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 問題解決 problem solving
|
1. 개체가 습관적인 반응으로는 적응할 수 없는 장면에 직면하여 새로운 반응양식을 나타내는 것 2. 문제의 해결은 그 장면을 인지(認知)하는 주체의 변화 내지 통찰의 성립으로 가능해진다. 3. 학습이론에서는 문제해결법이라고도 하며 학생들에게 문제해결 능력배양을 목적으로 어떤 문제를 주고 그 해결과정을 통하여 지적?태도적?기술적 학습을 시킨다. |
문제해결 학습 問題解決學習 problem solving learning
|
?학습 가운데서 가장 높은 수준 또는 위계(位階)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둘 또는 셋 이상의 원리를 적용하여 주어진 과제를 새롭게 해결하는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는 것 |
문항 곤란도 問項困難度 item difficulty
|
1. 개개 문항의 어려운 정도 2. 문항형식이 선택형이냐, 서답형(書答型)이냐에 따라 곤란도의 산출공식이 달라지고 또한 선택형 문항일지라도 미달항(未達項)과 추측요인을 제거하느냐 제거하지 않느냐에 따라서도 산출공식이 달라진다. 3. 그러나 어떠한 공식으로 계산되든지 곤란도 산출의 기본방식은 수검자(受檢者) 수에 대한 정답 반응 수의 백분율로 표시되기 때문에, 실제 계산된 곤란도 지수가 높을수록 쉬운 문항이고 곤란도 지수가 낮을수록 어려운 문항이다. |
문항난이도 모수 問項難易度母數 item difficulty parameter
|
?검사의 개개 문항의 쉽고 어려운 정도.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난이도는 문항에 응답한 전체 피험자 중 그 문항에 답을 맞힌 피험자의 수, 즉 정답비율을 말한다. |
문항 내적 합치도 問項內的合致度 item internal consistancy
|
1. 한 문항에서 바른 답을 했을 경우 그 문항을 제외한 나머지 다른 문항에서도 계속해서 바른 답을 하게 되고, 반대로 틀린 답을 했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틀린 답을 하게 되는 정도. 2. 문항 내적 합치도는 문항 변별도와는 개념적으로 다소 다른 각도에서 정의되고 있지만 문항내적 합치도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변별도(辨別度) 지수를 계산하는 방법은 동일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문항 내적 합치도와 변별도는 같은 뜻을 가지고 있다. |
문항모수치의 집단불변성 問項母數値―集團不變性 the group invariance of item parameters
|
1. 문항반응이론의 장점으로서 문항의 난이도, 변별도, 추측도 모수는 그 문항에 응답한 피험자 집단의 특성에 따라 변화되지 않는다는 것 2. 문항반응이론에 의하면 능력 수준이 낮은 피험자 집단이 어떤 문항에 응답한 문항응답자료를 가지고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든, 능력수준이 높은 피험자 집단이 응답한 문항응답자료를 가지고 문항특성을 분석하든 문항의 추정치는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3. 문항모수치의 집단 불변성은 모든 능력척도에 적용되며 피험자의 능력 분포와 독립적이기 때문에 다른 능력수준임에도 불구하고 같은 문항 모수를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문항모수치의 집단 불변성은 문항특성의 불변성과 동의어이다. |
문항반응분포 問項反應分布 item response distribution
|
1. 선다형(選多型) 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의 반응을 답지별(答肢別)로 분석한 것 2. 답지반응분포와 비슷하다. 3. 한 문항에 대한 총반응수에서 정답자 수를 뺀 다음 그 문항의 오답지(誤答肢) 수로 나눔으로써 계산되는 개별 오답지의 이론상의 반응빈도와 실제 반응빈도를 비교하여 오답지의 매력도(魅力度)와 그에 따른 정답지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배합형 문항도 이 방법을 이용하여 오답지의 매력도를 확인할 수 있다. |
문항변별도 問項辨別度 item discrimination power
|
1. 어떤 문항에 정답, 또는 오답을 했다는 사실만을 기초로 하여 그 검사에서 높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인가 혹은 낮은 점수를 받게 될 것인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도 2. 변별도의 계산방법은 다양하나 규준지향 측정에서 선다형(選多型) 문항의 변별도는 상위집단에서의 정답자수를 Ru, 하위집단의 정답자 수를 Rl, 상위집단과 하위 집단의 총사례수를 f, 문항변별도 지수를 DI라고 하였을 때 DI=(Ru-Rl)/f로 계산된다. |
문항변별도 모수 問項辨別度母數 item discrimination parameter
|
