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 德 virtue
|
1. 도덕성의 원리나 사회규범에 따른 삶과 행실.?실천적 태도와 올바른 행위의 습관 및 품성으로 표현된다. 2. 덕은 보편적 덕과 신학적 덕으로 나뉘는데, 전자의 예는 소크라테스(Socrates), 플라톤(Platon),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도덕설에서 볼 수 있는 지혜?용기?절제?정의(공정)의 4주덕이며, 후자의 예는 어거스틴(A. Augustine)?아퀴나스(T. Aquinas) 등이 보편적 덕인 4주덕에다 신학적 덕인 3주덕, 즉 신?망?애(信望愛)를 첨가한 7주덕이다. |
델파이 기법 ―技法 Delphi technique
|
1. 집단의 의견들을 조정?통합하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 2. 원래 미국의 랜드(Rand) 회사가 기술의 미래를 예측하기 위하여 썼던 바 이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 이제는 예측뿐 아니라 의견의 폭주 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등 여러 장면에서 쓰이고 있다. 3. 예컨대 형성적 평가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어 목표설정, 목표와 측정 가능한 목적의 연결 및 규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의견이 다양한 장면에서는 욕구나 우선순위를 확인 또는 서열화하는 데 이 기법을 쓸 수 있다. 4. 수정형태가 있기는 하지만 이 기법은 근본적으로는 중요문제에 대하여 설문지를 우송하여 표본 개인들에게(대부분의 경우, 전문가) 일련의 집중적인 질문을 하는 것이다. 5. 매회 설문에 대한 반응을 수집?요약하며 그것을 다시 표본 개인들에게 정보송환해 주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개인들은 자신의 견해나 평정을 수정해 간다. 개인들은 면대면(面對面)으로 만나지 않기에 익명(匿名)을 보장받을 수 있어 쉽게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며 새로운 의견이나 사상에 대하여 솔직해질 수 있다. 그리하여 처음의 입장이 어떠했건, 얼마나 복잡했건 간에 대립적인 의견도 폭주하며 종합된다. 6. 위원회 방법을 향상시켜 해결자?결정자의 노릇을 하는 기법이다. 7. 단점 : 의견의 합치는 초보적인 것일 뿐 반드시 최상의 것은 아니며 또한 도표작성 등에 힘도 적지 않게 든다. |
도구적 이성 道具的理性 instrumental reason
|
1. 지배와 억압을 정당화하거나 거기에 봉사하는 능력으로 규정된 이성 2. 베버(M. Weber), 마르크스주의자, 그리고 일부의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자들은 서양의 근대적 정신을 대표하는 계몽사상적 이성의 개념은 자본주의적 산업사회와 획일주의적 사고에 봉사하는 특별한 도구로 왜소화 되었다고 비판하고 있다. 3. 근대의 과학, 특히 실증주의적 전통에서 규정한 과학적 합리성 혹은 이성은 데카르트(R. Descartes), 칸트(I. Kant), 그리고 헤겔(G.W.F. Hegel) 등으로 이어지는 서구사상의 중심적 주제의 하나로서 멀리 플라톤까지 소급될 수 있는 것이며, 인간을 미신과 무지와 고통의 굴레로부터 구원할 수 있다고 믿어졌다. 4. 그러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독단주의에 대결하는 이성의 진보적 개념을 마르크스(K. Marx)의 작품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하버마스(J. Habermas)는 계몽사상적 이성은 특히 19세기의 후반에 과학을 산업사회의 생산력 혹은 생산수단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에서 실증주의, 역사주의, 실용주의 등에 의해서 합리성의 포괄적 의미와 복합적인 삶의 상황에 대한 엄격한 논의 없이 도그마로 경직되어 버렸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소망의 자발성, 주체성의 정립, 고통과 억압에의 대응, 자율성의 욕구, 해방의 의지 등은 이성의 불가결한 관심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이성 혹은 합리성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제외되어 왔다는 것이다. 5. 