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몬 설계 ―設計 Solomon design
|
1. 실험처치를 가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네 개의 집단으로 구성된 실험방안. 사전검사를 , 실험처치를 X, 그리고 사후 검사를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본 실험방안을 나타낼 수 있다. 2. 위에서 네 개의 집단은 모두 무선적으로 할당된 집단이 된다. 집단 3과 4는 예비검사를 실시하지 않았다. 3. 이 실험방안은 솔로몬(Solomon, 1949)이 제시한 것으로 무선 할당된 솔로몬의 4집단 실험설계(randomized Solomon four-group design)라고 부른다. 4. 특징 : 사전검사의 효과와 사전 검사와 실험처치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의한 성숙과 역사성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즉, 사전검사만의 효과는 집단 2의 사후검사에서 집단 4의 사후검사 점수를 빼면 되고, 사전 검사와 실험처치의 상호작용효과는 집단 2와 3의 사후검사 점수에서 집단 4의 점수를 2배하여 그 차를 계산하면 된다. |
수단적 가치 手段的價値 instrumental value
|
1. 가치를 기능별로 분류할 때, 그 자체가 목적이기 때문이 아닌, 어떤 목적을 실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에 가지게 되는 가치 2. 예 : 돈을 모으는 데서 만족을 느끼고 돈 자체를 목적으로서 추구하는 수전노(守錢奴)가 아닐 경우에 우리는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돈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우리가 돈에 부여하는 가치는 수단적 가치이다. 3. 이때, 참된 가치는 돈의 외부에 있는 셈이므로, 수단적 가치는 흔히 외재적(外在的) 가치라고도 부른다. 4. 한편, 미술작품의 내재적 속성에 가치를 부여하지 않으면서도 상업수단으로 그것을 사 모으는 화상(畵商)의 경우처럼, 내재적 가치를 가지는 대상에도 수단적?외재적 가치가 부여될 수 있다. ?본질적 가치, 가치 |
수도원 학교 修道院學校 monastic school
|
1. 중세 기독교 학교 중의 하나 2. 수도원 학교의 교육목적은 더 높은 영혼의 생활을 위하여 금욕주의적 생활을 하는 데 있다. 3. 이 학교에 들어온 수도승들은 육체의 욕망을 부정하고 현세를 부인한다. 4. 따라서 수도원 학교의 교육은 현세를 위한 준비가 아니고 내세(來世)를 위한 준비이다. 5. 교육내용은 종교적인 것이며 초등과 고등으로 구분한다. 6. 초심자에게 3R(읽기?쓰기?셈하기)과 성경을 가르치고 고등에는 7자유학과를 가르쳤다. |
수렴적 사고 收斂的思考 convergent thinking
|
?지능검사에서 어떤 사실이나 진리에 맞는 구체적인 정답을 산출하는 것. ?확산적 사고 |
수사학 修辭學 rhetoric
|
1. 의사(意思)를 설득력 있게 표현하는 언어구사법에 관한 고대와 중세의 학문 2.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에 의하면 수사는 논리에 대응되는 한 짝이다. 3. 그리스의 소피스트들은 절대적 진리와 항구불변의 존재를 부인하고 존재하는 것은 오직 감각적 경험뿐이라고 하였다. 감각세계의 지식만을 인정할 경우, 감각의 주체인 인간이 모든 지식과 가치의 기준이 된다. 4. 모든 지식은 개인의 경험에 의존하므로 상대적일 수밖에 없다. 상대적 지식의 전달은 상대방에게 그렇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이며 그렇게 믿도록 설득하는 도리밖에 없다. 5. 수사학의 중요성은 여기에 있다. 수사는 특수한 가정(假定)을 다루고, 계속적인 연설형식을 사용하며 그의 논증은 생략추론법(省略推論法)에 의존하고, 목적은 판단자들을 설득하는 데 있다. 6. 서양 교육사에서 수사학 전통이 지니고 있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⑴ 수사학은 실재의 세계가 아닌 개연(蓋然)의 세계를 추구한다. 그러므로 철학적 전통이 이성에 의해 학문의 논리적 체계를 확립시키려는 과학적 커리큘럼의 기초가 되었다면, 수사학적 전통은 언어의 설득에 의해 인간의 미적 가치를 존중하는 인문적 커리큘럼의 기초가 되었다. ⑵ 인간중심이나 실제주의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수사학자들은 인간에 관심을 집중시켰으므로 인간의 영역을 넘어선 문제는 대체로 무관심하였다. 또한 인간의 행복이 사회적 출세와 정치적 성공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현실에 참여하는 실천적 또는 행동적 생활을 높이 평가하였다. |
