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私敎育費 private expenditure for education
|
1. 공교육비 이외에 학생의 보호자가 학교교육을 위하여 자의(自意)에 따라 추가로 지출하는 모든 경비 2. 사교육비 내역에는 학생이 아닌 자가 생활을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비 3. 불포함의 예 :숙식비?피복비 등 4. 우리나라에서 사교육비라 함은 교재비(敎材費, 초등학교는 예외임), 부교재대?학용품비?과외수업비?학교 지정용품비?단체활동비?교통비의 7가지 항목에 필요한 경비를 말한다. 5. 사교육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금전출납부 분석방법?면접법?질문지법이 있는데 이 중에 비교적 정확한 방법은 금전출납부 분석방법이다. 6. 교육의 기회균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전체 교육비 중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재정적인 면에서 기회균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즉, 교육은 부모의 부(富)에 의하여 좌우되어서는 안되는데 국가에서 통제할 수 없는 부문인 사교육비가 많다고 하는 사실은 그만큼 교육기회가 불공평한 것이다. 7. 사교육비 중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과외수업비로서 이는 학부모의 부담을 과중시켜 가정경제를 압박할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학교교육을 침해하고 전인적(全人的) 발달을 저해시킬 가능성이 있다. 8. 교육의 공공성을 위해서 가능한 한 사교육비의 비율이 적어져야 한다. |
사대부 士大夫
|
1. 왕?제후(諸侯) 아래서 벼슬을 하여 정치의 실무(實務)를 장악하고 영토를 세습적으로 소유한 치자계급(治者階級). 본래 중국에서 전래된 것으로 사인(士人)이 벼슬하면 위에 있게 되므로 후세 사람들은 이를 사대부(士大夫)라 불렀고, 물러나면 이를 사군자(士君子)라 불렀다. 2. 사인의 생활에 있어서는 정치와 교육이 서로 관련되어 통합되는 것이다. 3.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조선시대의 문벌(門閥)이 높은 사람, 또는 현직?퇴직 관리를 중심으로 한 유교적 지식계급을 사대부라 하였다. |
사례연구법 事例硏究法 case-study method
|
1. 아동 및 학생의 문제행동의 특성과 원인을 찾아내서, 거기에 대한 교육적 대책 또는 치료적 대책을 강구하기 위하나 연구방법의 하나. 2. 특정 아동이나 학생의 문제행동의 소재를 밝혀내기 위해 출생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생활사(生活史)를 기초로 해서, 여러 가지 면에서 여러 가지 수단으로 총합적으로 또 조직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방법이다. 3. 이 방법은 특정 아동과 학생의 행동뿐 아니라, 문제행동 일반에 관한 보편적 이론을 얻어내려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 4. 개인의 생활사를 수집하는 방법이나 내용이 반드시 일정한 것은 아니다. 대체로 드러난 문제행동과 관련지어서 가계?가족관계?친구관계?물리적 환경?신체?기능?학업?성격 등의 여러 가지 사항에 대해서 상세하게 조사하게 된다. 5. 조사를 위해서는 전문조사원?심리학자?의학자?교사 등이 이들 항목에 대해서 관찰?테스트?측정?면접 등을 실시하거나, 일기(日記)나 자서전 등을 분석하며, 이밖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여러 가지 자료를 활용한다. 이들 자료를 총합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해서 문제행동 발생의 메커니즘(mechanism)과 이에 대응하는 처치방법을 연구하게 된다. 6. 이 방법은 학교뿐 아니라 각종 시설에 설치된 교육 및 심리상담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임상법 |
사립학교 私立學校 private school
|
1. 학교 법인(學校法人)이나 공공단체 이외의 법인 또는 사인(私人)이 설립한 학교 2. 국립학교나 공립학교에 대조되는 개념 3. 학교 법인은 재단법인으로서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 등은 학교법인만이 설립할 수 있다. 다만 산업체에 부설되는 근로청소년들을 위한 중?고등학교는 예외가 된다. 4. 사립학교는 1960년에 제정된 사립학교법의 규제를 받고 있으나 그 자율성과 공공성 보장 및 특수성의 신장을 위하여 특수한 정책 배려를 필요로 한다. 5.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립학교의 설치를 인정하고 있으나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사립학교의 설치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6. 한국에서는 초등교육을 제외하고 사학(私學) 의존도가 매우 높은 편이나 교육대학은 사립학교 설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7. 사립학교 중 종립학교(宗立學校)는 종교교육(宗敎敎育)을 실시하는 것이 통례이다. |
사립학교법 私立學校法
|
