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이론 生態理論 ecological theory
|
1. 유기체와 환경의 관계를 연구하는 생태학(生態學)의 이론 2. 교육학에서는 인간행동의 학습과 변화를 생태학적 이론을 적용하여 연구하는 이론을 뜻한다. 3. 대표적인 예로 바아커(R.G. Barker)는 인간행동이 생활환경에서 주어진 행동무대(行動舞臺)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다. 행동무대는 제각기 독특하고 지속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사람으로 하여금 그것에 맞추어서 행동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에 행동은 그 무대에 따라서 달라진다. 아동의 부적응행동(不適應行動)은 아동이 생활하고 있는 환경의 행동무대가 비정상적이거나 병리적 특징을 지니고 있을 때 그런 행동무대에 맞추어서 행동하는 것이다. 이 이론의 특징은 환경이 인간행동을 결정한다고 하는 점이다. ?생태심리학 |
생활적응 교육 生活適應敎育 life adjustment education
|
1. 학교교육과 실생활과의 접근, 나아가서는 생활에 적응하는 교육을 강조함으로써 생활에 유용한 인간을 육성하려는 교육 2.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흥미나 일상생활의 경험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구성되며, 학습자 스스로가 생활하고 행동하는 것을 통하여 학습하게 하는 것을 학습방법의 기본으로 삼는다. 3.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를 충실한 사회의 생활자로 육성하려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교육이다. 4. 생활적응 교육에서의 생활경험은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전개되므로 지역사회의 성격에 따라 결정되는 일이 많은데 그 중에서도 현재 학생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 특히 학생들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그들이 무관심하면 아무리 당면한 과제라 할지라도 학습문제로 성립될 수 없기 때문이다. |
생활중심 교육과정 生活中心敎育課程 life-centered curriculum
|
1.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의한 전통적인 학교교육은 청소년들의 현실생활과 유리되는 흠이 있다는 비판 아래 생활교육의 이론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내적 요구와 생활경험의 체계에 따라 구성된 교육과정 2. 생활에서 사회의 운영이나 개인의 활동이 집중되어 가는 것을 포착하여 그것을 기반으로 마련하는 교육과정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사회조사와 아동조사를 실시한다. 3. 사회조사는 어떤 생활경험이 갖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여 사회의 요구를 찾고, 아동조사는 개개 학생의 필요?욕구와 그들이 지니는 문제를 확실히 찾아내서 교육과정 구성에 직접적인 기초를 마련한다. ※ 이와 같이 함으로써 주된 생활영역을 영역(scope)으로 하고, 학생의 발달단계에 따라 계열(sequence)을 정해서 종횡(縱橫)이 맞는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다. 5. 이 유형의 교육과정은 1929년을 전후한 미국의 미증유의 경제공황 이후 1930년대에 완성되었다. |
생활지도 生活指導 guidance, student personal service
|
1. 학생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기 위하여 생활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실적 문제를 개인의 특성에 알맞게 지도하는 일 2. 개인생활과 사회생활에서의 만족?행복?효능성을 증진하고 개인의 자아실현(自我實現)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3. 자아실현을 도모하기 위해서 학생 자신의 자기이해?자아수용?자아존중을 증진하고 환경의 인간적?사회적?과업적(課業的) 특징 등을 이해하고 다루어 나갈 수 있도록 원조하는 활동을 한다. 4. 개인상담?집단상담?심리검사?심리적 평가?정보봉사(情報奉仕)?정치활동(政治活動) 등을 중심으로 하며 자문과 조정(調整)의 활동도 점차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생활지도 활동은 역사적으로 훈육(訓育), 학생운동의 지도, 정신건강운동, 직업지도운동 등과 깊은 관련이 있다. 5. 최근에는 학생의 전인적(全人的) 발달을 최대한도로 촉진하는 것이 강조되며 발달에 필요한 전문적 봉사를 제공하여야 된다는 점에서 인간봉사(人間奉仕) 또는 인간발달 봉사라는 통합된 이념과 활동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6. 실제에 있어서 이는 진로지도?학업지도?성격지도?여가지도 등의 대상문제에 따라서 나뉘어지기도 한다. |
서답형 書答型 supply type
|
1. 학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출제하는 문항형식의 한 분류로서, 주어진 물음이나 지시에 따라서 학생이 스스로 답안을 만들어서 서술하고 기록해야 하는 문항형식의 통칭(通稱)이다. 2. 예컨대, 단답형(短答型)?완결형(完結型)?논문형(論文型) 등이 서답형 문항에 포함된다. 3. 일상용어로는 주관식 문항(主觀式問項)이라고 불려지며, 선택형(選擇型)의 문항 형식과 대비된다. |
