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래 집단 ―集團 peer group
|
1. 어린이들이 지역사회나 형식적 집단 속에서 「놀이」[遊戱?娛樂]를 중심으로 형성하는 비형식적 소집단(小集團) 때로는 넓게 해석하여 성인들이 사업?지위?취미?사상 등의 유사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놀이 중심 집단을 가리킬 때도 있다. 2. 그 집단형태는 연령에 따른 생리적?심리적 성숙도에 따라 다르다. 그 어느 것에나 공통되는 점은 자발적 집단인데 있으며 대표적인 것이 플레이갱, 도당(徒黨) 등이다. |
마르크스주의 ―主義 Marxism
|
1. 마르크스(K. Marx)의 사상과 학설 또는 같은 경향의 학설을 일컫는 말 2. 그의 사상은 변증법적 유물론, 노동과 소외개념, 그리고 이를 역사현실에 적용한 사적(史的) 유물론으로 대표된다. ⑴ 변증법적 유물론은 헤겔(G.W.F. Hegel)의 변증법과 포이에르바하(L.A. Feuerbach)의 유물론을 결합하여 성립시킨 것으로, 세계의 본질을 물질에 두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실은 변증법적 발전법칙을 따른다는 내용이다. ⑵ 마르크스는 인간은 노동하는 존재이며 이 노동을 통해 자기를 실현(實現)하는 존재라하였다. 이때 노동의 개념은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것이며, 인간은 노동을 통해 자신의 일부를 대상화(對象化)한다. ⑶ 소외(疏外) : 대상화한 존재(노동의 산물)가 인간으로부터 독립하여 오히려 적대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현상 3. 사적 유물론 : 변증법적 유물론을 역사현실에 적용한 것으로서, 인간의 의식은 사회현실의 반영에 불과하다. ⑴ 모든 학문?예술?법?정치 등의 상부구조(上部構造)는 생산력과 생산관계로 특징지어지는 생산양식(生産樣式: 下部構造)에 의해 결정된다 ⑵ 역사적으로 사회에는 생산수단의 소유집단과 비(非)소유집단이 존재해 왔는데, 생산력의 발전은 이들간의 사회관계를 변화시키게 되고 생산수단의 소유와 분배를 둘러싼 계급간의 갈등이 불가피해지며, 이것이 역사진행의 동인(動因)이 된다. 4. 마르크스의 이론은 19세기에 구체화되던 자본주의의 모순들, 특히 노동자들에 대한 자본가의 극심한 착취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그의 정치활동에의 참여나 이론과 실천의 일치를 지향하는 그의 입장에서 나타난다. 5. 궁극적으로 계급 없는 사회의 실현을 목적하고 있으며, 레닌(N. Lenin)?스탈린(I.V. Stalin) 등에 의해 계승 적용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많은 이론적 한계가 노출되어 비판과 함께 수정이 가해지고 있다. |
마르크스주의 교육학 ―主義敎育學 pedagogy of Marxist
|
1.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교육을 이해, 설명, 분석하고자 하는 교육학의 패러다임 2. 탐구주제 : 교육과 관련하여 노동, 가치, 자본, 계급, 국가, 소외, 재생산, 이데올로기 등 3. 사회질서보다는 사회변화에 초점을 두고 교육학 내의 갈등이론, 비판이론, 교육과정사회학, 대응이론 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4. 마르크스주의자들은 헤겔 과는 달리 세계는 정신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간과 그가 처한 물질적 조건 특히 경제적 생산관계에 의하여 변화한다고 본다. 5. 정신의 실재에 대한 신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은 부르주아자본가들의 이익을 영속화하기 위한 기만적 방편에 불과하므로 세계를 변화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없다. 6. 정통 마르크스주의와 함께 현상학, 상징적 상호작용이론, 민족방법론, 사회비판이론 등에 영향을 받은 학자들은 교육의 수동성과 재생산 기능뿐만 아니라, 교육과 경제체제의 모순과 갈등(B. Bernstein),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과 학교의 일상생활 등을 미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기존체제에 순응만 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저항하고 거부하며, 재생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대안적 문화를 창출함(P. Willis)으로써 생산하는 측면이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
망각 妄覺 forgetting
|
1. 전에 학습했던 것을 상기(想起)하거나 재생(再生)할 수 있는 능력의 상실 2. 망각현상을 설명하는 여러 가지 이론 ⑴ 간섭이론(干涉理論) : 선학습(先學習) 또는 후학습이 간섭하기 때문에 망각이 일어난다. ⑵ 형태심리학 : 기억흔적(記憶痕迹)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보다 좋은 형태로 재조직되지 않으면 망각이 촉진된다 ⑶ 정신분석 이론 : 억압에 의한 동기적 망각(motivated forgetting)을 강조한다. 3. 망각현상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어느 한 이론에 의하여 만족스럽게 설명될 수 없다. |
