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역적 사고 演繹的思考 deductive thinking
|
1. 확실한 근거가 있거나 가정(假定)된 일반적 지식?법칙?원리에서 특수한 사례?원리?결론 등을 이끌어 내는 사고과정 2. 연역적 사고는 귀납적(歸納的) 사고에 대립되는 것으로 삼단논법(三段論法)이 그 대표적 인 형식이다. 3. 대전제(大前提)를 일반적 원리라 한다면 얻어지는 결론은 항상 대전제의 한 부분에 해당된다. 4. 귀납법과 대립된다고는 하나 심리적인 과정에서 보면 연역적 사고와 귀납적 사고가 대립적 사고라기보다는 보완적이거나 상호관련적이라 할 수 있다. 5. 교육활동에 있어서 연역적 사고의 과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수업을 연역적 수업이라 하며, 흔히 연역적 설명식 수업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
열등감 劣等感 inferiority feeling, inferiority complex
|
1.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또는 그 밖의 상태나 조건이 다른 사람보다 약하거나 낮거나 부족하다고 느끼고 생각하는 심리적 상태 2. 사람은 이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 완전성?우월성 또는 전체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다. 3. 아들러(A. Adler)는 인간의 부적응 행동이나 이상심리의 원인이 열등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정신치료의 중점을 열등감의 극복에 두었다. |
열린 교육 ―敎育 open education
|
1. 제도교육이 시간을 두고 그 관행을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역기능 즉, 교육의 규격화?획일화?형식화?비인간화 경향에 주목하여 학교 제도, 교육 내용에 대한 결정, 수업 방법, 교수 조직, 교육 기관과 사회와의 관계 등 여러 측면에서 보다 자유롭고 다양하게 선택 가능한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인간 교육의 가치 실현에 보다 충실하고, 자유로운 인간 정신의 계발과 창의를 북돋우어 자아실현과 사회에 대한 교육의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는 교육 2. 국내에서는 학교교육이 획일?경직된 방식으로 정답형의 답습적 인간을 양성하고 있다는 비판 아래 창의적이고 주체성 있는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열린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주장이 80년대에 강하게 제기되었다. 3. 주장의 요지 : 학습 내용을 고정된 것으로 학습하도록 되어 있는 교육내용관, 교재관, 평가관을 개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를 격려하도록 하여 창의형(사고형) 인간교육으로 나가야 된다고 하는 점이 역설되었다. 즉 정답형 인간을 양성하는 기존 교육제도는 그 주요 원인이 관주도적 교육정책 결정방식, 폐쇄?획일적인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등에 있다고 지적하고 다양한 생각과 시도가 교육의 실제에 수용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문제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의 획일?경직된 제도를 개방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열린교육을 주장해 왔다. 4. 실시형태 : 1980년대 말 이후 학교 수업의 실제에서 권위주의적, 규격화된 일제 수업, 획일적 암기 교육 방식을 탈피하기 위한 대안으로 소규모 학생 집단 구성하기, 교실벽 트기, 탄력적 수업 시간 운영, 학부모를 수업 자원인사로 활용하기, 자기 평가 방식 등을 도입하여 학교 학습에 학생들이 보다 자유롭고 흥미있게 갖도록 하기 위한 대안들이 초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운동으로 시도되고 있다. 또한 열린교육은 학교시설, 교육프로그램을 일반 사회에 개방하여 제때에 정규 교육을 이수하지 못한 성인들이 정규 또는 비정규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과 같은 것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5. 외국의 열린교육 : 이러한 차원에서 열린교육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영국의 개방대학이 꼽힌다. 이밖에 미국과 영국을 위시한 외국에서 1970년대에 기존 학교교육 질서를 반대하고 나섰던 소위 대안적 학교 운동도 열린교육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6. 열린교육에 대한 평가 및 전망 : 이 운동은 그 후 지속성을 가지고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피교육자에게 의미있는 학습의 목표 추구를 허용하고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시간, 장소, 방법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는 열린교육의 시도는 기존의 제도교육에 대한 보완적 역할로서 또는 대안으로서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영가설 零假說 null hypothesis
|
