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삼품과 讀書三品科
|
1. 우리 나라 최초의 유교지식에 의한 관리선발제도. 원성왕 4(788)년에 처음 실시되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이후 어느 정도나 실시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2. 관리선발기준은 인재를 기르는 국학의 교육과정과 연결되어 있었다. 3. 구분 등급 ⑴ 상(上) : 춘추좌전?예기?문선을 읽어 능히 그 뜻을 통하고 겸하여 논어?효경에 밝은 자 ⑵ 중(中) : 곡례(曲禮)?논어?효경에 밝은 자 ⑶ 하(下) : 곡례?효경을 읽은 자 ⑷ 특별선발 : 오경(五經)?삼사(三史)?제자백가서(諸子百家書)를 겸하여 그 뜻을 통한 자 ⑸ 벼슬 : 나마, 대나마 수여 4. 의의 ⑴ 관리선발방법은 삼국통일 이전에 활 쏘는 능력에 따라 선발하는 궁전법(弓箭法)이나 인물평가에 의한 미인법(美人法)과 달리 서적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가지고 능력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관리 선발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⑵ 독서삼품과는 전통적인 화랑제나 이에 따른 추천방식의 관리 선발에서 유교적 교육기관인 국학과 연결된 새로운 관리선발방식이었다. . ⑶ 이러한 변화는 삼국 통일기에 무(武)에 대한 능력이 중요한 선발기준이었던 데에 반하여, 삼국통일 이후에는 경학과 실제적 행정능력을 갖춘 새로운 모습의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5. 한계 : 여기에는 중국의 국자감 및 과거제의 영향이 일정하게 작용하였겠지만, 신라의 독특한 상황 때문에 그대로 시행되지는 못하였고, 아직 골품제의 제한은 강하게 남아 있었다. 그리고 보다 완전한 의미에서 유교적인 소양을 기준으로 관리를 임용하는 제도는 고려 광종 9(958)년에 과거제를 실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동간척도 同間尺度 interval scale
|
1. 인접한 단위는 항시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두 점수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말할 수 있는 척도. 2. 예 : 국어시험에서 10점, 20점, 30점 같은 것이나, 화씨온도 5℃ 또는 10℃와 같은 측정치를 말한다. 3. 특징 : ⑴ 명명척도(命名尺度)나 서열척도(序列尺度)와는 달리 분류나 순위의 성질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동간성을 갖기 때문에 10℃-5℃=15℃-10℃ 또는 10점+20점=30점과 같은 가감을 의미 있게 할 수 있다. ⑵ 5℃가 10℃보다 두 배 더 춥다거나 30점 받은 학생은 10점 받은 학생보다 3배 더 잘 한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는 동간척도는 절대영점에서 출발하지 않기 때문인데 승제(乘除)는 비율척도에서만 가능하다. 4. 심리학이나 교육학에서 얻는 척도는 동간척도가 최상일 때가 많다. 그래서 서열척도를 동간척도로 변환시키기 위한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
동경험 다목표의 원칙 同經驗多目標―原則
|
1.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의 학습경험 선정의 원칙의 하나. 동목적 다경험의 원칙과 대조된다. 2. 의미 : 하나의 학습경험은 하나의 학습목표만을 달성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학습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는 원칙이다. 3. 예 : 농구를 학습시키면 농구에 관한 기능, 민첩한 태도, 협동심, 강인한 의지력, 신체단련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4. 따라서 학습 경험 선정에 있어서는 그 경험이 어떤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5. 주의점 : 교육목적의 역기능이 작용함으로써 교육목적 달성에 지장을 초래함도 아울러 생각해야 한다. 예를 들면 농구를 싫어하게 된다든지, 적의를 품게 된다든지, 친구를 미워한다든지와 같은 경험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
동기-위생이론 動機-衛生理論 motivator hygiene theory
|
1. 인간에게는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동물과 같은 욕구와 심리적으로 성장하려는 욕구 등 두 종류의 이질적(異質的)욕구가 있으며 이들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다는 이론 2. 허즈버그(Herzberg)의 주장 ⑴ 위생요인(유지요인?안정지향적 요인) ① 인간의 작업만족을 합리적 수준으로 유지케 하는 데 필요한 요인 ② 위행요인이 충족되면 인간의 만족이 강하게 충동되지는 않지만, 이 요인들이 충족되지 않으면 불만족으로 이끄는 잠재력이 강한 요인이 된다. ③ 하위개념 : 조직의 정책결정 및 행정, 기술적 감독, 상사 및 부하 동료들과의 인간관계, 보수(報酬)?직업안정성?사생활?근무조건?지위 등 ⑵ 동기요인(성취지향적 요인) ① 하위요인 : 성취감?인식감?발전의욕?작업 그 자체?성장가능성?책임감 등 ② 하위요인들이 충족되면 보다 높은 수준의 동기와 만족을 형성해 주게 되며 만약 이러한 요인들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해서 불만족으로 유도되지는 않는다. 3. 의의 : 조직 내의 모든 성취동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만병통치약이라기보다는 작업현장에서의 인간의 동기유발에 대한 접근을 개발하려는 첫 시도이다. |