서당 書堂
|
1.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서 국민 대중의 자제들을 위한 민간의 사설 교육기관 2. 서당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학(四學)과 향교(鄕校)에의 입학을 위한 준비기관이었으나, 실제적으로는 지방의 청소년에게 한문(漢文)의 독해력을 이해시키고 유교에 대한 초보적 지식을 이해케 하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3. 설립은 기본자산(資産)이나 인가를 요하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누구나 뜻있는 사람이면 훈장(訓長)한 사람과 방 한 칸으로써 마음대로 설치할 수 있었다. 4. 설립의 종류는 훈장자영(訓長自營) 서당?유지조합(有志組合) 서당?촌조합(村組合) 서당 등 네 가지로 나뉘어 운영되었다. 이는 모두 사설 교육기관으로 훈장?접장(接長)?생도로 조직되었는데, 훈장은 선생이며 접장은 학생의 대표를 말한다. 5. 서당의 교육내용은 강독(講讀)?제술(製述)?습자(習字)의 세 가지이었다. 강독은 처음에 천자문(千字文)으로부터 시작하여 동몽선습(童蒙先習)?통감(痛鑑)?명심보감(明心寶鑑)?경서(經書) 등으로 올라갔다. 6. 서당이 비록 사설기관이라 할지라도 국민대중의 문자교육과 국가문화에 영향을 지닌 이상 국가도 이를 장려치 않을 수 없었다. 7. 효종 10(1659)년에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에게 명하여 서당학규(書堂學規)를 제정케 하였으며, 이것이 소위 향학지규(鄕學之規)이다. 현재에도 산간벽지에는 서당이 간혹 남아 있다. |
서술적 교수이론 敍述的敎授理論 descriptive instructional theory
|
1. 기술적 교수이론(記述的敎授理論) 또는 설명적 이론고도 한다. 2. 처방적 이론과 대조가 되는 말 3. 특정 교수의 조건하에서 특정 교수의 방법이 가져오는 교수결과가 무엇인가에 관심을 갖는 교수이론. 4. 예를 들어 교수연구자에게는 조건과 방법의 변인들이 독립변인들이며 그 변인들의 매개변수들은 상호작용하여 종속변인인 결과변인의 일관성 있는 효과를 산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형식의 이론이 서술적 이론이다. 5. 서술적 이론들은 “만일 A라는 교수방법이 B라는 조건하에서 실행된다며 C라는 결과가 나타날 것이다”라는 형식의 명제를 구성한다. 6. 학습자의 내적 학습과정을 다루고 설명하는 학습이론은 서술적 이론이다. |
서술적 지식 敍述的知識 descriptive knowledge
|
1. 감각을 통해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언어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가지게 되는 사물에 관한 간접적 인식(認識) 2. 지각적 지식(知覺的知識, observational knowledge)에 대립되는 개념이다. 3. 사물에 대한 인식은 원칙상 직접 경험을 통해서 얻는 것이지만, 그 사물의 모양을 서술하는 언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얻기도 한다. 4. 예 : “남극이 얼음으로 덮여 있다”는 것은 직접 가보면 곧 알 수 있지만, 우리는 가보지 않고도 그러한 지식을 가질 수 있다. 그 진술을 구성하는 언어의 의미가 이미 직접 경험된 것이거나 또는 경험된 것으로부터 추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5. 서술적 지식은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사물에 대한 인식을 제공함으로써 인간의 지식을 크게 확장시키지만 확실성이 부족하다. 6. 우리가 배우는 과학적 지식들은 대개 서술적 지식이다. ?지식, 진술 |
서열척도 序列尺度 ordinal scale
|
1. 순서?순위와 같은 상대적 중요성을 나타내는 척도 2. 대상을 재려고 할 때는 자[尺]가 있어야 하지만 자의 눈금으로 쓰이는 수치는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3. 척도는 명명척도(命名尺度)?서열척도?동간척도(同間尺度) 및 비율척도(比率尺度)로 흔히 분류하는데 척도의 성질과 측정하려는 대상의 특성은 잘 대응되어야 한다. 4. 서열척도는 등가(等價)와 순위의 두 가지 성질을 가진다. 예컨대 어떤 대상을 가장 작은 데서 가장 큰 것으로 배열하고 붙이는 수치이다. 대학교수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 및 교수로 나누고 각기에 1, 2, 3, 4로 표시할 때의 척도와 같은 것이다. 즉, 3은 같은 부교수라는 등가를 나타내며 또한 1이나 2보다는 지위상 높고 4보다는 낮다는 순위도 나타내 준다. 5. 서열척도에는 2<3<4와 같은 대소관계(大小關係)의 표시는 가능하지만 3-2=4-3과 같은 가감승제산(加減乘除算)은 불가능하다. 이것이 이 척도의 한계인데 가감이 가능한 동간척도로 변환시킬 수 있는 시도도 있다. |
선다형 選多型 multiple choice type
|
1. 선택형 문항의 한 종류 2. 물음이나 미완결문 뒤에 보통 4개 내지 5개의 답지(答肢)가 주어져 있으며, 학생은 그 물음이나 미완결문에 알맞은 하나(특수한 지시가 있을 때에는 두 개 이상)의 답을 선택하게 되어 있다. 3. 선택형 문항의 다른 종류, 특히 진위형(眞僞型)에 비해서는 추측에 의한 우연적이 정답률이 크지 않고 비교적 고차적(高次的)인 지력(智力)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