마르크스는 이성을 비판과 해방의 이름으로 사용하고 변증법적 부정의 힘으로 인식하였으나, 노동과 교환의 합리성에만 관련시켜 생각하였다. 6. 이에 비하여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이론가들은 이성에는 비판의 요소도 있지만 재구성의 힘도 있다고 하면서 일상적 삶의 전체적 국면에 침투시켜 생각하고자 하였다. |
도급경비 제도 都給經費制度
|
1. 예산의 지출과 사용에 대한 일률적인 엄격한 통제?관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업무추진상의 불편과 비능률성을 방지할 목적으로 예산회계법이나 지방재정법에 특례규정을 만들어 예산규모가 적거나 특수한 기관의 사무비에 대하여 지출상의 번잡성과 까다로운 절차를 피하고 기관의 예산 집행자에게 직접 예산을 교부하여 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2. 일반적으로 도급제도라고 하면 어떤 일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경비를 위임하고 경비의 과부족에 무관하게 일을 완성하도록 책임을 부여하는 것이다. 3. 특징 : 예산을 교부받은 책임자의 능력과 양식을 믿고 예산사용과 과업완성에 대한 일체의 의무와 책임을 위임한다는 것이다. 4. 이 제도는 읍?면?동?이 기타 3인 이하의 총소(廳所)에서 주로 활용되어 왔는데 1974년에 지방재정법 시행령을 제정하여 1975년부터 24학급 미만의 소규모 국민학교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민학교에서 도급경비로 지급될 수 있는 항목은, 여비?수송비?수수료?수선비?행사비?판공비?회의비?공공요금?의료비?일숙직수당?일용잡급비?연구학교비 등이다. 5. 이러한 제도를 채택함으로써 교사들의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학교실정을 고려한 경비지출로 경비활용 효과를 높이며, 학교장 중심의 효율적인 행정을 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
도덕 道德 morals
|
1. 사회를 이루어 살고 있는 인간이 그들의 자연적?사회적?인간적 요구와 욕망을 조화롭게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켜야 하는 행위의 규범(規範) 2. 이 규범에 의해서 행위의 선?악?정?사(善惡正邪)가 판단된다. 3. 도덕은 관습(慣習)?풍속(風俗)?법률(法律)과 함께 인간의 행위를 통제한다. ⑴ 풍속과 법률이 인간의 행위를 밖으로부터 통제하는 데 비하여, 관습과 도덕은 인간의 행위를 안으로부터 통제한다. ⑵ 관습과 도덕의 차이 : 통제의 범위 - 관습은 사회에 따라 특수하게 굳어진 행동 및 사고방식의 총체를 뜻하지만, 도덕은 그 중에서도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관한 부분만을 뜻한다. 4. 도덕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떠나서는 존재 할 수 없는 것이다. |
도덕교육 道德敎育 moral education
|