동기유발 교수설계 動機誘發敎授設計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
1. 학습동기를 유발시키고 유지시키기 위하여 주의,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등의 네 가지 요소들을 중심으로 교수처방 방안을 설명하고 있는 켈러(Keller, J.M.)의 ARCS 이론 2. ARCS : 주의(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그리고 만족감(satisfaction) 3. 내용 : ARCS 이론은 다양한 교수자료의 동기적 측면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 방법으로 제시된 것이다. 특히 이 이론은 교수-학습 상황에서 동기를 유발시키고 유지시키기 위한 구체적이고 처방적인 방략들을 제시하고 있고 또한 교수설계 모델들과 병행하여 활용될 수 있는 동기설계의 체계적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4. 주의 ⑴ 이것은 학습자의 관심을 학습자극에 집중시키는 것으로서 특히 지적인 호기심의 유발에 관심 ⑵ ‘주의’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지각적 주의 환기, 탐구적 주의환기, 그리고 다양성(예, 교수사태 전개순서의 다양화나 정보조직방식의 다양화를 의미함) 방략을 적용 5. “관련성” ⑴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나 개인적 필요를 지각시키는 것 ⑵ 친밀성 방략, 목적지향성 방략, 그리고 필요나 동기와의 부합성 방략 등 6. “자신감” ⑴ 성공의 기회가 있다는 것을 인식시키는 것 ⑵ 학습의 필요조건의 제시방략, 성공의 기회를 제시하는 방략, 개인적 통제력 증대의 방략 등 7. “만족감” ⑴ 학습자의 노력의 결과와 성취기대가 일치하게 되면 학습동기가 유지되는 것 ⑵ 자연적 결과 강조의 방략, 긍정적 결과 강조의 방략, 공정성 강조의 방략 등 8. 동기유발 교수설계의 체제적 과정 : 정의, 개발, 평가 ⑴ 정의 단계 : 문제분석, 학습자 분석, 목표설정 ⑵ 개발 단계 :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한 구체적 자료를 개발 ⑶ 평가 단계 : 동기방략을 도입한 교수자료의 효과성을 검토 |
동기형성 動機形成 motivation
|
1. 일정한 동기가 발생?발동하는 상태 2. 동기유발(motive)은 여러 욕구(need)에 의하여 촉진되고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일으킨다. 3. 행동의 방향성과 강도 결정 : 행동촉진적 기능과 선택적 기능을 발휘한다. 4. 학습행동은 동기유발에서 시작되며 학습을 촉진하는 동기는 성취동기(成就動機)의 일종이다. 5. 학습동기를 유발하며 유지하는 일은 교사의 매우 중요한 전문적인 기술에 속한다. |
동료평정방법 同僚評定方法 peer appraisal method
|
1. 주어진 한 특성에 대해 동료간에 상호 평정하게 하는 방법 2. 동료에 의한 평정의 중요성 ⑴ 학생 행동에 관한 교사의 관찰결과는 상당히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다. ⑵ 예 : 한 학생은 교사 앞에서와 다른 친구들만이 있을 때와의 행동이 전혀 다를 수 있다. ⑶ 따라서 동료간의 평정은 한 학생의 사회적 적응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보조자료가 된다. ⑷ 특히 학생들의 인기?통솔력?집단의 권력구조 및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의 정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는 교사에 의한 평정보다는 동료에 의한 평정이 보다 타당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3. 유의점 ⑴ 평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학생이 그들의 경험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⑵ 각 학생에 대한 결과가 알려지지 않도록 보안 조치를 하고 평정자를 무기명으로 하도록 한다. |
동목표 다경험의 원칙 同目標多經驗―原則
|
1.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의 경험의 선정 원칙의 하나 2. 의미 : 하나의 목표에 응할 수 있는 학습경험의 범위는 넓고 깊기 때문에 지역사회, 학교의 특성 및 학생의 필요에 따라 교사의 창의적인 선택이 가능하다는 원칙이다. 3. 예 : 비판정신을 기르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경험은 허다하다. 이들 경험 중 지역사회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학생들의 필요나 흥미에 알맞은 경험을 교사가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면 된다. 4.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노력도 지역이나, 학교나, 교사에 따라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동경험 다목표의 원칙 |
동몽선습 童蒙先習
|
1. 조선조 11대 중종(中宗) 때 군자정(軍資正)을 지낸 박세무(朴世茂)에 의하여 저술된 아동용 교과서 2. 전통적 교육에서는 동몽선습이 소학(小學) 다음으로 읽는 필독의 교재였다. 3. 내용 : 오륜(五倫)의 대의(大義)를 간결하게 서술하고[經], 중국과 한국의 역대 세계(世系)를 수록한 것[史] |
동인 動因 drive
|
