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교육 民主主義敎育 democratic education
|
1. 민주주의의 원리가 교육 전반의 과정이나 활동을 지배하거나 규정짓는 준거로 채택되는 교육 2. 이러한 민주주의 교육에 대비되는 개념으로는, 교사의 권위가 전적으로 인정되고 학생들은 단지 이에 맹종할 따름인 권위주의 교육(authoritarian education), 교사가 학습자가 하는 대로 그대로 방치하는 방임주의 교육(laissez-faire education)이 있다. 3. 민주주의 교육은 교사가 아동을 이해하고 아동이 교사를 존경하는 상호 작용 속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이다. 4. 민주주의의 원리는 대체로 인간의 기본권 보장?상호인격존중?자유?평등 등으로 표현된다. 5. 듀이(J. Dewey)에 의하면, 민주적인 사회란, 그 사회에 구성원들이 서로 공유하고 있는 공통이해 부분이 많으며, 구성원 상호간의 상호교섭이 자유롭게 전개되는 사회로서, 교육이 일종의 사회적 현상인 한, 민주주의 교육은 민주적인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 6. 우리가 보통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할 때, 그 교육이란 바로 민주주의 교육을 말하는 셈이다. 7. 칸트(I. Kant)의 “모든 인간을 단지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목적으로서 대하라”는 경구(驚句)는 어쩌면 교육에서 지켜져야 할 민주주의의 원리를 한마디로 잘 표현한 것인지도 모른다. 8. 오늘날 학교교육이 전반적으로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통제를 받으며 한꺼번에 많은 학생들에게 공통적인 교육내용을 가르치는 상황에 있어서, 어떻게 교육의 자율성을 유지하며,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느냐가 민주주의 교육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
박물관 학습 博物館學習 museum learning
|
1. 박물관을 통한 경험 또는 경험의 반복에 의하여 생기는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 또는 그 결과를 지칭 2. 박물관은 실물 또는 인류의 예술적, 역사적, 과학적 유산 등을 수집, 보관, 그리고 전시하는 시설로서 넓은 의미의 사회교육 시설이다. 3. 박물관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를 살펴보면 과거 및 현재의 자료와 그를 보관?전시하는 시설, 그리고 시설을 이용하는 자가 존재한다. 4. 박물관은 그의 이용을 통하여 과거 및 현재의 자연적, 문화적 유산 등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개개인의 가치, 신념, 지식, 그리고 태도의 변화 등과 같은 개개인의 행동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
박사제도 博士制度
|
1.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있었던 정규학교 교수의 명칭 2. 고구려 소수림왕 2(372)년 유교대학으로 태학(太學)을 세우고, 거기에 태학박사(太學博士)를 두어 교수케 하였다. 3. 백제에서는 학교를 세웠다는 기록이 있으나, 일찍부터 고등교육으로 「박사의 제(制)」가 있어 시(詩)?서(書)?역(易)?예기(禮記)?춘추(春秋)의 5경(五經) 박사와 기타 각종 전문에 관한 박사를 두어 교육을 맡아보게 했으며 또한 일본에 초빙되어 가기도 했다. 4. 신라의 국학(國學)에도 각 학과의 교수로 박사를 두었으며, 고려 역시 국자감(國子監)이란 중앙 교육기관을 설치하여 국자학(國子學)?태학(太學)?사문학(四文學)?율학(律學)?서학(書學)?산학(算學)의 여러 과를 두고 각과에 국자박사(정 2품) 2인, 태학박사(종 2품) 2인, 사문박사(정 8품) 2인, 서학박사 2인, 산학박사 2인을 두어 교수케 하였다. 5. 조선시대에는 성균관에 박사 3인, 홍문관(弘文館)에 1인, 규장각(奎章閣)에 2인, 승문원(承文院)에 2인 등을 두어 각각 교수의 임무를 담당케 했다. 그 직위는 정 7품의 품계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