망각곡선 忘却曲線 forgetting curve
|
1. 무의미철자(無意味綴字)를 암기하는 것과 같은 기계적 학습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망각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곡선 2. 처음 몇 시간 동안에는 급속하게 망각되나 5~6일이 지나면 일정한 선에서 안정된다. 3. 망각곡선은 파지의 양을 보여주기도 하기 때문에 파지곡선(把持曲線)이 되기도 한다. 4. 이러한 망각곡선은 모든 학습이 아니라 기계적 학습과 같은 특수한 경우에만 나타난다.?망각 |
메이거의 교수목표 진술방식 ―敎授目標陳述方式 Mager's instructional objectives
|
1. 교수목표 진술에 있어서 막연성과 그 해석의 다양성을 없애고 수업과 평가에 구체적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 하에서 제시된 교수목표 진술의 한 방법 2. 한 목표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누구나 동일하게 해석 할 수 있기 위해서는 목표진술에 있어서 다음 세 가지 조건, 도착점행동(到着點行動), 그 행동이 나타나는 조건의 명시, 수락의 기준이 명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⑴ 도착점 행동 : 학생이 학습 후에 학습의 결과로서 나타내는 행동을 말한다. 이러한 행동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찾는다」, 「비교한다」, 「지적한다」 등과 같이 구체적 행동을 나타내는 명시적 동사(明示的動詞)로 진술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⑵ 조건 : 그 행동이 나타나는 조건의 명시는 예를 들어 “2차 방정식을 푼다”라고 하는 경우에 2차 방정식을 도표에 의해서 푸는 것인지, 또는 근(根)의 공식을 이용한 것인지 등의 어떤 상태와 조건에서 그 행동이 나타나기를 바라느냐 하는 것이다 ⑶ 기준 : 수락의 기준은 성취수준을 말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달성했을 때 그 목표를 달성했다고 보느냐 하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20개의 문제 중 15개를 푼다”, “17초 내에 100m를 달린다”하는 경우에 15개 또는 17초가 수락의 기준이 된다. 이 기준의 설정은 주관적이지만 일단 설정되었을 때는 명시적 기능을 갖게 된다. 3. 메이거의 목표진술 양식은 명료하고 너무나 많은 교수목표와 그간의 위계적인 관계를 알 수 없다는 점, 그리고 그것만 가르치고 그것만 평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그론룬드의 교수목표 진술방식 |
메타평가 ―評價 meta-evaluation
|
1. 평가의 과정 중에 안내지침을 제공하고 수행된 평가에 대한 가치와 장점을 판단하기 위하여, 평가의 효용성, 실행가능성, 윤리적 준거, 기술적인 적절성 등에 관한 기술적?판단적 정보를 서술, 획득, 이용하는 과정을 말한다 2. 구분 : 메타평가는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형성적 메타평가와 수행된 평가에 대한 가치와 장점을 판단하는 총괄적 메타평가로 구분된다. ⑴ 형성적 메타평가는 평가자가 평가를 계획하고, 수행하고, 해석하고, 보고하는 방법의 의사결정에 대한 안내의 역할을 수행한다. 형성적 메타평가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는 평가를 수행할 것인지 여부, 평가문제에 대한 규정, 평가고객에 대한 명료화, 평가목적에 대한 명시화, 평가를 위한 계약, 예산, 연구진, 자료수집과 분석의 절차, 평가결과와 제안점의 보고 형식 등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안내지침이다. ⑵ 총괄적 메타평가는 메타평가의 근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행된 평가가 평가의 효용적, 실행가능성적, 윤리적, 기술적 적절성의 표준에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총괄적으로 판단하여, 평가의 가치와 장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총괄평가를 위한 준거로는 12개 전문기관의 「연합위원회」(Joint Committee)에서 제안한 「교육평가를 위한 표준」(Standards for Educational Evaluation)과 「평가연구협회」(Evaluation Research Society)에서 제안한 55개의 준거가 있다. |
명문화된 교육과정 明文化―敎育課程 curriculum as a document
|