1. 문항이 지닌 특성으로서 문항이 피험자를 능력에 따라 얼마나 잘 변별하느냐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2. 문항변별도 역시 고전검사이론과 문항 반응이론에 의하여 설명된다. 3.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변별도는 문항의 정답여부와 검사총점간의 양분상관계수(point 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에 의하여 추정된다. 4. 이론적 범위는 -1에서 +1의 범위를 지니며 값이 클수록 문항의 변별력은 높다 할 수 있다. 5.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변별도는 문항특성곡선상의 문항난이도를 나타내는 점에서의 기울기를 말하며, a 혹은 α로 표기한다. |
문항분석 問項分析 item analysis
|
1. 특정 시험, 또는 검사의 제작 목적과 부합되는 양호한 문항을 선택하기 위하여 검사 실시 대상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 집단에게 예비적으로 실시해서 얻은 자료를 토대로 하여 개개 문항들이 그 기능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을 문항분석이라고도 한다. 2. 검사의 구성과 문항의 형식 등이 상이함에 따라 문항 분석 방법에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문항분석에는 문항곤란도?문항변별도?문항반응분포가 분석된다. ?문항변별도 |
문해 文解 literacy
|
1. 국가에서 정한 공식용어(公式用語)를 읽고 쓸 수 있는 상태 2. 1951년 유네스코 교육통계표준화전문위원회(The Expert Committee on Standardization of Educational Statistics)는 자신의 일상생활에 관한 짧은 간단한 문장을 이해하며 읽고 쓸 수 있는 자를 문해라고 하며, 자신의 일상생활에 관한 짧은 간단한 문장을 이해하며 읽을 수는 있으나 쓸 수 없는 자를 반문해(反文解, semi literacy)라고 정의했다. 3. 일상생활에 필요한 짧은 간단한 문장이라 함은 메시지나 편지를 그 대표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굿(C.V. Good) 등은 국민학교 4학년 정도의 문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반문해는 문맹(文盲)의 범주에 들어간다. 4. 다음은 연령의 문제이다. 유네스코에서는 10세 이상을 대상으로 문맹과 문해를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6년간의 초등 의무교육이 끝난 후인 만 12세 이상자 중에서 한글로 된 간단한 문장을 읽고 쓸 줄 아는 자를 문해자라고 한다. 5. 이상에서 논한 것은 최저문해(minimum literacy)에 관한 것이며, 기능적 문해(functional literacy)는 이보다도 정도를 높이 한다. ?기능적 문해 |
문화 文化 [영]culture [독]Kultur
|
1. 특정한 집단의 구성원에 의해 습득되고 공유되며 전달되는 행동방식 또는 생활방식의 체계 2. 문화의 정의 중에서 가장 고전적인 것은, 인류학의 시조라 불리우는 타일러(S. A. Tylor)가 내린 “지식?신앙?예술?도덕?법률?관습, 그리고 그밖에 사회의 성원으로서 인간에 의해 획득된 모든 능력과 습관의 복합적 총체”라는 것이다. 이 정의는 그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수정되어 왔으며, 구디너프(F.L. Goodenough)는 문화를 “고유하고 있는 인간 학습의 소산으로서 지각?신념?가치관?행동을 결정짓는 표준으로서 이루어진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3. 문화는 어떤 행동이나 사고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표준이나 규칙이라고 할 수 있다. |
문화기술지 文化記述誌 ethnography
|
1. 한 사회의 문화에 관한 기술적(記述的) 연구의 과정 혹은 그 산물. 문화기술지는 거의 전부가 현지연구(field work)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연구자가 연구대상집단의 삶과 문화에 깊이 참여하여 얻게 된 문화적 지식을 정리한 것이다. 2. 인류의 다양한 생활방식에 관한 기술은 고대부터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투스(Herodotus)는 그가 보고들은 50여 집단의 사람들에 대해서 그들의 외형적 특성과 법률, 관습, 종교 등 생활상에 관한 기록을 남긴 바 있다. 그 이후 「탐험의 시대」를 거쳐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비서구인들의 기이한 풍습과 생활에 관한 상세한 기록이 주로 서구의 상인, 선교사, 식민지 관리들에 의해 제공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기록은 서구인의 흥미와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서술한 것이어서 현지인의 관점과 행동을 잘못 이해하거나 추상적이고 신빙성이 부족한 기술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오늘날 인류학자들은 문화기술적 연구의 학문적 전통을 폴란드 태생의 영국 인류학자 말리노우스키(B. Malinowski)가 1915년경 멜라네시아의 트로브리안드(Trobriand)군도에서 행한 현지연구에서부터 찾고 있다. 3. 