박애학교 博愛學校 Philanthropinum
|
1. 루소(J.J.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을 가장 많이 받아들여 교육실천에 옮긴 바제도우(J.B. Basedow)가 세운 학교 2. 루소는 1771년에 친교를 맺은 괴테의 알선으로 레오폴드(Leopold)의 초청을 받아 교육고문이 되어 그의 후원으로 1774년 이 학교를 세웠다. 3. 특징 ⑴ 빈부의 차별이나 종파의 구별 없이 모두 박애정신으로 교육했다. ⑵ 교육을 아동의 행복을 위한 도야(陶冶)로 보고 그렇게 하기 위하여 국어과(國語科)를 비롯한 실용적인 실과교육을 중시했다. ⑶ 직관(直觀)과 유희를 중시하고 아동을 유쾌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공부를 시켰다. ⑷ 체육을 중시했다. ⑸ 체벌을 피하고 칭찬에 힘쓰며 성적에 의한 석차를 정하여 경쟁심을 고취했다. ⑹ 문법부터 시작했던 어학교수(語學敎授)를 회화부터 시작했다. ⑺ 아동문고를 많이 제공했다. 4. 1793년 창립 20년이 못되어 문을 닫았다. |
반분신뢰도 半分信賴度 split-halves reliability
|
1. 하나의 검사를 실시한 후에 두 개의 동형검사를 두 개의 동등한 부분으로 나누어 따로 채점하여 두 개의 반분된 검사간의 상관관계를 얻은 후, 이를 전체검사에서 기대되는 상관관계로 수정한 신뢰도. 2. 동형검사 신뢰도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떻게 한 검사를 두 개의 동등한 부분으로 나누어 동형검사의 성립기준에 맞도록 하느냐가 문제가 된다. 3. 가장 엄밀한 방법으로는 문항분석을 통하여 문항의 곤란도?내용 및 변별도 등을 고려하여 두 문항을 가장 동등한 것끼리 선정하여 양쪽으로 동등하게 나누어 나가는 방법이다. 4. 이상적이긴 하나 실제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므로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전후반분법 및 기우반분법 등을 사용한다. 5. 반분된 두 검사 간에 얻어진 신뢰도계수는 어디까지나 반분된 검사의 신뢰도이므로 실제 사용되는 전체검사의 신뢰도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스피어만-브라운 교정공식을 사용해야 된다. 6. 전후반분법, 기우반분법, 스피어만-브라운 교정공식 |
반성 反省 reflection
|
1. 개인 자신의 생각이나 기억되는 경험들의 내용 또는 성질 등에 대한 내성적 숙고(內省的熟考) 2. 이때 반성해야 될 대상(對象)의 원리에 따라서 하는 것이 아니라 반성자 자신이 자유롭게 수립한 목적개념(目的槪念)에 따라 평가?반성해야 한다. |
반성적 사고 反省的思考 reflective thinking
|
1. 자아 혹은 자아의 기능을 성찰(省察)하면서 전개되는 사고 2. 외계(外界)의 사물에 대한 관찰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자신의 마음이 작동하는 과정을 성찰하는 것이며, 공상이나 백일몽과 같은 통제되지 않은 생각의 전개와는 구별되는 것이다. 3. 로크(J. Locke)는, 마음 그 자체의 작동으로 지식을 획득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하였고, 근래에는 내성적 사고(introspective thinking)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4. 듀이(J. Dewey)는 반성적 사고를, 문제해결의 심리적 과정을 나타내는 말로 사용하고 있다. 듀이에 의하면, 인간의 행위는 주어진 상황적 조건을 수단의 원천으로 하여 어떤 목적 혹은 목표를 세워놓고 그것을 추구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이 방해를 받는 상황을 문제상황이라고 하고,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가설적인 생각들을 검토하여 목적의 실현을 기하려는 통제된 사고의 전개를 반성적 사고라고 한다. |
반종교개혁 反宗敎改革 Counter Reformation
|