1. 도덕성을 기르고 정서를 순화시킴으로써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건전한 인격을 갖추게 하는 교육 2. 도덕교육의 내용 ⑴ 도덕규범의 준수를 습관화시키는 일 ⑵ 규범들 간의 갈등(葛藤)을 해소하고 새 규범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기르는 일 ⑶ 생활의 질을 스스로 드높이려는 의욕을 기르는 일 등 3. 사회생활에 적응하는 것은 곧 규범을 준수하는 것이므로, 생활에 대한 적응력을 기르고 인격을 드높이기 위한 교육적 노력은 모두 넓은 의미의 도덕교육이며, 생활지도는 특히 그 중요한 일부분이다. 4. 도덕성은 규범의 수용(受容)에서 비롯되지만, 적극적인 비판과 평가를 통해서 더욱 성숙되는 것이므로, 규범의 성격과 도덕의 본질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고 그 준수의욕을 드높이기 위한 별도의 교과(敎科)를 두기도 한다. 5. 좁은 의미의 도덕교육 : 이 교과를 가르치는 일, 즉 도덕과교육(道德科敎育)을 뜻한다. |
도덕성 道德性 [영]morality [독]Sittlichkeit [프]moralite
|
1. 도덕현상을 인식하고 도덕규범을 준수하려는, 즉 자신 및 타인의 행위에 대하여 선?악?정?사를 구별하고, 선행(善行)과 정의(正義)를 실천하려는 심성(心性) ⑴ 지적 측면(판단 능력)과 정의적 측면(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 및 실천 의지) ⑵ 인간의 다른 심적 특성(心的特性)과 마찬가지로 도덕성도 성장?발달하는데, 대개 타율적(他律的)인 데서 자율적(自律的)인 방향으로 발달한다. ⑶ 도덕성의 형성?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설명에는 행동주의 이론, 정신분석학 이론, 인지발달 이론 등이 있다. ⑷ 도덕의식(道德意識) 또는 양심(良心)이라고도 부른다. 2. 도덕적 특질(moral quality)을 뜻하는 철학적 용어?칸트(I. Kant)는 인간행위를 구분하는 범주를 도덕성과 적법성(適法性)으로 나누어 쓴다. ⑴ 적법성 : 행위의 결과가 도덕규범에 합치되는 경우 ⑵ 도덕성 : 행위의 동기 자체가 도덕규범을 준수하려는 자율적 의지에 입각해서 이루어진 경우 |
도덕성 발달 道德性發達 moral development
|
1. 사회적 행동규범에 대한 개인 의식의 내면화과정 2. 아론프리드(J. Aronfreed)는 도덕성을 양심의 인지적 측면이라고 보았다. 3. 피아제(J. Piaget)는 아동의 도덕성 발달이 2단계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⑴ 타율적 단계(heteronomy)에서 아동은 규칙을 권위에 의해서 부과된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며 행위자의 의도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⑵ 7~8세 이후에는 규칙의 타당성을 집단성원간의 호혜(互惠)와 합의에서 찾는 자율적 단계(autonomy)로 이행하게 된다. 4. 정신분석 이론에서는 도덕성의 내면화 기제(機制)로서 부모와 자녀간의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5. 근래에는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설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
도덕적 자율성 道德的自律性 moral autonomy
|
1. 자신의 생활을 영위함에 있어서나 타인의 행위를 평가함에 있어서, 외부의 권위(權威)나 명령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획득한 원리를 따르는 도덕적 능률 또는 성향(性向) 2. 타율적(他律的) 도덕성의 반대 개념 3. 도덕적 자율성의 형성과정 : 인간은 처음에는 사회에 이미 존재하는 규범들을 습득함으로써 도덕성을 형성하지만, 그 규범들이 서로 충돌하거나 또는 행위의 지침이 되지 못하는 상황에 직면하면 기존 규범들을 변용(變容)하거나 새 규범을 창출(創出)하게 된다. 4. 도덕적 자율성을 가진 인간의 특징(J. Piaget) ⑴ 규범을 상대적인 것으로 파악한다. ⑵ 규범을 자발적으로 준수한다. ⑶ 행위 결과보다는 의도에 의해 책임을 묻는다. ⑷ 벌을 규범 위반에 대한 보상으로 간주한다. ⑸ 타인의 행동 평가시에 정상을 참작한다. |
도식 圖式 schema
|