수석교사제 首席敎師制 master teacher
|
1. 교사의 자격 구분을 전문성의 수준에 따라 분화시켜 최상급의 교사를 수석교사로 명명하고 교내 장학, 상담 혹은 연구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도 2. 미국에서는 교사의 직급을 초임 교사, 중견 교사, 그리고 수석 교사로 구분하여 운영하는 안이 논의되고 있다. 3. 우리나라에서는 준교사, 부교사, 정교사, 선임교사, 그리고 수석교사로의 직급 분화가 제기된 바 있다. 4. 수석 교사제는 교감?교장 등의 행정직 선호의 교직 풍토를 쇄신하여 일선에서 가르치는 일을 평생직으로 헌신케 하고 장기 근속 교사의 사기를 높이고 이들을 중시?우대하기 위한 제도로서 논의되는 것이다. 5. 이렇게 교사의 직급을 분화하면, 교감과 교장 등의 학교행정직은 선임교사 혹은 수석교사에 의해 보임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
수업 授業 instruction
|
1.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학습자의 내적(內的) 및 외적(外的) 조건을 체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 2. 수업은 목적성?의도성?계획성을 가진 활동이다. 3. 학교교육이라는 체계적 활동 아래 이루어지는 수업은 교육과정(敎育課程)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수업할 내용의 타당성을 교육과정에서 찾아야 하는 것이다. 4. 좋은 수업은 목표로서의 교육과정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동시에 수업은 학생들로부터 학습이 일어나도록 기대하는 것이므로, 학생들이 학습한 것과 수업한 것과의 일치도를 판단해서 수업의 질을 평가할 수도 있다. |
수업모형 修業模型 models of instruction
|
1. 복잡한 수업현상이나 수업사태를 그 특징적 사태를 중심으로 단순화시킨 형태 2. 수업모형은 수업사태의 일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3. 예컨대 인체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 실제의 인체를 보기보다는 실제의 인체 해부도를 본다거나 태양계의 구조를 이해시키기 위해서 태양계의 모형을 보이는 경우와 같이 복잡하게 전개되는 수업현상을 그 구성변인 간의 관계를 단순화시킨 모형으로 제시함으로써 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학자들마다 다르게 설명하는 수업이론을 수업모형의 형식으로 정리하면 그 이론의 윤곽이 보다 명료하게 특징지어진다. 4. 수업모형은 수업현상을 보는 관점에 따라 수업절차 모형, 학습조건 모형, 수업형태 모형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⑴ 수업절차 모형 : 수업이 전개되는 절차 또는 단계의 특징을 중심으로 수업현상을 설명하는 것 ⑵ 학습조건 모형 : 학습과제 또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학습 조건의 차이에 따라 수업현상을 설명하는 것 ⑶ 수업형태 모형 :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하는 관계 또는 모양에 따라 수업현상을 설명하는 것 |
수업목표 修業目標 instructional objectives
|
1. 일정한 시간 동안을 통해 학생이 성취해야 할 행동 또는 내용 2. 수업의 길이에 따라 진술되는 수업목표의 수준에 차이가 있겠으나 대체로 수업목표는 구체적인 용어로 진술해야 하는 원칙으로 되어 있다. 3. 수업할 학습과제가 심미적(審美的)인 것인 경우에는 행동적인 용어로 진술하기 어려우므로 상당히 일반적인 용어로 수업목표를 진술하기도 한다. 4. 수업목표는 수업의 방향을 결정해 줌은 물론 수업내용의 선정과 조직에 구체적 시사를 제공하며 수업결과를 평가하는 데 기준이 된다. 5. 수업목표를 분명히 제시하게 되면 교사는 쓸데없는 시간낭비를 감소시킴으로써 수업밀도(修業密度)를 높일 수 있게 되며, 학생의 입장에서도 쓸데없는 문제에 관심을 적게 쏟아도 됨으로써 학습주의력을 높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학습밀도를 높이는데 공헌하게 된다. |
수업사태 修業事態 instructional event
|