1. 1963년 사립학교의 특수성에 비추어 그 자율성을 확보하고 공공성을 앙양할 것을 목적으로 제정된 법률 2. 사립학교 법인?사립학교 경영자?사립학교 교원 등에 관하여 통제와 조성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3. 일본?자유중국 등에도 사립학교법이 제정되어 있다. 4. 한국의 사립학교법은 특히 통제에 치우쳐 있다는 점이 문제시되고 있으며 감독관청에 의한 사립학교의 장(長)과 임원의 승인?취소권 등이 그 초점으로 제시되어 있다. |
사분편차 四分偏差 semi-interquartile range
|
1. 변산도 지수의 하나로서 점수분포의 중앙부에서 전체 사례의 50%를 포함하는 범위의 반(半). 단순범위는 변산도 지수로서, 극단한 점수의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는 방법이다. 2. 이것은 범위를 양극단의 점수가 아닌 어떤 일정한 위치의 점수 간의 거리를 범위로 하는 경우에, 이를 특히 백분위 점간범위(百分位點間範圍)라고 한다. 3. 예 : 분포의 양극단에서 5%씩 안으로 들어온 점수 간의 범위() 또는 10% 위치에 있는 범위 () 등이 사용된다. 사분편차는 각각 상하위로 25% 위치에 해당되는 점수의 범위, 즉 ()를 2로 나눈 값이 된다. 흔히 에 해당되는 점수를 , 에 해당되는 점수를 이라고 하면 사분편차 Q는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 변산도 |
사학 四學
|
1. 조선시대에 서울의 동?서?중?남의 4부에 세운 학교 2. 본래 북부의 학교까지를 포함한 5부학당을 계획하였으나 북부학당의 설립을 보지 못하여 4부학당으로만 존재하게 된 것이다. 3. 처음에는 학사(學舍)가 없어서 대부분 사원(寺院)을 이용하여 시작하였다. 4. 4학(四學)은 성균관(成均館)에 비하여 규모가 작고 교육 정도가 낮은 점, 그리고 문묘(文廟)를 두지 않은 점 등을 제외하고는 교육방침?교육내용 등에서 성균관과 비슷하였다. 그러기에 사학에도 재사(齋舍), 즉 기숙사를 마련하고, 각 학당의 학비는 모두 관급(官給)이었으며 면학분위기가 역연했다. 5. 국가에서는 성균관 직원과 예조(禮曹)?사헌부(司憲府) 직원으로 하여금 수업과정 상황을 감독하도록 하는 등 대단한 관심을 기울였다. |
사회계층 社會階層 social stratum
|
1. 재산?수입?직업?교육?종교?인종?혈연 등 객관적 조건이 동일한 사람들의 집적(集積) 2. 사회계층은 사회성층(成層)이라고도 하며, 일종의 통계학적 집단 또는 사회적 범주이다. 3. 학자에 따라 소득을 위주로 계층을 구분하기도 하고, 직업 지위를 위주로 구분하기도 하며, 소득?직업?교육수준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구분하기도 한다. 4. 계층은 계급을 포섭하는 상위 개념이며, 계급은 계층의 일종으로서 계급 귀속의식과 이데올로기를 공유하는 집단이다. 5. 계층 혹은 계급은 사회구조를 이해하는 기본적 개념이며, 권력의 차등에 의해 형성되는 계급을 사회구조의 근간으로 보느냐, 기능의 분화(分化)에 의해 형성되는 계층을 근간으로 보느냐에 따라 사회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진다. 6. 계급을 사회구조의 근간으로 보면, 권력과 이해관계의 대립으로 착취와 사회적 투쟁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고 보게 되며, 계층 따른 기능의 분화를 사회구조의 근간으로 보면 사회화 과정을 통한 지배적 가치 패턴의 유지를 통해 사회의 질서와 안정이 유지된다고 보게 된다. 7. 후기 산업사회에 들어와 권력과 이해관계가 뚜렷이 구분되는 계급의 양극화 현상이 줄어들고, 직업이 다양화되면서 그에 따른 수입이 사회적 지위와 권위를 결정하고 힘(power)을 부여한다고 보는 계층론이 확산되고 있다. 8. 직업의 다양화는 횡적으로는 분야(分野)에 따른 분화를, 종적으로는 기능(機能)에 따른 분화를 초래하여 복잡한 계층화 현상을 낳고 있다. 직업의 다양화로 인해 분화된 계층들은 각기 그들 나름대로의 특이한 생활의식과 행위양식을 갖고 있다. |
사회과정 모형 社會科程模型 model of social process
|
1. 사회심리학적 틀에 기초하여 사회체제의 행동을 규범적 요소와 개인적 요소간의 상호작용의 산물로 설명하는 모형 2. 겟젤스(Getzels)와 구바(Guba)에 의하여 확립 3. 사회적 행위는 개인의 행위에 대한 유형화된 규범적 역할기대로 구성된 환경을 개인의 성격을 이루는 욕구 및 기질의 유형과 조화되는 방향으로 이끌려는 시도의 결과로 도출된다. 이러한 관계를 겟젤스는 B=f(R× P) (B:사회적 행위, f:함수, R:역할, P:인성)이라는 함수로 표시한다. 행정은 사회체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과정으로서 구조, 기능, 운영의 세 차원에서 분석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행정은 사회체제내 상위자와 하위자 관계가 계층을 이루는 형태로 파악 된다. 4. 운영 면에서 행정은 개인 대 개인의 상호작용의 과정이다. 5. 역할과 인성의 관계로 구성된 이러한 사회체제에는 역할갈등, 인성갈등, 역할인성 갈등이 내재되어 있다. ⑴ 역할갈등 : 하나의 역할 담당자가 서로 배타적인 또는 모순이 되는 많은 역할기대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요구받거나, 한 개인이 동시에 여러 가지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각각의 역할기대간에 생기는 갈등이다. ⑵ 인성갈등 : 역할담당자의 인성 내에서 서로 대립하는 욕구와 기질이 작용할 때 발생한다. ⑶ 역할-인성갈등 : 외부적으로 규정된 역할과 내부적으로 정의된 인성간의 부조화로 생긴다. 6. 객관적으로는 역할과 인성간에 갈등이 없지만 역할 담당자가 역할을 잘못 인식함으로써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 7. 행정가의 주요 임무는 이상과 같은 갈등을 제거하여 기관 목표 달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