1. 인지구조(認知構造)의 한 단위를 기술하기 위하여 피아제(J. Piaget)가 사용한 용어 2. 행동주의학파(行動主義學派)에서 말하는 소위 「습관」(habit)에 해당되는 말 3. 도식은 어떤 방법으로든 환경을 조작함으로써 이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는 데에 관련되는 지식과 기술들을 포함한다. ⑴ 감각운동도식 또는 행동적도식 등은 사물을 신체적으로 조작하는 것과 관련되며 언어적 도식은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것과 관계된다. ⑵ 인지적 도식은 과거의 경험들과 연관된 사상(寫像) 및 기억력뿐만 아니라 사고와 문제해결의 목적으로 이러한 경험들을 조작하는 데에 관련되는 논리적 및 기타 인지적 능력들을 포함시키고 있다. |
도제 徒弟 apprentice
|
1. 장인(匠人, master)을 지망하여 훈련을 받고 있는 사람 2. 도제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장인과 수업계약을 맺고 수업료를 지불하고 장인의 집에서 기거하며 일도 하면서 기술 습득을 한다. 3. 도제는 장인으로부터 일상의 옷과 음식은 물론 약간의 용돈도 받고 기술지도도 받으면서 생활을 지도 감독받는 역할을 한다. |
도제교육 徒弟敎育 apprenticeship
|
1. 13세기 이후 산업혁명기까지의 가내수공업 사회에서 실시된 직업교육 제도 2. 10세가 지난 어린 때부터 상업?공업?기술 등의 분야에서 뛰어난 장인(匠人, master)의 개인 집에 다니면서 도제가 되어 봉사하면서 학습하기 시작한다. 3. 교육내용은 직업관계는 물론 인격교육에까지 미친다. 4. 매우 엄격한 압제적인 훈련을 비교적 장기간(5~7년)에 걸쳐 이수한 뒤 다시 일정한 작품제작에 합격해야 비로소 장인이 된다. |
도착점 행동 到着點行動 terminal behavior
|
1. 한 수업단위가 끝날 때에 학습자가 성취해야 한다고 기대되는 행동 2. 수업목표는 가능한 한 관찰할 수 있는 구체적 행동용어로 진술될 것이 권장되며, 이 같은 행동목표를 향하여 수업은 전개된다. 3. 수업이 시작되는 시발점에 있는 학생의 기능과 기타 행동 특성을 출발점 행동이라 부른다면 수업목표는 도착점 행동 또는 종착점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4. 이런 의미에서 무릇 수업목표는 바로 도착점 행동이라 할 수 있다. |
독단 獨斷 dogma
|
1. 논리(論理)를 초월한 권위에 의한 주장 2.「생각된다」 또는 「결정한다」 등을 뜻하는 그리스 도케오(dokeo)로부터 나온 말로서, 최초엔 어떤 주권자나 집단에 의한 정치적인 결정이라는 의미였으며 여기에서부터 종교상?철학상의 용법이 파생되었다. 3. 종교에서는 가톨릭 교회에 의해서 제정되고 교황의 선언에 의해 권위를 얻은, 이성의 비판을 허용치 않는 교리?교조를 뜻하고, 철학에서는 어떤 철학자 또는 학파에 의해서 주장되는 학설이나 그 근간을 이루는 명제를 뜻하며 정설(定說)이라고도 번역한다. 4.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의 권위에 의해 무비판적?맹목적으로 신앙되는 명제나, 타당한 근거에 의해서 논증된 것이 아닌 주장은 독단이다. 5. 그 자체가 비록 옳은 명제일지라도 구체적 조건의 변화를 생각지 않고 주장되면 일단 독단으로 간주된다. |
독립변인 獨立變因 independent variable
|
1. 다른 변인에게 작용하거나 다른 변인을 예언하거나 설명해 주는 변인 2. 실험연구의 경우는 독립변인은 실험자에 의하여 임의로 통제되고 조작된다. ⑴ 실험변인(experimental variable) 또는 처치변인(處置變因, treatment variable)이라고도 한다. ⑵ 예 : 시청각 교재의 사용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 싶을 때 시청각교재는 독립변인이며, 이것은 실험자에 의하여 임의로 조작되고 통제된다. 3. 자연적인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변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독립변인이라고 한다. 4. 예 : 생물의 생활에 영향을 주는 계절의 변화, 성적(成績)에 영향을 주는 지능 등이 독립변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