1. 일정한 시간 동안 진행되는 수업을 짧은 순간으로 나누어 분석할 때 나타나는 비교적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상태. 이러한 일련의 사태를 종합적으로 수업이라 하는데, 이들 사태를 다른 사태와 구별하여 수업사태라 부른다. 2. 보통 수업사태에 포함되는 것 ⑴ 주의를 끌어 집중하는 일 ⑵ 학습자에게 수업목표를 알리는 일 ⑶ 선행학습의 재생을 자극하는 일 ⑷ 자극재료를 제시하는 일 ⑸ 학습을 안내하는 일 ⑹ 학습행동을 유도하는 일 ⑺ 정확한 학습행동에 대해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는 일 ⑻ 학습한 내용의 파지(把持)와 전이(轉移)를 높이는 일 3. 이들 사태가 매 수업시간마다 일정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이러한 사태가 포함된다. |
수업의 체제적 접근 修業―體制的接近 systematic approaches of instruction
|
1. 수업현상을 체제적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방법 2. 체제 : 유기체의 기능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를 부분의 단순 합(合)으로 보지 않고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전체로 파악된다. 3. 어떤 체제든지 체제에는 체제의 목표와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이 수행되고 마지막으로 이 체제의 과정과 목표를 평가하는 행동이 있다. ※ 이러한 일련의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관되고 피드백(feedback) 과정을 통해 수정되기도 하면서 체제가 존속하는 것이다. 4. 이처럼 수업현상에도 어떤 목표가 있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과정의 계획과 실천이 있어야 하고, 이의 평가를 통해 과정의 검토와 목표의 검토 또는 조절을 하는 활동이 있다는 가정 아래 수업을 설명하려는 입장이다. 5. 수업의 체제적 접근에도 여러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그 구분은 목표?과정?평가의 세 요소의 규정방식과 분석방식에 따른다. ? 수업체제 |
수월성 秀越性 excellence
|
1. 생활의 모든 면에 있어서 최상의 표준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 2. 모든 개인은 포부수준과 과업수업에 대한 표준, 그리고 보다 좋은 세계에 대한 희망이 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정치?음악?문학?교육 등의 각 특수영역에 있어서 최고수준의 성취를 위한 노력의 형태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수월성을 한 가지로 규정하기는 힘들다. 3. 수월성에 대한 모든 광범한 개념은 민주사회의 특징인 가치에 대한 다원적 접근, 개인의 자아실현이라는 두 가지의 기초 위에 구축되어야 한다. 4. 어떤 종류의 수월성은 교육체제(敎育體制)에 의하여 조장될 수 있지만 어떤 것은 교육체제의 외부에서 조장되어야 한다. 어디서 어떻게 길러진 수월성이든 간에 수월성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의 방법은 대인간(對人間)의 비교로서 예를 들면 음악에서 우수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과의 비교이고, 둘째의 방법은 최선에서의 자신과 최악에서의 자신을 비교하는 방법이다. |
순차식-발견식 교수이론 循次式-發見式敎授理論 algo-heuristic theory
|
1. 교수내용이 학습자에게 보다 명료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복잡하고 관찰불가능한 인지적 조작들을 기본적인 요소의 수준까지 세분화하여 계열적으로 가르치게 되면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 것이라는 란다(L.V. Landa)에 의하여 제안된 교수방법 2. 란다는 설명식 교수법과 발견식 교수법에 관하여 이 두 가지 교수법은 동일한 교수목표를 성취시키기 위한 접근들이라고 지적하면서, 언제 어떤 접근방법을 적용해야 할 것인가에 관하여 처방방안들을 통합적이고 보편적인 지식기반을 토대로 설명하고 있다. 3. 