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적 경험 審美的經驗 aesthetic experience
|
1. 어떤 대상을 감상하고 지각하고 즐기는 경험 2. 좁게 규정하면 기예적 경험과 구별되고 넓게 규정하면 기예적 경험의 차원을 포함하며, 때로는 예술적 경험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3. 예술은 무엇을 만드는 과정이지만 그 만든 결과를 지각하고 즐기는 것은 만드는 행위와 아무런 공통점이 없는 것으로 가정하기도 한다. 그래서 그 결과를 즐기는 것에만 「심미적」이라는 말을 적용하기도 한다. 4. 이와 같이 「심미적」이라는 단어는 때로는 전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때로는 전체적 활동 중에서 무엇을 받아들이는 지각행위의 측면에만 한정해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만드는 사람은 언제나 기예적 활동에만 종사하고 감상하는 사람은 언제나 심미적 활동에만 종사하는 것은 아니다. 예술적 기교는 궁극적으로 「애호하는 것」이어야 하고 한 작품이 진정으로 기예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또한 심미적이어야 한다. 그리고 감상하는 사람은 단순히 보는 위치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작품이 이루어지는 기예적 과정에 대한 어느 수준의 투시적 상상력에 호소해야 한다. 이와 같이 좁은 의미의 심미적 경험이라는 것을 기예적인 것과 완전히 분리시킬 수 없는 것이라고 할 때, 이러한 기예적 경험의 차원을 포함하면서 이루어지는 경험을 넓은 의미의 「심미적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5. 「심미적 경험」이라는 말은 때때로 「예술적 경험」이라고 표현해도 좋을 만큼 미술이나 음악이나 문학 등의 예술적 창작활동이나 비평활동을 의미하기도 하고, 때때로 창작과 비평에서 예술가나 비평가가 예술적 미의 감각과 이해를 특수하게 경험하는 바를 뜻하기도 하고, 어떤 경험의 상황에서나 우리가 아름다움을 느끼고 표현하고 감상하는 것의 전부를 일컫기도 한다. 6. 다소 이러한 의미상의 차이는 있지만 어느 경우라고 하더라도 심미적 경험의 전형적인 것은 예술가나 비평가가 예술적 미를 창조하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특수하게 경험하는 것과 전혀 맥락을 달리하는 것일 수는 없다. 7. 심미적 경험의 개념은 인간에게는 아름다움을 지각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전제하여 그 능력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감각이나 감정이나 활동을 암시하기도 하고, 자연적 혹은 인공적 대상이 지니고 있는 어떤 미적 특성의 인식을 암시하기도 한다. 8. 그리고 매우 넓은 의미로는 예술적 기준의 적용 없이 사물의 특질 그 자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기예적 경험, 편재적 질성 |
십이도 十二徒
|
1. 고려 11대 문종(文宗) 이후 개경(開京)에 있었던 12사학(十二私學)의 생도(生徒)를 총칭한 것. 이는 십이공도(十二公徒)라고도 부른다. 2. 이때의 사학(私學)을 도(徒)라 하였는데, 이는 학(學)을 따르는 무리라는 의미에서 그렇게 부른 것이다. 3. 당시 최충(崔沖)의 9재(九齋)를 모방하여 11인의 유신(儒臣)들이 사립학교를 열어 제자들을 가르쳤으므로 11인의 도(徒)에 최충의 도를 합하여 12도라 불렀다. 도(徒)에 최충의 문헌공도(文憲公徒), 노단(盧旦)의 광헌공도(匡憲公徒), 정배걸(鄭倍傑)의 홍문공도(弘文公徒), 김무체(金無滯)의 서원도(西園徒), 김상빈(金尙賓)의 남산도(南山徒), 은정(殷鼎)의 문충공도(文忠公徒), 황영(黃塋)의 정경공도(貞敬公徒), 유감(柳監)의 충평공도(忠平公徒), 문정(文正)의 정헌공도(貞憲公徒), 서석(徐碩)의 서시랑도(徐侍郞徒), 미상(未詳)의 귀산도(龜山徒)가 그것이다. 3. 이 12도의 정도는 충렬왕 6(1220)년 3월에 이색(李穡)이 “향교와 학당의 생도를 고사하여 성균관으로 올리자”고 주장한 것을 보아, 개경의 학당과 지방의 향교보다는 교육수준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는 그 정도가 성균관(국자감)과 동등하였던 것 같다. |
아노미 anomie
|
