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악설 性惡說
|
1. 인간의 성품은 본래 악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설 2. 순자(荀子)에 의하면, 사람의 성(性)은 선천적으로 악한 것이므로 배움과 수양을 통하여 선하게 바로잡아야 된다고 했다. ↔성선설 |
성인교육 成人敎育 adult education
|
1. 청년이나 성인기의 개인이 사회적 역할을 보다 잘 수행하고 개인적 성장을 추구하기 위하여 지식, 기술, 태도의 변화를 지향하는 학습 활동 과정 2. 성인교육은 연령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학교나 대학에서의 조직적인 교육과 여가활동 등의 비체계적 활동 등은 그 범주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3. 유네스코(UNESCO)를 비롯한 국제 기구들의 성인교육에 관한 주장을 종합해 보면 성인교육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 영역의 교육을 포함하고 있다. 기초교육(fundamental education), 교양문화교육(cultural education), 그리고 직업교육(vocational education)이 그것이다. ⑴ 기초교육 : 주로 개발도상국가의 성인교육에서 중시되는 영역으로 문맹퇴치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과 농촌개발 등 지역사회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⑵ 교양문화교육 : 보다 발전된 국가의 성인교육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영, 여가선용을 위한 교육실시,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 등이 중시된다. ⑶ 직업교육 : 성인교육을 경제발전과 밀접하게 연결시켰을 때 중시됨?청년과 성인을 위한 직업 준비 훈련과정, 직업인에 대한 재훈련 과정, 혁신적 기술과 변화하는 지식에 관한 훈련과정 등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교육의 중요한 영역인 것이다.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과학과 테크놀로지가 발달함에 따라 학교를 졸업한 이후의 계속교육, 즉 성인교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4. 이제 성인교육은 그 교육영역은 물론 교육방법도 다양화되어 현대의 발달한 매체를 통한 개방된 교육환경 속에서 전문교육으로서의 위치를 정립해가고 있으며, 학문적 가치 탐색의 중요한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
성장 成長 growth
|
1. 유기체(有機體)가 단세포(單細胞)의 집합자(集合子)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의 질적?양적 변화과정 ⑴ 성장을 양적 변화, 발달(development)을 질적 변화로 보는 학자도 있으나 두 어휘를 서로 바꾸어 써도 크게 무리는 없다. ⑵ 예 : 신체적 성장은 신체적 발달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⑶ 경우에 따라서는 성장이라는 말이 어색할 대도 있다. 예컨대 성격발달을 성격 성장이라고 말하는 경우는 드물다. 2. 인간의 성품, 능력, 신념, 태도, 지력 등이 자연적?문화적 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향상되고 내적으로 통합을 성취하면서 재구성되는 과정. 듀이(Dewey)는 교육에 의한 인간의 성장을 경험의 재구성으로 설명한다. ?경험의 재구성 |
성적 발달 性的發達 sexual development
|
1. 아동 후기가 끝나기 직전에서부터 아동의 신체적 발달상에 성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 즉, 사춘기의 두드러진 신체적 변화를 말한다. 2. 성적 발달시기에는 성기관(性器官)에 1차적 성 특징의 발달이 현저해져서 성호르몬의 분비가 시작되고 체형(體型)이 변화되어 남자는 남자다워지고 여자는 여성다워지게 된다. 3. 2차 성 특징은 남자의 경우 변성(變聲), 음모(陰毛) 발생, 골격구조와 근육이 단단해지고 수염이 생기는 등의 특징을 볼 수 있으며, 여자의 경우는 월경 개시, 유방의 융기, 음모의 발생, 골반의 확대, 피부의 광택, 곡선적 체형 등 여성적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 |
성취동기 成就動機 achievement motivation
|
?어떤 것을 할 때 그것의 수월성 또는 탁월성의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가치가 있거나 중요한 일을 이룩하려는 사회적 동기. |
성학십도 聖學十圖
|