1. 욕구(欲求)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는 용어 2. 엄격히 구분하면 욕구는 생리적 결핍 혹은 과잉에 의한 심리적 긴장상태를 의미하는 반면 동인은 욕구에 의한 잠재적 힘을 어떤 목표를 향해 실제로 특정한 행동양식으로 이끌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3. 동인은 행동을 유발하는 직접적인 힘을 가리킨다. 4. 동인은 동기와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동인은 보다 생득적이고 기계론적인 데 비해 동기는 이차적이고 목적론적인 것도 포함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
동일시 同一視 identification
|
1. 일반적으로 타인의 감정?사고?행위 등의 성향적 특징이나 지위?소속?집단특징 등의 상황적 특징을 복사하듯 따름으로써 자신의 성향적 또는 상황적 특징으로 간주하거나 인정하는 정상적 학습과정을 말한다. 2. 정신분석에서 타인의 동기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의 좌절된 동기나 결핍을 경험하고 있는 심리적 좌절을 감소시키려는 방어기제(防禦機制)의 일종이다. 3. 지각연구(知覺硏究)에서 망막의 영상들이 결합되는 것이나 깊이(depth) 지각에서 새로운 현상이 산출되는 과정. 혹은 두 개의 다른 심적 내용(psychic content)이 하나의 새로운 심적 내용을 이끌어 내게 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
동일요소설 同一要所設 theory of identical component
|
1. 학습에서의 전이현상(轉移現想)은 이전학습(以前學習)과 새 학습장면 사이에 동일요소가 있을 때 상호 연합의 현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일어난다는 손다이크(Thorndike)의 주장 2. 예 : 더하기를 잘하는 사람이 곱셈을 공부할 때 이해가 빠른 것은 더하기와 곱하기가 같은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
동형검사 同型檢査 equivalent test
|
1. 검사의 내용이 유사하고 문항의 곤란도와 문항수가 같으며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서로 같은 한 검사의 둘 또는 그 이상의 검사형을 말한다. 2. 흔히 동형검사를 가나다 또는 ABC 등의 명칭을 붙여 동일한 검사의 다른 형(型)이라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3. 조건 : 동형검사의 조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 검사 내용이 동일한 전집에서 표집되었고 같은 집단에 실시한 검사점수의 평균, 표준편차 및 각 검사의 문항간의 공변량(共變量)이 같아야 한다. 4. 검사의 내용에 대한 동등성은 합리적인 판단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다. 단지 검사 제작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이나 특성의 전집을 명확히 정의 및 분류하고 동형검사를 위한 문항 선정에서 있어서 유층적 표집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두 검사는 내용면에 있어서 동등한 검사라는 자신을 가질 수 있다. 5. 동형검사에 대한 통계적 기준에 의하여 판단할 때 합당하다고 판단되면 두 검사는 사실상 동형검사라는 확신을 갖게 된다. 6. 동형검사를 제작하는 이유 : 동일한 검사를 두 번 이상 실시해야 하는 경우에 학습과 기억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하여 동형검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7. 동형검사가 있으므로 동형검사의 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동형검사간의 높은 상관관계는 전집의 정의가 타당하게 되고 이를 올바르게 측정하고 있다는 내용타당도의 한 증거가 된다. |
동형검사 신뢰도 同型檢査信賴度 equivalent test reliability
|
1. 같은 집단에 대해서 다른 두 가지에 각각 다른 두 동형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점수간의 상관관계 2. 이 신뢰도는 다른 두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검사-재검사가 포착하는 오차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다른 두 동형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문항의 표집에서 기인되는 오차까지도 포함한다. 3. 따라서 이 검사신뢰도는 다른 어떤 신뢰도보다도 낮게 나올 가능성이 크다. 4. 의의 : 이 신뢰도 측정방법은 어떤 다른 방법보다도 가장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높은 신뢰도 계수를 얻었다는 것은 그 검사가 상당히 좋은 신뢰도를 갖고 있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5. 다른 두 시기 간의 특성의 변화와 두 검사가 얼마나 동형검사인가를 측정해 준다는 의미에서 안정-동형도 계수(coefficient of equivalence and stability)라고도 부르고 있다. |
동화 同化 assimilation
|
1. 이미 학습된 지식과 능력을 이용하여 자극상황에 순응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피아제(J. Piaget)의 용어 2. 동화될 수 있는 상황의 제측면(諸側面)은 변화 또는 새로운 학습을 요구하지 않는 측면들이다. 3. 동화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과거에 학습된 것을 흡수하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즉 과거에 학습된 반응들을 새로운 상황에 활용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