1. 교육과정의 이념과 정책이 문서화되어 교육부령으로 공포된 내용의 하나 2. 우리나라에는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 인문?실업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기간으로 하여 공민학교?고등공민학교?맹아학교 등 20종에 가까운 문서화된 교육과정이 있다. 3. 이 제정과정은 학교급별 심의회, 교과별 심의회를 거쳐 교육과정 운영위원회의 최종결정에 따라 교육부장관이 부령(部令)으로 공포한다. 4. 각급 학교의 교육과정(문서)은 총론과 각론으로 나누어진다. ⑴ 총론 ①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방침 ② 학교급별 교육목표 ③ 교과 배열과 시간배당 ⑵ 각론 : 교과별?학년별 ① 교과목표 ② 교과내용 ③ 지도상의 유의점 5. 법적 권위를 갖춘 명문화된 교육과정은 각급 학교 교육실천, 특히 교과운영의 기본이 되며, 교과서 저작?수업계획?학습평가 척도 등의 기준이 된다. 6. 따라서 교과운영이란 명문화된 교육과정에 의거, 교과서 및 수업 자료를 이용하여 교사의 창의적인 지도로 학생과 지역사회 실정에 맞도록 이끌어 나가는 것을 뜻한다. |
명시된 교육과정 明示―敎育課程 manifested curriculum
|
1.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해 계획되고 설계된 일련의 경험이나 과정, 또는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학교 교육과정 2. 명시된 교육과정은 계획되고 설계된 교육과정이라는 의미 이외에도 구조화된, 공식적, 외현적, 가시적, 외적, 조직화된, 기대된, 형식적 교육과정이라는 의미도 지닌다. 3.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서는 교육이란 이름으로 계획되고 의도되는 거의 모든 활동과 그 결과들이 포함된다. 의도된 교육목적, 의도된 교육목적을 가장 효율적으로 성취할 것이라는 기대 하에 계획적으로 선정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평가가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며 이들을 명시적으로 구체화한 모든 문서와 자료들이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다. 4. 국가 수준에서 계획되고 설계되는 각종 교육과정 문서나 교과서, 시?도?군 수준에서 의도되고 계획되는 온갖 교육자료, 학교에서 계획한 모든 종류의 교육 계획 및 교육과정 계획서, 그리고 교사들의 수업 계획서나 학습지도안이 모두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다. 5. 명시된 교육과정의 의미는 또한 명시된 교육과정과 대비되는 다른 종류의 교육과정, 예컨대 잠재적(潛在的) 교육과정이나 영(零) 교육과정의 의미와 비교됨으로써 보다 명료화될 수 있다. ⑴ 잭슨(Jackson)에 의하여 처음으로 사용된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용어는 의도되지 않은, 계획되지 않은, 숨은, 비구조적인, 내현적인, 비가시적인, 비조직적인, 기대되지 않은, 비형식적인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명시적 교육과정과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다. ⑵ 간단히 말해서 학교나 학급에서 의도되거나 계획되지 않았는데도 아동들에게서 이루어진 모든 종류의 학습 경험을 의미한다. ⑶ 영(零) 교육과정 : 아이즈너(Eisner)에 의하면 학교에서 의도적으로, 그리고 계획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학습 경험을 의미한다. 영 교육과정은 의도적, 계획적이라는 의미에서는 명시적 교육과정과 동일하다. 그러나 그 내용이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명시적 교육과정과 구별된다. |
명시적 목표 明示的目標 explicit objectives
|
1. 진술된 교육목표가 학생이 학습 후 나타내어야 할 성과를 명백하게 관찰할 수 있는 행동으로 되어 있는 목표. 2. 교육활동에 관련되어 있는 교사?학생?학부모?장학사 등이 누구나 서로 합의할 수 있게 구체적으로 목표를 진술했을 때 명시적 목표라 한다. 3. 명시적 목표의 반대개념을 암시적(暗示的, implicit) 목표라 한다. 암시적 목표는 의사소통에 방해를 주는 단점은 있으나 여러 가지 행동을 포괄하는 이점이 있다. 4. 소단원(小單元)의 수업계획에서는 명시적 목표의 진술이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
명제 命題 proposition
|
1. 문장이 지시하는 대상 혹은 문장을 의미 2. 명제는 일반적으로는 문장과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문장이 나타내는 의미를 가리킨다. 3. 명제는 판단을 언어로 표현한 것이므로 그것은 반드시 진리치(眞理値, truth-value)를 갖는다. 그러나 모든 문장이 다 명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4. 명령문이나 감탄문 등은 비록 문장이긴 하지만, 진리치가 없으므로 명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명제함수, 명제계산 |