1. 조선시대의 유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1568년(선조 1년) 선조에게 올린 일종의 상소문 형태인 차자(箚子). 전 1책. 목판본. 2. 퇴계는 《성학십도》를 만든 이유가 「덕을 쌓는 기초」(積德之基)를 밝히는데 있음을 강조한다. 즉 선조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실현하여 줄 것을 기대하면서, 도(道)에 관한 학문의 요체를 도식과 함께 실었다. 3. 퇴계는 유학을 성학(聖學)이라 표현하고, 유학의 핵심을 10개의 도표와 그 해설로서 드러내었다. 도표는 태극도(太極圖), 서명도(西銘圖), 소학도(小學圖), 대학도(大學圖),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인설도(仁設圖), 심학도(心學圖), 경재잠도(敬齋箴圖), 숙흥야매잠도(夙興夜昧箴圖) 등이다. 4. 내용 서술은 도표와 함께 반드시 앞부분에 경서(經書)와 여러 성현들의 글 가운데 적절한 내용을 인용한 뒤 저자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⑴ 10개의 도표 가운데 7개의도표는 옛 성현들이 작성한 것 중에서 가려 뽑아 이를 퇴계가 부분적으로 보완한 것이고, 나머지 3개의 도표는 퇴계 스스로가 작성한 것이다. ⑵ 퇴계 자신이 작성한 것은 소학도, 백록동규도, 숙흥야매장도 등이다. ⑶ 제 1도에서 제 5도까지는 천도(天道)에 근원하여 유학을 설명한 것이고, 제 6도부터 제 10도까지는 심성(心性)에 근원을 두고 유학을 설명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⑷ 퇴계의 성학십도를 일관하는 사상은 경(敬)이다. 그는 경(敬)의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곧 생각과 배움을 겸하고, 동(動)과 정(靜)을 일관하고, 마음과 행동을 합치시키고, 드러난 것과 숨은 것을 한 가지 되게 하는 도리라고 하여, 경(敬)이 유학자가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임을 강조하고 있다. 즉 경(敬)은 언제나 마음을 「깨어있는 상태」(惺惺)로 두게 하고, 욕심과 사념(邪念)을 없게 하여 사물의 본질을 헤아릴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원문은 『퇴계집』에 실려 있다. |
성학집요 聖學輯要
|
1. 조선조 14대 선조 8(1575)년에 홍문관 부제학으로 있던 율곡(栗谷)의 본지(本旨)에 의거하여, 성현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한 책이다. 2. 13권 7책으로 된 이 책의 편차(編次)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권 총설(總說), 2권 수기(修己) 상, 3권 수기 중, 4권 수기 하, 5권 정가(正家), 6권 위정(爲政) 상, 7권 위정 하, 별책 성현도통(聖賢道統)으로 되어 있다. |
세사미 스트리트 Sesame Street
|
1. 미국에서 1969년에 처음 방영(放映)이 시작된 3, 4, 5세 유아(幼兒)를 위한 텔레비젼 프로그램 2. 미국의 CTW(Children's Television Workshop)에서 그 기획 및 제작을 맡고 있으며 CPB(Corporation for Public Broadcasting)와 교육국(U.S. Office of Education)에서 제작비를 담당하고 있다. 3. 유아교육 기회를 가질 수 없는 문화정도가 낮은 환경에 있는 유아들에게 학령전기(學齡前期)에 충분한 자극과 동기를 유발해 주기 위한 보충적 프로그램으로 인지적(認知的) 기술 특히 언어적 기술에 강조를 두었다. 4. 사전?사후 평가결과 이 프로그램을 자주 시청하는 아동은 글자?수, 기하학적 형태와 같은 상징적 표상, 문제해결, 이유말하기 등 제작목표에서 의도한 기술 습득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5. 처음 시작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유아의 환경을 자극하여 중산층 유아와의 문화적 차이를 없애주어 학교에 들어가 바람직한 적응을 하도록 기획된 것이나, UHF로 방영되기 때문에 저소득층에서는 UHF채널이 달린 TV를 구입할 재정적 능력이 없어 저소득층과 중산층 유아의 문화차이를 보다 크게 해주고 있다는 비평을 받고 있다. |
세속오계 世俗五戒
|
1. 신라 26대 진평왕(眞平王) 때 원광법사(圓光法師)가 귀산(貴山)과 추항(?項)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계율 2. 내용 ⑴ 충성으로 임금을 섬길 것[事君以忠] ⑵ 효도로 어버이를 섬길 것[事親以孝] ⑶ 믿음으로 벗을 사귈 것[交友以信] ⑷ 전쟁에서 물러나지 말 것[臨戰無退] ⑸ 살생은 가려서 할 것[殺生有擇] 3. 세속오계는 화랑도(花郞徒)의 도덕률인 동시에 교육내용이 되었다. |
세속학교 世俗學校 secular school
|
1. 교육의 세속성을 확립하려는 정신에 따라 세워진 학교 2. 서양의 경우 학교는 종교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발달하였다. 다시 말하면 종교단체가 학교를 직접 운영하면서 자신의 종교를 보급하려는 데서 학교교육 제도가 발달한 것이다. 그러나 차츰 근대국가의 발달과 더불어 교육에서 종교의 세력을 배제하고 급기야 학교교육에서 종교를 완전히 분리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3. 프랑스의 경우 1882년 법률로써 공교육(公敎育)으로부터 종교를 분리시키고 다시 1904년경에는 종교단체에서 교육을 행하는 것마저 금하게 되었다. |