문화기술적 현지연구는 문화인류학의 학문적 세계에 입문하기 위해서 반드시 거쳐야 할 일종의 「통과의례」로 인식되고 있다. 인류학자들은 1년 혹은 그 이상 특정지역에 거주하면서 그 지역의 언어와 풍습을 익히고, 관찰자로서의 객관성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참여한다.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이라고 불리우는 이 연구방법은 낯선 문화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고 유용한 것이지만 많은 실제적 어려움을 수반한다. 4. 오늘날의 인류학자들은 참여관찰 이외에도 문화재의 내용분석, 최신 시청각 도구의 활용, 각종 심리검사의 실시 등 다양한 기법에 의지하는데, 의례와 친족관계를 비롯하여 현지인의 삶과 문화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 비분석적, 포괄적인 수준에서 제공하는 「제보자(informants)」를 선택하여 그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으며 장기간 수행하는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은 참여관찰과 함께 문화기술의 양대 연구기법으로 인식되어 왔다 5. 문화기술적 연구에 내재하고 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현지인의 문화를 그들의 시각에서 편견없이 이해하는 동시에 다른 문화와의 관련 속에서 일반적으로 해석하는 일이다. 6. 다른 어려움은 연구기간 중에도 끊임없이 문화가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과 연구자의 존재로 인해 초래되는 영향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
문화상대주의 文化相對主義 cultural relativism
|
1. 각 사회마다 그 사회를 하나의 총체적인 모습으로 지각하게 하는 문화가 다르다는 이론적, 방법론적, 실천적 지향?이론적 지향 2. 문화상대주의는 각 사회마다 문화가 다르므로 인류학자(교육인류학자를 포함하여)는 가능한 한 자신의 문화를 괄호치고 연구하는 사회의 문화를 그 사회의 총체적인 맥락에 비추어 드러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달리 말하면 비교적인 시각을 갖되 연구하는 문화를 자신의 문화에 비추어 비맥락적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3. 방법론적 지향으로서 문화상대주의는 각 사회마다 문화가 다르므로 연구자는 가능한 한 자신의 관점을 유보한 채 연구하는 사회의 문화를 내부자들의 시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참여관찰과 문화 기술적 면담 등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실천적 지향으로서 문화상대주의는 각 사회마다 문화가 다르므로 어떤 사회가 다른 사회보다 우월하다고 말할 수 없으며, 그렇게 말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행동하는 것은 자문화중심주의(ethnocentrism)에 빠지는 오류를 범하는 것이 된다고 주장한다. 5. 문화상대주의는 오랜 형이상학적 문제인 일(一)과 다(多)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하나의 방식으로서, 인류의 다양성을 현실적인 외양으로 인정하면서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편견과 선입견, 그리고 그로 인한 불화와 갈등을 극복하는 종적 통일(種的 統一)을 전제로 한다. |
문화습성 文化習性 cultural habitus
|
1. 한 문화집단의 성원들을 결속시켜주고 그들을 다른 문화집단의 성원들과 구분해주는 독특한 생활방식, 지각, 그리고 이해를 구성하는 일련의 지속적인 행동성향을 지칭함?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신적, 육체적, 감정적 특성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회구조적 요소까지도 포함한다. 2. 그러나 계급문화로도 또한 한 개인의 개별적인 행동성향으로도 환원될 수는 없는 초기 사회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일차적인 분류의 형태를 의미한다. 3. 부르되(P. Bourdieu)는, 이 문화습성을 집단과 집단의 문화적인 차이를 구분해주는 역할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지배집단의 문화적 재생산활동의 과정과 결과에 정당성을 부여하여 주는 역할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강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