1. 집단규범 또는 집단기대가 너무 많고 다양하거나 자주 변경됨으로써 야기되는 무규범상태(normlessness) 2. 현대 대중사회의 한 부정적 특성 3. 프랑스의 사회학자 뒤르껭(E. Durkheim)이 처음으로 사용 4. 원인 : 급격한 사회구조와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집단규범의 모호함과 규범 자체의 갈등은 아노미 발생의 원인이 된다. 5. 현상 ⑴ 아노미에 빠지면 어떠한 안정된 제도에도 소속감을 느끼지 못하고 정신적으로 불안한 상태에 놓여 수동적인 행동을 하게 되거나 극단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⑵ 아노미 현상에서는 자신의 행위에 대한 의미를 부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판단도 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이상(社會異常) 행동자가 되기도 한다. ⑶ 일반적으로 아노미에 빠져 있는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삶에서 아무런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나 자신이 속해 있는 집단이나 사회제도가 자신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
아동상담 兒童相談 child counseling
|
1.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또는 정신치료. 흔히 청소년까지도 그 대상으로 하는 경향이 있다. 2. 방법 : 아동과의 직접적 면담?가족상담?놀이치료?행동수정?시설치료 등 3. 성인상담과 구별되는 점 ⑴ 아동 상담의 대상은 사회적인 또는 법률적인 미성년자들이다. ⑵ 아동의 심리적 문제는 발달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또 발달과정을 거치는 동안에 의도적 노력 없이 수정될 수도 있다. ⑶ 아동은 부모와 기본적인 의존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이신경증(轉移神經症)이 일어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⑷ 상담자는 아동의 부모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만다. ⑸ 심리적 문제는 아동 자신보다는 부모나 학교가 더욱 절실하게 느끼며, 따라서 치료에 대한 필요가 부모나 학교에 달려 있는 경우가 많다. ⑹ 성인보다 아동은 놀이나 비언어적 수단을 통해서 내적 감정이나 갈등을 더 잘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⑺ 문제해결의 수준이 발달의 수준에 따라서 제각기 다르다. 4. 이와 같이 아동상담이 성인상담과 독립된 상담과 심리치료의 영역으로 발전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이후부터이며, 아직도 독립된 전문영역으로서 미숙한 측면이 많이 있다. |
아동연구 운동 兒童硏究運動 Child Study Movement
|
1. 1900년대 초반 미국의 홀(G. S. Hall)이 일으켰던 연구 2. 연구내용 : 유치원 아동을 상대로 공포?분노?울음?흥미?놀이 등의 형태를 집중적으로 연구 3. 방법 : 자료수집?질문지법?일화기록법(逸話記錄法)?결과분석법 등을 유치원 교육에 도입 4. 홀 이외에도 손다이크(E. L. Thorndike)?와트슨(J. B. Watson)?게젤(A. L. Gesell) 등이 아동연구를 활발히 하였다. |
아동중심 교육 兒童中心敎育 child-centered education
|
1. 사회중심?성인중심?교과중심?교사중심?서적중심 등 과거의 전통적 교육에 대하여 아동중심을 주장하는 교육운동의 하나 2. 배경 및 보급 ⑴ 배경 : 18세기의 루소(J. J. Rousseau)이후 강조되어 왔는데 20세기의 초엽 근대사회의 성숙에 따른 휴머니즘(humanism) ⑵ 보급 : 케이(E. Key)의 「아동의 세기」, 나아가서 실험심리학과 실용주의철학 등에서 이론적인 기초를 얻어 「교육은 어린이로부터」라는 표어 밑에 1920년대부터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3. 발전 : 1896년 듀이(J. Dewey)에 의한 시카고 대학의 실험학교는 아동의 흥미?활동에 중심을 둔 전형적인 아동중심 교육?생활교육의 선구를 이루었다. 4. 의의 : 아동중심 교육은 미국의 개인주의적 자유사회를 온상으로 가장 활발하게 발전하였는데 이는 전통적 학교교육에서의 서적중심의 형식적 획일주의에 대한 반대로 일어난 교육혁신 운동의 하나였다. |
아동중심 교육과정 兒童中心敎育課程 child centered curriculum
|