소극적 가치 消極的價値 negative value
|
1. 사물?관념(觀念)?행위 등이 우리의 요구충족(要求充足)을 방해하기 때문에, 그것들을 피하는 것이 오히려 만족을 가져다주고 또 우리의 가치기준에도 일치할 때, 그 사물?관념?행위 등이 가지는 가치. 2. 예 : 위(僞)?악(惡)?추(醜) 등의 가치가 그 대표적인 것들이다. 즉, 해로운 가치를 말함. 부정적(否定的) 가치라고도 부른다. ?적극적 가치 |
소수서원 紹修書院
|
1.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서원(賜額書院). 고려 때의 유학자 안향(安珦)을 향사(享祀)하는 곳으로 경상북도 영풍군 순흥면 내죽리에 있다. 2. 사액서원의 시조 : 좃 중종 28(1542)년에 당시 풍기 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이 숙수사(宿水寺)의 옛터, 백운동(白雲洞)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세웠다. 그 뒤 명종 5(1550)년에 퇴계 이황(李滉)이 군수로 부임하여, 노비?전장(田庄)?도서를 내려줄 것과 아울러 사액(賜額)하여 줄 것을 경상감사를 통해 왕에게 청한 바 소수서원이라는 액서(額書)를 내려주었다. 이것이 우리나라 사액서원의 시조가 된다. 중종 39(1544)년에 안향의 후손, 안축(安軸)?안보(安輔)를, 인조 11(1633)년에 주세붕을 추배(追配)하였다. 3. 소수서원은 대원군이 서원을 철폐할 때에도 계속 유지되었으며 고적 55호로 지정되어 있다. |
소집단 수업 小集團授業 small group instruction
|
1. 2~6명의 학생으로 구성된 소집단을 활용한 자율적 수업운영 형태. 70명의 학급을 예로 든다면, 5~6명의 학생으로 12~14개 소집단이 구성된다. 2. 교사가 전체적인 수업을 통해 문제를 제시하면, 각 소집단별로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한 수단과 해답을 찾는 토론을 전개하여 어떤 결론을 만들도록 하며, 전체토론을 통해 각 소집단의 결론을 비교?검토하는 단계를 거쳐 전체적인 최선의 결론을 찾는 방식으로 수업이 운영된다. 3. 소집단의 운영방식은 대상 학생의 특성, 대상 학습과제의 특성, 교실의 구조 등에 따라 융통성 있게 계획될 수 있다. 4. 이질적(異質的) 학급에서 다양한 배경의 학생을 한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각자 이해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살리자는 것이 대체적인 경향이다. ?버즈 학습 |
소크라테스의 대화법 ―對話法 Socratic dialogue method
|
1. 소크라테스가 당시의 아테네 지식인들과 대화하던 방법 2. 플라톤(Platon)의 《대화편》에서 그 실례들을 볼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일생 목표는 사람들을 무지(無知)의 세계에서 애지(愛知)의 세계로 인도하려는 것이다. 3. 소크라테스는 반어법(反語法)을 사용하여 무지를 자각하게 하였고 산파술(産婆術)로서 무지의 자각에서 출발하여 진지(眞知)를 파악하게 하였다. 따라서 이 반어법과 산파술은 대화법의 중요 구성요소이다. 4. 그러나 반어법과 산파술은 각각 별개의 요소가 아니라 대화법 전체에 흐르는 정신에 의하여 지배된다. 즉, 반어법을 쓰는 가운데에는 이미 산파술이 작용하고 산파술을 쓰는 가운데 이미 반어법의 사용이 포함되게 마련이다. 5.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의 무의식적 무지에서 의식적 무지로 이끌어서 그 의식적 무지에서 참다운 진리로 이끌어가기 위하여 사람들과 대화를 한 것이다. 6. 대화의 목적은 모든 사람에게 올바른 사고를 하도록 가르쳐 주는 것이다. 오늘날의 교육에서 교육방법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소학 小學
|
1. 유학교육의 초보단계에서 배우는 초등교재 2. 송(宋)나라 때 주희(周熹)가 편찬하였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주희의 제자 유자징(劉子澄)이 스승의 지시에 의하여 편찬한 것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3. 1187(남송 효종 순희 14)년에 내편 4, 외편 2권으로 완성되었다. 4. 내용 : 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범절을 비롯하여, 수양생활에 필요한 격언과 충신?효자들의 행적을 모았다. 5. 우리나라에서도 《소학》은 일찍부터 사대부 자제들의 초학용 교과서로 애용되어 왔을 뿐 아니라, 퇴계(退溪)?율곡(栗谷) 등의 학자는 《소학》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 인정하였으며,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은 평생토록 《소학》을 애독하면서 스스로 소학동자(小學童子)로 자처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