이 이론의 기본적 개념들로는 지식과 그것의 적용인 기능, 그리고 그 지식이 적용되는 과정인 조작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지식이란 영상, 개념, 명제의 세 가지 심리적 형태로 구성되며, 조작이란 실제 사물들이나 그 사물들의 정신적 반향(영상, 개념, 명제)들의 변형을 말한다. 4. 이와 같은 이론구성의 기본적 개념들에 기초하여 구성된 란다의 순차식-발견식 교수이론에 따르면, 지식을 적용하여 기능이나 능력을 개발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식의 적용과정까지 가르쳐야만 되며 특히 학습자들의 사고력, 추론능력, 문제 해결력 등의 인지적 능력들은 지식의 적용과정을 학습시킬 때 길러질 수 있다는 것이다. 5.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인지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순차식-발견식 교수이론에서는 기술적(descriptive)교수와 처방적(prescriptive) 교수의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⑴ 기술적 원리 : 여기서 기술적 원리라 함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단계를 거친다. 첫째, 전문가가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내는 사고과정 즉 조작의 특성들을 밝혀낸다. 둘째는 밝혀낸 사고과정을 가상적 기술모델의 형태로 제시하고, 셋째는 이 모델들의 완전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검토하고, 넷째는 검토된 모델들을 개선?보완하고, 다섯째는 최적의 모델을 확정하는 것이다. ⑵ 처방적 원리 : 한편 처방적 원리는 기술적 원리에서 밝혀진 모델들과 정보를 토대로 구성되며, 특히 전문가의 조작 및 사고과정을 학습자들에게 알려줌으로써 학습자들이 스스로 지식을 적용하여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조작들의 체계를 제시해 주는 것이다. 6. 순차식-발견식 교수이론은 선택된 교수내용의 계열화 방법으로서 ‘눈덩이 방법(snowball method)'을 적용한다. 이 방법은 첫 번째 조작만을 가르치고 그것만을 연습시킨 후, 두 번째 조작을 가르치고 그것만을 연습한 후에 첫 번째 조작과 동시에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점차로 인지적 조작들의 연쇄를 이루도록 가르치는 방식이다. |
스콜라 학파 ―學派 Scholasticism
|
1. 기독교 교리에 논리적 체계와 철학적 근거를 부여하여 합리적으로 증명하려는 학파 2. 11~15세기에 걸쳐 교회나 수도원에 부속된 학교(schola)의 교사인 스콜라스티쿠스(Scholasticus)가 중심이 되어 연구하고 교수하였으므로 스콜라 학파라고 부른다. 3. 신앙과 이성의 합치점을 구하는 데 목적을 둔 이들은 기독교의 교리에 그리스 철학을 빌려 조형시켰으므로 신학의 노예(ancilla theologiae)라고도 부른다. 초기의 안셀무스(Anselmus), 전성기의 아퀴나스(T. Aquinas), 쇠퇴기의 오캄(W. Occam) 등이 그 대표자이다. 4. 이미 정해진 진리를 변증법적으로 설명하며, 개념의 분석, 연속적인 논증을 위주로 하였으므로 지식의 체계화의 논리적 사고훈련에는 공헌하였으나, 근대 과학적 방법을 등한히 한 것은 그 결점이라고 하겠다. |
스파르타식 교육 ―式敎育 Spartan style education
|
1. 스파르타식 훈련의 성격을 띤 교육형태 2. 민주교육?자유교육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전제적(專制的)?강압적?군국주의적인 교육을 대표한다. 3. 고대 그리스의 스파르타 교육은 남아(男兒)가 7세에 이르면 가정을 떠나 국가의 공공교육장(agoge)에 들어가 감독관(paedonomus)에 의해 훈련을 받는다. 여기서는 용맹?인내?애국?복종, 강한 체력을 갖춘 군인양성을 목적으로, 경주?씨름?투창?투원반?검술?승마?수영과 초보적인 독(讀)?서(書)?산(算)을 학습시켰다. 방법은 맹렬한 훈련과 경쟁?처벌을 위주로 하였다. 4. 18세에서 20세까지의 소년은 군사훈련과 함께 연소아동을 지도하게 하였으며, 20세에는 현역으로서 10년간 군복무를 한다. 30세가 되면 비로소 성인으로서 결혼이 허용되고 시민권을 획득했다. 5. 교육은 군국주의 교육이나 강인한 무인양성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민주적 교육과는 거리가 멀다. 오늘날은 지나치게 일방적?강제적?조직적인 교육을 지칭하기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