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 에너지 이론(surplus energy theory)
|
1. 쉴러와 스펜서의 놀이 이론 2. 쉴러 - 놀이를 잉여 에너지가 목적 없이 소비되는 것이라고 정의 - 인간은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나가기 위해 자신의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고 남은 에너지를 놀이로 소모하게 된다는 것 3. 스펜서 - 놀이는 잉여 에너지의 발산이라고 주장 4. 한계 : 유아가 에너지 과잉 상태일 때 놀이를 하기도 하지만 극도로 피로한 상태일 때에도 흥미로운 놀이에 집중한다는 것은 이 이론으로 설명 |
자격연수
|
1. 상급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연수 2. 유치원 교사 자격연수는 교양, 교직, 전공과목으로 나누어 총 180시간을 이수한 후 연수 과목에 대한 소정의 평가과정을 거쳐 수료됨 |
자기 평가
|
1. 유아기 아동이라 하더라도 자신이 한 일에 대한 평가를 스스로 느껴 보도록 유도할 수 있다 2. 오늘 하루 동안 어떤일을 했니?. 무엇을 그린거니? 등의 질문에 대한 반응은 교사가 생각했던 것과 아주 상반된 것을 이끌어낼 수도 있으며, 또한 앞으로의 학습계획에 반영될 수 있다. |
자기 활동의 원리
|
1. 프뢰벨의 유치원 교육 과정의 사상적 기초가 됨. 2. '신이 하는 생각은 하나 하나가 모두 작업이며, 행위이며, 산물이다.' 3. 프뢰벨은 유아의 내적 필요성과 충동으로부터 오는 내부의 자기 활동적 표상인 놀이를 중요하게 생각했고, 이것에 따라 은물과 작업을 고안했다. |
자기실현 프로그램
|
아동이 자신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에서 능력 있는 인간이 되도록 학습을 도와주는 것이다. |
자기중심주의
|
1. 유아기 발달 특성 2. 세상의 모든 현상을 자기를 중심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유아는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지 못한다. 3. 예 : 까꿍 놀이를 할 , 자신의 눈을 가리고, 본인이 숨었다고 생각한다. |
자기집(in-home)보육
|
한 가정의 자녀들이 자신의 집에서 가족이 아닌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는 보육 |
자기활동
|
1. 프뢰벨이 제시한 교수방법 중 한 가지이다. 2. 내적인 동기에 의해 유아 자신이 창조적으로 활동한다는 원리이다. 3. 유아의 정신 능력이 자기표현을 통하여 개발되려면 직접 조작할 수 있는 놀이자료 또는 놀잇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프뢰벨은 놀잇감인 ‘은물’을 고안하였다. |
자동교육
|
1. 몬테소리는 유아 스스로의 학습이 가능하다고 봄 2. 유아가 준비된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자유롭게 선택한 활동을 행할 때 학습이 자연히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자동교육이라고 칭함 3. 자유의 역할이 중요하며 아울러 자기수정적 교구를 통하여 유아 스스로 자신의 실수 또는 오류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아 몬테소리는 유아의 자동교육을 위하여 여러 가지 자기수정적 교구를 개발, 제작함 |
자발성의 원리
|
1. 인간의 성장 발달은 내부의 자발성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것이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아서 인격으로 완성된다. 2. 수업은 학습자 스스로가 배우고자 하는 자발적인 의욕을 가지고 있을 대 이루어진다. 즉 동기가 내재된 학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흥미의 원리, 자기 활동의 원리, 활동 중심의 원리라고도 일컬어진다. 이와 같이 자기활동을 촉진시키는 것이 동기유발이다. 3. 동기유발의 방법으로는 유아 자신이 목적을 가질 수 있게 하고, 교재를 유아의 |
자아(ego)
|
1. 프로이드는 “원초아는 길들여지지 않은 열정”을 뜻하는 반면, “자아는 이성과 분별”을 뜻한다고 봄 2. 즉각적인 충동을 연기시키고 현실을 고려하도록 하는 주관체로 우너초아가 쾌락 원리에 지배된다면 자아는 현실 원리에 지배된다고 볼 수 있음 3. 자아는 원초아의 욕구를 현실에서 이룰 수 있도록 끊임없이 현실과 접촉하고 타협해 나가면서 원초아를 통제하는 힘을 지니게 됨 |
자연모방(deffered imitation)
|
1. 유아기 발달 특성 2. 유아가 어떤 것을 본 후 정신적 상징 형태로 기억해 두었다가 다음에 그 행동을 모방하는 것으로 3세 정도부터 가능하다. |
자연주의 사상
|
1. 루소가 강조했던 대표적인 교육방법이다. 2. 자연의 질서를 발견하는 일이며 자연법칙에 따라 양육 또는 교육함을 의미한다. |
자연학습장
|
1. 식물과 곤충을 관찰하고 밭에 여러 가지 채소를 심고 기르는 활동을 위한 공간이다. 2. 여건이 허락된다면 토끼, 닭, 오리, 공작, 강아지 등을 기르는 동물 사육장을 구성하여 유아들이 직접 먹이를 주면서 기르고 관찰하게 할 수 있다. |
자원 봉사자
|
1. 부모 참여의 한 형태 2. 일차적인 목적은 유아의 활동과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것 3. 부모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Morrison) - 개발자 : 교재?교구의 개발, 게시판 구성, 흥미 영역 구성 - 교사 : 개별 및 집단 활동에서의 교수?학습 활동, 개별 및 소집단 활동에서의 개별 지도 - 감독자 : 유원장에서 실외 활동 감독, 급식 활동 지원, 견학 활동 지원, 실내 학급 활동 지원, 과외 활동 지원 - 서기 : 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