명제적 지식 命題的知識 propositional knowledge
|
1. 언어나 기호로 표현될 수 있는 지식 2. 방법적 지식(方法的知識, procedural knowledge)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3. 보통 「지식」이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방법적 지식 |
모의환경 模擬環境 simulated environment
|
1. 언어나 기호로 표현될 수 있는 지식 2. 방법적 지식(方法的知識, procedural knowledge)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3. 보통 「지식」이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방법적 지식 모의환경 模擬環境 simulated environment 1. 모의실험을 할 수 있도록 주위환경을 실제와 같은 형태로 꾸며놓은 상태 2. 모의환경은 모의장치(simulator)로 구성되어 있다. 모의장치에는 인간공학 연구용?기계특성 연구용?장치특성 연구용?교육 훈련용 등이 있다. 모의장치를 설계?제작하기 전에, 모의할 내용을 결정하지 않으면 모의 환경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가 없다. 3. 모의환경은 일종의 학습의 장(場)이다. 학습의 장은 학습자의 행동의 대상으로서 무엇을 설정할 것인가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학습자가 행동의 대상에 대해서 어떠한 신경을 써서 행동하는가 하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이 모의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 포인트이다. 4. 행동의 신경회로(神經回路)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행동분석이 행해지며, 그 신경회로에 필요한 학습의 장이 모의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
목표관리 目標管理 management by objectives ; MBO
|
1. 상사(上司)나 부하(部下)가 함께 목적을 확인하고 각자의 주요 책임 영역을 그에게 기대되는 결과의 입장에서 확정하고 부서를 운영하고 각 구성원의 공헌도(貢獻度)를 사정하는 지침으로서 이 기준을 사용하는 하나의 과정 2. 1954년 드럭커(P. Drucker)가 그의 주저인 《경영의 실제》에서, 「목표와 자기통제에 의한 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 and self-control)라는 용어를 사용한 데서 유래한다. 3. 목표관리에 관한 모든 개념을 체계화한 대표적 학자는 1960년대 후반의 미국의 오디온(G.S. Odiorne), 영국의 험블(J.W. Humble)을 들 수 있다. 4. 학교경영에 목표관리의 이론을 처음으로 적용한 학자는 미국의 크네즈비치(S.J. Knezevich)이다. 그는 1973년에 《목표 및 결과에 의한 관리》라는 소책자를 저술하여, 학교행정가를 위한 학교경영에서의 목표관리 일반체제 모형(一般體制模型)을 제시하였다. 5. 목표관리는 결과에 의하여 평가되고, 목표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고, 또 주로 인사지향적(人事指向的) 접근을 취하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교육의 책무성(責務性, accountability)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목표 및 성과(결과) 지향적인 경영철학에 있어서 양자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6. 목표 또는 목표달성을 위한 프로그램별 예산체제인 기획예산 제도(企劃豫算制度, PPBS)와도 목표를 강조하는 면에서 공통성이 있으며, 목표수립?집행 및 평가과정에서 양자는 상호보완 관계 속에서 양립할 수 있다.?책무성, 기획예산제도 |
목표모형 目標模型 objectives model
|
1.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목표의 설정 및 명료화를 중시하는 이론 또는 접근방법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 2. 목표에 근거해서 적절한 수업방법을 동원하고 그에 일관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모형이다. 3.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이 목표모형의 대표적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네 가지 요소와 절차를 강조 ⑴ 목표의 설정 ⑵ 적절한 학습경험의 선정 ⑶ 경험의 조직 ⑷ 학습성과의 평가 4. 경험의 선정 및 조직과 평가단계는 설정된 목표를 기준으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강하게 부각되는 모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