 4. 주요사항 ⑴ 신분이나 계급과는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모든 것을 가르치는 교육, 즉 보통의무교육제도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⑵ 교수-학습에서 아동의 자발성과 직관의 원리, 자연의 질서에 따른 합자연의 원리를 강조하였다. ⑶ 학교를 아동발달의 특징과 심리적 성숙단계에 따라 6년간씩 4기로 단계화 해야 한고 주장하였다. ⑷ 훌륭한 교사의 양성이 사회가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라고 보았다. ⑸ 학교를 위하여 보다 많은 재화(財貨)가 사용되어야 함을 강조 하였다. 5. 이 책은 당대의 가장 뛰어난 감각적 실학주의 학자 코메니우스의 저작이었는데도 19세기 중반까지 그의 이론을 실천하고 있던 교사들에게조차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의 근대교육에 미친 영향은 지대한 것이다. |
대리강화 代理强化 vicarious reinforcement
|
1.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행동의 결과를 알게 됨으로써 그와 같은 행동을 하게 될 확률이 증가되는 것 2. 관찰 학습 또는 대리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자극이 제공되는 강화라고 할 수도 있다. |
대리적 시행착오 代理的試行錯誤 vicarious trial-and-error ; VTE
|
1. 직접적인 행동 대신 정신적 예행(豫行)을 하는 것. 동물이 미로(迷路)에서 선택적인 행동을 해야만 되는 경우 「단행」하기에 앞서 주저하고 망설이고 비교하는 등의 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2. 톨맨(E.C. Tolman)의 기호학습설(記號學習設)의 한 증거로 제시된다.?기호학습설 |
대리적 학습 代理的學習 vicarious learning
|
1. 타인이 어떤 특정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자신이 직접 경험을 하지 않고도 똑같은 반응을 하는 것 2. 반두라(A. Bandura)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의 반응 목록 속에 갖고 있지 않은 반응도 대리적 학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3. 인간은 다른 사람을 관찰하는 것 이외에도 책이나 영화?TV?라디오 등을 통해서 많은 대리적 학습을 한다. ? 대리적 학습은 사회학습 또는 관찰학습이라고도 한다. |
대중 大衆 mass
|
1. 매스컴의 청중과 같이 대중적 행동에 참여하는 많은 수의 사람들. 현대사회의 특징적 구성원으로서 대중사회라는 말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사회조직은 가지지 않으며 비교적 획일적인 방식으로 공통된 문화자극에 반응한다. 2. 대중의 특성 ⑴ 그 구성원은 모든 사회계층을 망라하며, 지위?직업?문화배경?경제상태?생활양식 등이 서로 다른 사회성원들이 다양하게 포함된다. ⑵ 대중은 익명(匿名)의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이다. ⑶ 대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 성원간에는 상호작용이나 경험의 교환이 거의 없으며, 물리적으로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⑷ 대중은 매우 엉성한 구성체로서 일치된 행동이나 통합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3. 대중의 성격은 혁명군(革命軍)과 같이 어떤 통일성을 가지고 공통목표를 지향해 가는 행동적 군중(群衆, crowd)과 좋은 대조를 이룬다.?대중사회 |
대중교육 大衆敎育 mass education
|
1. 모든 아동을 위해 공비(公費)로 지원된 교육, 또는 대규모의 집단이나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2. 산업혁명 이후 광범위한 양질(良質)의 노동력에 대한 필요에서 보편화되기 시작했다. 3. 대중 고등교육은 많은 학생 수를 수용하고, 자유로운 입학정책을 채택한 고등교육 제도를 가리키며, 그 특징으로는 독립된 단위 과정?단위 이수증(履修證)?학과 변경 및 학교 이동의 자유 등을 들 수 있다. 4. 이러한 교육형태는 일정한 자격을 구비한, 제약된 소수의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는 엘리트 교육과 대조가 된다. |
대중매체 大衆媒體 mass media
|
1. 청중의 정확한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채 시각 및 청각적인 메시지가 청중들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모든 비개인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2. 대중매체에는 텔레비젼?라디오?영화?신문?잡지?서적 등이 포함된다. 3. 비개인적인 통신수단이므로 연극, 개인적인 회화, 공중연설 등은 제외되며, 대중매체는 매우 값싸게 누구에게나 전달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대중사회 大衆社會 mass society
|
1. 산업화 과정의 촉진, 민속사회(民俗社會)의 붕괴, 지역적 유대의식의 해이 등에서 연유된 거대한 현대의 정치적?사회적 단위 2. 사회적 특징 : 대중행동과 대중문화 3. 대중사회 : 흔히 매스 미디어로부터 개인에 미치는 일방적 교신(交信)?소외?고독?익명성(匿名性)?비인격적인 인간관계, 빈번한 이동?관료체제?획일적 가치?모방성 혹은 극단적인 세분화 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는 경향이 많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