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百折不屈 (백절불굴)
|
| 백 번 꺾어져도 굽힘이 없음 |
|
伯仲之勢 (백중지세)
|
| 우열을 가리기 어려운 형세 |
|
百尺竿頭 (백척간두)
|
| 백자 길이의 장대 끝. 매우 위태로운 상황 |
|
夫唱婦隨 (부창부수)
|
| 남편이 먼저 부르고 아내가 뒤따라 함 |
|
附和雷同 (부화뇌동)
|
| 주관이 없이 남의 생각을 그냥 따름 |
|
粉骨碎身 (분골쇄신)
|
| 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짐 |
|
不俱戴天 (불구대천)
|
| 하늘을 같이 할 수 없는 사람. 함께 살 수 없는 원수 |
|
不恥下問 (불치하문)
|
| 아랫사람에세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음 |
|
髀肉之歎 (비육지탄)
|
| 넓적다리에 살이 붙어 탄식함. 장수가 능력을 발휘 못함을 탄식함 |
|
四顧無親 (사고무친)
|
| 사방을 둘러보아도 친척이 없음. 외로운 처지 |
|
四面楚歌 (사면초가)
|
| 사방에 초나라 노래 소리.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형세 |
|
沙上樓閣 (사상누각)
|
| 모래 위에 지은 누각. 오래가지 못함. 위태로움. 실현불가능한 일 |
|
殺身成仁 (살신성인)
|
| 몸을 죽여 인을 이룸. 옳은 일에 목숨을 바친 의로운 행위. |
|
三顧草廬 (삼고초려)
|
| 유비가 제갈공명의 움막을 세 번 찾음. 인재를 얻기 위한 노력 |
|
三旬九食 (삼순구식)
|
| 30일에 아홉 끼니를 먹음. 매우 가난하여 끼니를 거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