사회도측정법 社會度測定法 sociometry
|
1. 한 개인 또는 한 학생이 자기 동료에 의해서 어떻게 인식되고 받아들여지고 있는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여러 방법 2. 한 학급이나 소집단 내의 역동적 사회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또는 어떤 특정한 소집단을 구성하는 데 학생간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 3. 예 : 같이 일하고 싶은 사람, 공부하고 싶은 사람, 또는 같이 앉고 싶은 사람의 이름을 하나 또는 둘 정도 써 내놓도록 한 다음 선택이 제일 많이 된 인기학생(star)을 중앙에도 놓고 외톨박이(isolates)는 주변에 그 위치를 나타내고 그 이외의 학생들은 선택된 정도에 따라 중앙과 주변 사이에 그 위치를 나타낸다. |
사회성의 발달 社會性―發達 social development
|
1. 사회에서 독립된 개인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지는 능력이 연령 도는 발달단계에 따라 나타나거나 획득되는 것 2. 다른 영역의 발달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이 사회성 발달은 인간이 인간의 사회에 접속될 때에 가능하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3. 예를 들어 유아기(乳兒期)에는 모자관계의 형성, 학령전기에서는 공격성(攻擊性)의 발달, 성(性) 역할의 학습, 또는 집단의 형성 등의 문제가 있고 소년?소녀기에는 도덕성의 발달, 사회관계의 상보성, 또래 집단의 영향 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며 청년기에 들어서면 가치관의 형성, 사회적 독립성의 성취, 자기역할 정의 등 여러 문제에 당면하게 된다. 4. 일반적으로 사회성 발달은 자기와 타인과의 관계에 대한 꾸준한 재정의(再定義)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 社會再建中心敎育課程 social reconstructionist curriculum
|
1. 1920-30년대 미국에서 태동된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의 한 동향 2. 기존 사회 질서에의 적응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에 반대하여 사회의 새로운 목표의 지향과 사회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에 교육과정 설계의 초점을 두고 있다. 3. 1950년대에 브라멜드(Brameld)가 이 사조를 발전시키고, 그 이후 프레이리(Freire)의 급진교육개혁 운동, 세인(Shane) 등의 미래 교육학 운동들이 각각 그 방법적 접근은 다르지만, 새로운 사회 건설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의 입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4. 사회재건주의 학자들은 사회는 기득권을 누리는 소수 그룹의 설득과 저지 때문에, 비록 다수의 사람들이 진정으로 바라는 이상적인 가치가 있을 지라도 이를 추구하기 위해서 책임 있는 역할을 감당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러므로 교육은 시민들로 하여금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실현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 가는 데 필요한 의식과 능력을 길러주는 것 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5. 교육과정을 보는 입장 ⑴ 새로운 문화 창조에 대한 헌신을 해야 함 ⑵ 진정한 민주적 질서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 소수 기득권 세력의 영향을 배제하고 근로 대중이 주도력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함 ⑶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가 합의한 틀 안에서 개인적 만족을 찾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학습을 강조함 ⑷ 변화의 가치를 수용하되 민주적 절차에 대한 존중이 필요함 6. 이러한 특징이 반영되기 위해서 교육과정은 인류가 당면하는 심각하고 위기적인 문제들을 학습자들이 대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그러한 심각한 문제들은 단순히 실험실이나 책을 통한 탐구로만 끝날 것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사람들과 더불어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7. 