1. 루터(M. Luther)와 캘빈(J. Calvin)의 종교개혁에 대한 천주교의 대항운동 2. 17세기초에 일어난 개신교(改新敎)에 대한 항거와 개신교 지역 내의 천주교화 운동을 의미한다. 3. 넓은 의미로는 천주교 자체 내의 모든 쇄신운동을 말한다. 4. 반종교개혁의 주축은 예수교단(Societas Jesu)과 프란체스코 교단의 분파인 카푸치 교단(Kapuziner)이었다. 5. 반종교개혁이라는 말은 1776년에 퓌터(J. St. Putter)에 의하여 18세기 후반에 영주에 의한 개신교 지역의 재천주교화(再天主敎化)를 칭하는 말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6. 예수교단의 창설자 로욜라(I. Loyola)는 교황에 대한 절대순종을 교단의 서약신조의 하나로 삼고, 교회 내적 쇄신을 과제로 삼았다. 7. 1648년의 30년 전쟁의 종식으로 내적 쇄신과 외적 강화를 가져왔으며, 개신교의 신학적 정립(定立)과 내적 충실을 초래하였다. ?종교개혁 |
반주지주의 反主知主義 anti-intellectualism
|
1. 합리성의 가치를 거의 절대시해 온 서양의 전통적 주지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난 정신. 2. 반주지주의적 경향의 유래를 구태여 따져본다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20세기의 시대적 산물이다. 3. 반주지주의라는 그 이름이 주는 느낌은 지성보다는 감성(感性)에 더 높은 가치를 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반주지주의자들은 감성적 요소의 가치를 주장하는 데 있어서 합리성에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결국 반주지주의는 제반 인간사(人間事) 중에서 합리성의 역할과 비합리성의 역할을 합리적으로 따져 비합리성의 역할을 부각시키는 데 역점을 두었다. ※ 이런 면에서 반주지주의는 계몽주의의 진정한 상속자라고 할 수 있다. 4. 반주지주의자는 그 밑바탕에 인간의 사고력이 인간을 보다 훌륭하게 만들 수 있다는 굳은 신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프로이드(S. Freud) 같은 사람도 합리성보다는 리비도(Libido), 에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같은 인간의 비합리적인 것들은 연구하였지만 사실상 인간의 마음의 한 측면을 보다 과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하고자 하는 데 그 근본 뜻이 있었다. 5. 어떻게 보면 반주지주의 때문에 주지주의가 더욱 빛을 본다고 할 수도 있다. ?주지주의 |
발견적 發見的 heuristic
|
1. 비구조화된 엉성한 사태나 환경에서 질서나 원리를 찾아내는 것 2. 학교학습 사태에서 학생들에게 학습의 주된 역할을 하도록 이끄는 수업의 상황을 일컫는다. ?발견적 수업 |
발견적 수업 發見的授業 discovery instruction
|
1.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학습재료 또는 학습과제를 최종적인 형태로 제시하지 않고, 그 최종적인 형태를 학생 자신이 찾도록 하는 수업 2. 이는 개념?원리?명제 등을 그대로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설명식 수업이나 수용적(受容的) 학습에 반대되는 수업방법이다. 3. 발견적 수업에서는 교사는 항상 비구조적인 환경을 구성하여 학생이 이를 구조화하거나 구조를 찾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4. 발견적 수업은 그 수준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된다. ⑴ 가장 낮은 수준으로서 학습문제 또는 목표와 수단(또는 단서)을 제시하면서 해결안을 학생이 찾도록 하는 방법 ⑵ 문제와 목표는 교사가 제시하면서 해결을 위한 수단과 해결안 두 가지를 학생이 찾도록 하는 방법 ⑶ 문제의 설정까지 학생이 발견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수업방법 5. 발견적 수업은 학생들의 지적 수준이 높거나 연령이 높은 집단, 혹은 선행학습이 갖추어져 있는 집단이나 학습동기가 높은 집단에 적절한 수업방법이다. 6. 학습과제의 측면에서는, 인지전략(認知戰略)이나 가치관 형성과 같은 고차적(高次的)인 학습과제일 경우에 발견적 수업이 효과적이다. |
발견적 학습 發見的學習 discovery learning
|