1. 1920년대에 듀이(Dewey)의 영향으로 미국에서 태동한 교육과정의 한 사조 2. 기본 사상 ⑴ 아동의 흥미와 자발적 활동이 교육과정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⑵ 아동은 스스로 배우기를 원할 때 가장 잘 학습한다. : “만약 아동이 스스로 생각하고 계획할 수 있도록 가르치기를 원한다면, 그 아동 스스로 계획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⑶ 아동이 스스로의 계획을 세울 수 있을 때, 아동의 목적 달성에 대한 자기 충족감은 증진되며, 이것은 바로 학습에 대한 만족과 다음 단계의 학습을 촉진하도록 한다. 3. 영향관계 ⑴ 이 교육과정 정신은 멀리 아동의 심성을 선한 것으로 본 루소(Rousseau)의 낭만주의적 아동관과 입장을 같이하고 있으며, 1960-70년대에 대안적 교육과정 운동으로 나타난 자유학교 운동, 열린교육 운동 등도 아동중심 교육과정의 입장과 맥을 같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⑵ 최근에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통합 노력도 아동중심 교육과정 정신과 관계가 깊다. 아동중심 교육과정이 시도된 예는 킬패트릭(Kilpatrick)의 활동중심 교육과정 운동(Activity Movement, Activity Program, Activity Curriculum), 프로젝트법(Project Method), 위네트카 계획(Winnetka Plan)이 있다. 4. 특징 ⑴ 아동의 흥미를 교육과정 설계에 최대한으로 반영한다. ① 사전 학습 계획을 교사가 수립하되 아동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거나 도전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문제 상황을 아동들의 공통 경험을 바탕으로 제시하도록 노력한다는 것 ② 문제의 해결에서 학생자신들의 관점과 생각, 경험이 존중되도록 수업 분위기를 개방적으로 운영한다는 것 ③ 학생들 스스로 문제 해결 대안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학습기능)을 강조한다는 것 ⑵ 학생 발달의 원리를 교과 조직과 계열 구성에 지침으로 삼는다. : 후에 프로그램 학습(programmed instruction)이나 완전학습 (mastery learning)이론으로 발전 |
아동 학대 兒童虐待 child abuse
|
1.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아동의 권리를 박탈하는 행위. 2. 아동을 사랑하지 않고, 위험한 노동에 종사케 하여 착취하거나, 놀이 또는 교육기회 박탈, 부당한 신체적 처벌 등을 가하는 것 3. 아동학대의 양식 ⑴ 태만(怠慢) : 아동의 영양실조?굶주림?기저귀 발진?피부장애?감염 등을 초래 ⑵ 신체적 공격 : 아동을 돌보는 사람이 아동을 때리거나 상처를 입게 하여 아이가 멍들거나 데이거나 베이거나 머리나 내부기관에 멍이 드는 상태 4. 대체로 아동을 학대하는 부모는 아동의 능력 이상의 행동을 요구하고 아동의 욕구나 제한된 능력 등은 무시하여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관계가 파괴되는 경향이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 ―論理學 Aristotelian logic
|
⑴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오르가논》(機關, organon)에서 전개한 논리학 ⑵ 중세의 스콜라 철학자들이 분석적 연역의 논리로 발전시킨 형식 논리학을 일컫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
아하경험 Aha experience
|
1. 몇 개의 관계없는 요소들이 모여서 의미있는 전체를 구성하는 상황적 게슈탈트에 대한 자각, 또는 문제의 해결이나 상황적 구조에 대한 갑작스러운 통찰이 생기는 순간의 총체적인 경험 2. 아들러(Adler)에 있어서는 심리치료 혹은 상담에서 내담자가 인생에 대한 참여를 확대하고 자각을 얻게됨에 따라 빈번하게 "아하", "그렇구나"하는 경험을 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이해가 증가함에 따라 자신감과 공감, 동정을 가지고 인생에 참여하게 되는 자발성을 가지게 된다고 본다. |
안내적 발견학습 案內的發見學習 guided discovery learning
|