교육과정 조직은 마치 마차바퀴와 같은 조직 체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정된다. 즉, 해결되어야 할 인류의 심각한 문제를 바퀴의 축이라고 보고, 그 문제 해결에 필요한 학습 내용으로 구성된 코스들을 바퀴의 살에 해당된다고 보며, 인류의 보편적 원칙이나 곤경, 소망에 해당하는 주제들은 바퀴 테두리 또는 둘레와 같은 것으로 상정한다. 이것은 마치 바퀴 둘레가 여러 살들을 하나의 원으로 통일시키는 것처럼, 교육과정에 제시되는 여러 코스들을 하나의 전체로 연결?통일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8.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은 새로운 사회 질서 또는 이상적 사회건설에 대한 연구가 강한 곳이면 어느 곳이나 설득력을 가질 수 있는 교육과정이다. 다만 하나의 사실적 현상에 대해서조차도 다른 해석이 가능하고, 각 사람의 관점의 차이에 따라 이상적 사회에 대한 생각이 다를 수 있는 현대 사회에서, 이상적인 사회상에 대한 합의를 어떻게 구하며, 그 방법적 대안을 어떻게 마련하느냐 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여기에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의 어려운 과제가 있다. |
사회적 상호작용 社會的相互作用 social interaction
|
1.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집단?사회체제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호이해하거나 어떤 반응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2.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람들은 같은 집단의 성원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서로의 행동을 인정 또는 부정하기도 하고, 역할기대가 형성되며, 서로 신체적으로 떨어져 있어도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3. 현대사회에서는 여러 가지 상호작용 형태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상징적 상호작용(symbolic interaction)은 중요한 개념의 하나이다. |
사회학습 이론 社會學習理論 social learning theory
|
1. 대인(對人) 및 집단상황에서 일어나는 인간행동의 형성과 변용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 2. 이 이론의 입장에서는 인간의 사회적 행동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격 같은 심리적 특성도 사회적 과정, 특히 대인 관계를 통해 학습된다고 본다. 그래서 동물의 행동보다 인간의 학습행동을 중시하며, 언어?인지?동기?태도?가치관 및 퍼스낼리티(personality) 등을 특히 중요시하고, 인간의 사회적 상호관계가 이러한 심리적 특성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의 이러한 특성이 사회적 상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가진다. 3. 대표적인 사회적 학습이론 ⑴ 사회적으로 보상받은 행동은 강화되고, 그렇지 못한 행동은 약화된다는 행동주의와, 심리학적 강화의 원리로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는 강화이론 ⑵ 대부분의 학습은 대인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며,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고 관찰함으로써 사회적 행동이 학습된다는 관찰학습 또는 모방이론 ⑶ 사회적 상호작용 관계의 상황에서 서로 주고받는 상과 벌, 보상과 희생의 이해관계로서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려는 사회적 상호작용 관계의 이론 ⑷ 개념형성?지각?인지조직?태도?신념 및 기대 같은 인간의 내적?심리적 과정, 즉 인지과정을 강조하는 인지이론의 입장 |
산업혁명 産業革命 industrial revolution
|
1. 1760년 영국에서 시작한 산업상의 대변혁 2. 생산체제가 수공업적 가내공업에서 공장제 기계공업으로 바뀐 것 3. 단순히 생산체제만 변화된 것이 아니라 경제기구?사회구조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프랑스의 산업혁명은 영국보다 30~50년 늦게 7월 왕정 하에서 본격적 진전을 개시하였으나 그 속도는 완만하게 제 2 제정기에야 겨우 완성기에 들어갔다. 독일의 산업혁명은 영국?프랑스보다 늦어 1830년대부터 겨우 방직업에서 기계가 도입되기 시작하여 1850년대부터는 석탄?철강?산업 및 철도로 아울러 발흥하게 되었다. 이 산업혁명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지반을 구축하게 되었다. 4. 산업혁명은 교육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새로운 문제를 가져왔다. ⑴ 빈민계층의 교육문제 ⑵ 비숙련공?부녀자?소년근로자의 교육문제 ⑶ 공업도시 주변의 퇴폐적 환경의 교육적 정화에 관련된 문제 등 5. 오웬(R. Owen) 등은 이들을 위한 빈민학교를 세워 교육사업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