선발체제 選拔體制 selection system
|
1. 실력 있는 유능한 자들을 특정한 방법에 의해서 선발하여 학교입학 또는 진학의 기회를 부여하는 제도의 총체. 2. 입학시험 제도는 전형적인 선발체제이다. 3. 선발체제의 기능 ⑴ 학교교육 성과의 평가 ⑵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 ⑶ 사회적 지위 또는 직업적 역할을 분배 등의 사회진출 4. 선발체제는 청소년들의 인생기회(人生機會)의 분배에 관계되고, 사회이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기 때문에, 어떠한 선발체제를 확립해야 하는 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5. 우리나라에서는 중등학교 진학에 있어서 학교단위 입시제?국가연합고시제?국가고시제?시도별 공동출제제 등 여러 형태의 선발체제를 적용해 왔으나 현재에는 중학교의 경우에 무시험진학이기 때문에 선발은 하지 않으며, 고등학교의 경우 대도시에서는 연합고사 합격 후 학군별 추첨제를, 기타 지역에서는 학교단위 시험제를 실시하고 있다. |
선행조직자 先行組織子 advance organizer
|
1. 학문적 교과의 유의미한 언어적 학습(meaningful verbal learning)을 강조하는 정보처리 인지학습 이론에 기초한 오수벨(D. Ausubel)의 교수모형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개념으로, 인지구조를 강화하고 새로운 정보의 파지를 촉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도입되는 기본적인 정보나 자료를 지칭하는 용어 2. 유의미 학습을 위한 개념적 기반(conceptual scaffolding)으로서, 해당 학습 과제에 앞서 제시되는 것으로, 해당 학습과제보다 높은 수준의 일반성, 추상성, 포섭성(inclusiveness)을 가진다. 3. 가장 효과적인 선행조직자는 학습자에게 이미 친숙한 개념, 용어, 명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학습되어야 한 자료의 요약이나 개관과는 구분되어야 한다. 선행조직자는 학습될 새로운 정보나 자료로부터 도출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것은 결코 아니기 때문이다. 4. 선행조직자를 제시하는 목적은, 새로운 학습을 위한 개념망(conceptual framework)을 부여하고,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현재의 정보와 새로운 학습을 연결 지으며, 학습자의 장기적인 저장기호화(encoding)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데 있다. |
선행학습 先行學習 prerequisite learning
|
1. 어떤 학습과제의 학습을 위해 미리 학습 또는 습득하고 있어야 할 학습 2. 주어지는 시간에 배우게 될 학습과제의 성격상 위계적(位階的)으로 하위에 해당하는 과제나 목표를 성공적으로 습득하고 있으면 본 학습과제의 학습이 용이하게 된다. ※ 이때, 위계상 하위에 속하는 과제의 습득을 선행학습이라 한다. 3. 학교학습에서는 선행학습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학습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다. 특히 지적 기능(知的技能)을 다루는 학습과제의 경우에는 선행학습의 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학이나 과학교과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4. 시간적인 차원에서, 먼저 일어난 학습을 뜻하기도 한다. |
선험론 先驗論 transcendentalism
|
1. 경험의 선천적 제약에 관한 칸트(I. Kant)의 학설 2. 경험에 대한 선천적인 계기라고 할 수 있는 공간?시간?범주 등의 적용가능성이나 그 타당성에 관한 인식이 선험론의 대상이다 3. 선험론에 따르면 경험에 논리적으로 선행하는 전제나 조건에 관계하는 모든 것이 선험적이다. 그것은 심리적 과정을 초월한 것으로서 순수한 사유(思惟)의 법칙성을 제공하지만, 경험 자체의 보편적?필연적 제약에 기능한다. 4. 선험론에서는 인식의 심리학적 원인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인식의 궁극적 근거와 원리, 즉 인식의 필연적 전제를 밝힌다. |
선험적 정당화 先驗的正當化 transcendental justification
|
1. 어떤 교육의 내용이 왜 가치 있는 것인가를 선험적 판단에 의하여 정당화하는 것 2. 허스트(P. Hirst)는 교육을 통하여 가르치는 지식은 구조화된 경험으로서 그 자체는 합리성을 지닌 것이며 지식에 내재된 합리성이 지니는 교육적 가치는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고 하였다. 3. 합리성이 왜 가치있는 것인가의 질문은 합리성의 실제적 효용성이나 도구성을 언급함으로써가 아니라 그 자체의 내재적 가치에 호소하여 「직관적으로」 답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4. 허스트에 의하면, 그 질문이 참으로 진지한 질문이라면, 그리고 그것에 진지하게 답하고자 한다면, 그 질문은 그 자체로서 합리성을 인정하고 있다고 하였다. 5. 질문 그 자체가 합리성을 추구하는 질문이고 질문자는 합리성의 가치를 이미 추구하고 있는 셈이므로 달리 정당화의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