1. 교사가 아동의 주의(注意)를 어떤 정보나 물체, 문제사태로 향하게 하고 아동이 어떤 결론에 도달하게 하는 학습방법 2. 발견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은 아동의 성취 정도를 진단하고, 여러 가지 과제 중 적절한 과제를 제시하고, 그 결과를 조사하고, 적절한 때에 적합한 질문을 하며, 아동이 도움을 요구할 때에만 아동의 의논상대 역할을 한다. 3. 교사는 아동의 발견과정에 협력하며 아동은 실제 손에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가설을 세우고 그 해결책을 발견한다. 4. 이러한 교수전략(敎授戰略)은 아동의 인지적(認知的)?정의적(情意的) 목표인식을 도와주고, 새로운 아이디어는 스스로 발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는 것을 아동이 인식하도록 도와준다. |
안드라고지 andragogy
|
1. 직역하면 성인 교육론으로, 성인들의 학습을 돕기 위하여 성인교육의 이론, 과정,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분야 2. 이 용어는 「교육론」을 의미하는 「페다고지」(pedagogy)가 그리스 어원으로 해석하면 「아동교육」의 뜻이 되는 것에 대하여, 「성인」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안드로스(andros)와 「이끌다」 또는 「가르치다」를 뜻하는 아게인(agein)의 합성어로, 성인을 교육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3. 「안드라고지」라는 용어는 동구권 국가들에서는 널리 사용되었으나 영미에서는 사용되지 않다가, 1980년대 이후로 미국의 사회교육학자 노올즈(Malcolm Knowles)의 노력에 힘입어 오늘날에는 일반적인 용어로 정착되었다. 4. 안드라고지는 기존의 교육학이 아동의 교육학이었다는 점을 역설함으로써, 성인의 교육학의 필요성과 차별성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아동과 성인의 차이를 뚜렷이 밝히고, 성인학습자의 학습이론과 성인학습자를 위한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한 연구과제가 된다. 5. 「성인」의 개념이 명확한 것은 아니다. 법적으로는 성인의 규정이 나라에 따라 달라서 18세에서 21세까지 각양 각색이다. 때로는 심리학적 개념을 차용하여, 정서적으로 사회적으로 지적으로 성숙한 사람이 성인이라고 규정하기도 하지만, 이것도 역시 자의적 규정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그러므로 각 사회에서 그 사회의 통념에 따라 규정하는 성인의 기준을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
안면타당도 顔面妥當度 face validity
|
1. 검사문항이 그 검사가 재고자 하는 바를 충실하게 재어 주고 있다고 피검사자의 입장에서 보는 정도 2. 내용타당도와의 차이점 ⑴ 안면타당도는 그 검사에 관한 검사자의 어느 정도 피상적인 관찰에 의해서 결정되며, 그 문항이 재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명료하게 판단될 수 있는 내용에 국한된다. ⑵ 내용타당도는 심리측정에 소양을 가진 전문가의 철저하고 계획적인 판단에 의해서 규정되며 명료하게 눈에 띄는 내용뿐만 아니라 그 의도가 명료하지 않은 복잡한 내용에 관한 것도 고려하게 된다. |
애정욕구 愛情欲求 love need
|
1. 타인과의 애정관계가 결여되었을 때 나타나는 욕구의 일종. 친구?아내?애인 등이 없을 때 사람들은 애정욕구를 가지게 된다. 2. 매슬로우(A. Maslow)의 욕구단계설 중에 세 번째 단계에 해당된다. |
양현고 養賢庫
|
1. 고려시대 국자감의 재정을 충당한 장학기관 2. 예종의 국학진흥책 : 예종 14(1119)년에 설치되었고, 2인의 판관(判官)이 관리하였다. 예종은 관학보다 사학이 우세하여 국자감교육이 쇠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국자감에 칠재(七齋)를 두는 등 관학진흥정책을 실시하였는데, 양현고는 이러한 정책을 뒷받침하는 기관이었다. 3. 조선의 양현고 : 조선시대에도 국자감을 개편한 성균관의 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 양현고를 계속 운영하였다. 이 때의 재원은 주로 성균관에 하사한 학전(學田)과 노비로 충당되었는데, 초기에는 학전 2,000결, 노비 400구 정도였으나, 점차 줄어들어서 영조대에는 학전 400결 정도에 불과하게 되었다. 당시 양현고에는 주부(主簿), 봉사(奉事) 등의 직책을 두었고, 성균관의 전적(典籍), 박사(博士), 학정(學正)이 각각 겸임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