1. 교사의 도움 없이 학생 스스로가 어떠한 과제의 학습을 완수하도록 유도하는 방법 2. 1960년대의 학문중심적 교육과정에서 특히 이 방법이 강조되었다. 3. 학생에게만 맡기지 않고 교사가 어느 정도의 지도를 하여 발견하게 하는 방법을 지도적 발견(guided discovery)이라고도 한다. 4. 전적으로 학생에게만 맡기는 발견적 학습은 낭비적이라는 반성과 비판이 있어 지도와 발견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지도적 발견이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
발달 發達 development
|
1. 유기체가 그 생명활동에 있어서 환경에 적응하여 가는 과정 2. 동물과 인간의 발달은 생후부터 사망까지 전기간에 걸쳐 일어나며, 인간의 경우에는 아동발달에 특히 중점을 둔다. 3. 발달의 개념은 카마이클(L. Carmichael)이 주장하는 것처럼 성장과 양적인 증가로 발달을 간주하는 것이며, 둘째는 뵐러(K. Buhler)와 게젤(A. Gesell)의 입장과 같이 발달을 보다 나은 단계로 전개되는 질적인 변화로 이해하는 것이다. 셋째는 스턴(W. Stern)의 주장과 같이 발달의 개념에 결정적 요인, 즉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념규정은 현재에는 그렇게 중요시되지 않는다. 4. 발달과 학습의 차이는 발달이 학습의 특수한 유형이라는 점에 있다. 다른 각도에서 보면 발달은 보다 넓은 뜻으로 유기체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5. 발달과정은 다양한 연령수준을 종단적 또는 횡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단기간의 효과를 규명할 수도 있다. 6. 근자에는 전생애 발달(life-span development)을 전후 맥락 속에서 연구하는 새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
발달과업 發達課業 developmental task
|
1. 한 특정 문화권(文化圈) 또는 하위문화권 내에서 발달하는 각 아동이 당면하게 되는 과업 2. 해비거스트(R.J. Havighurst)는 발달과업의 개념을 발달전망의 측면에서 정상적인 인간 발달을 기술하는 데 사용했다. 3. 아동이 각 발달과업을 완수하게 될 때까지 각 발달과업들은 대체로 아동의 동기유발(動機誘發)과 흥미의 핵심을 이루게 되며 과업이 완수 된 후에는 아동을 묘사하고 각 아동들을 비교하는 데에 중요한 기점으로 사용하게 된다. 4. 발달과업은 각 문화권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으나 대개가 연령에 따라 계열화(系列化)되어 있다. |
발달단계 發達段階 developmental stage
|
1. 인간발달의 연속선상에서 현저하게 구분되는 어떤 기준에 따른 단계 2. 각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는 나타나지 않았던 어떤 특징적인 행동이나 특성이 어떤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처음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하나의 단계는 새로운 단계로 들어가면서 끝나게 된다. 3. 프로이드(S. Freud)는 성본능(性本能)과 관련지어서 인간의 발달단계를 구강기(口腔期, oral stage)?항문기(肛門期, anal stage)?성기기(性器期, phallic stage)?잠복기(潛伏期, latent stage)?성욕기(性慾期, genital stage) 등의 5기로 구분하였다. 4. 피아제(J. Piaget)는 사고(思考)와 동작이 통정(統整)된 심리적 도식의 내용이 변화함에 따라 발달단계를 감각운동기(sensory-motor stage)?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및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의 4기로 구분하였다. 5. 헐로크(E. B. Hurlock)는 개인의 전 발달 과정을 10단계로 구분하였다. 즉, 임신부터 출생까지를 출산전기, 출생부터 2주까지를 신생아기, 2주~2세를 유아기(幼兒期), 2~6세를 아동초기, 6~10세 또는 12세를 아동후기, 10(또는 12)~14세를 사춘기, 14~17세를 청년초기, 17~21세를 청년후기, 21~60세를 성년기, 60 이후를 노년기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