1. 전집치 간에 차가 없다는 것을 원가설(原假說)로 설정한 가설검증의 한 방법 2. 과거의 연구결과나 어떤 논리적 근거에 의하여 전집치가 어떤 값을 가졌다고 가정하거나 두 전집 또는 그 이상의 전집치 간에 차가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렇게 가정된 전집에서 현재의 표집치를 얻을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가를 따지고, 가정된 전집치와 표집치 간의 차이가 단순한 표집오차에 의한 우연적이라고 볼 수 있는지 그렇지 않다고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따지는 과정이 가설검증이 된다. 3. 영가설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집치간에 차가 없다고 원가설를 설정하는 경우를 말한다. 4. 어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통계적 가설을 설정할 때는 흔히 두 전집치 간에 차가 없다는 영가설을 세우게된다. 예를 들어 두 가지 교수방법 간에 차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원가설로 차가 없다는 가설를 세우고 이러한 가정하에 전집분포를 규정하여 현재의 표집치가 이러한 영가설하에서 얻을 가능성이 얼마인가를 따져서 이러한 기준 이하로 얻을 가능성이 적을 때는 원가설인 영가설을 부정하고 상대적 가설을 받아들이게 된다. 5. 차가 없다는 영가설이 사실일 때 이를 부정하는 기준, 즉 α수준은 흔히 1% 또는 5% 수준을 정하고 있다. 영가설은 흔히 : =, : = 또는 : == 등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전집치가 서로 같다. 즉, 차가 없다는 원가설로 제시된다. 6. 그러나 때로는 : - =5 라든가와 같이 차가 없다는 영가설이 아닌 그 차가 일정한 값을 갖는다는 가설로도 원가설이 설정되기도 한다. |
영재성 英材性 giftedness
|
1. 영재성에 관하여 가장 많이 인용되는 정의들 중 미국문부성(USOE)의 정의는 "전문가에 의하여 타고난 능력이 우수하여 뛰어난 성취를 보이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으로서 이들이 자신과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잠재능력을 계발시키려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일반 교육 이상의 변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필요한 자"이다. 2. 뛰어난 성취가 나타날 수 있는 분야는 일반 지적 능력, 특정 학문 적성, 창의적 또는 생산적 사고, 지도자적 능력, 시각적 무대예술, 정신운동 능력 등이다. 3. 문제점 : 이 정의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뛰어난 영재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높은 동기」를 간과하였고, 여섯 분야가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여섯 분야에 대한 언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자들로 하여금 지능이나 성적만을 선발의 기준으로 정하게 하는 오류가 있다. 4. 렌줄리의 삼원모델 ⑴ 렌줄리(J. Renzulli)는 "사회에 가치 있는 기여를 한 사람들이 갖는 결정적인 세 가지 특징은 높은 창의성, 높은 과제 집착력(동기),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이라는 삼원모델(Three-Ring model)을 주장하였다. ⑵ 단점 : 이 정의는 능력과 창의성은 우수하나 동기는 낮은 학습부진 영재(gifted under achievers)를 포함시키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5. 실제로는 각 프로그램이 수용한 정의에 따라 영재 판별도구와 절차가 결정되고 또, 각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도구와 기준이 영재교육을 받을 사람과 그렇지 않을 사람을 결정하게 된다. |
영재 판별 英材判別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he talented
|
1. 영재의 타고난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받을 사람과 그렇지 않을 사람을 가려내기 위한 작업. 영재 판별은 영재의 정의 및 프로그램의 목적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2. 판별의 기본 원칙 ⑴ 판별의 시기는 어릴수록 좋다. ⑵ 지능이라는 단일한 기준보다는 다양한 도구와 절차를 활용한다. ⑶ 일회적인 판별보다는 지속적인 판별을 한다. ⑷ 취학 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 아동들의 경우, 판별의 정확도를 기하기 어려우므로 더 많은 비율의 아이들을 선발한다. 3. 판별의 방법 : 다차원적 다단계 접근 방법 ⑴ 의미 : 객관적 주관적인 평가 자료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다차원적으로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 ⑵ 제1단계 : 교사, 학부모, 친구, 또는 자기 자신에 의한 추천 ⑶ 제2단계 : 지능검사, 성취도 검사, 창의성 검사, 인성 검사 등의 표준화 검사의 실시 ⑷ 제3단계 : 실험 실습, 연주 등의 실연검사(performance test) 실시 ⑸ 제4단계 : 교육 프로그램에의 배치 후 관찰 과정을 모두 거치면서 선발 학생 수를 점차적으로 줄여나간다. ⑹ 유의점 : 판별의 준거는 충분히 객관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하지만, 각 학생 개개인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 의견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예언타당도 豫言妥當度 predictive validity
|
1. 한 검사로서 미래의 어떤 기준변인을 얼마만큼 예언하느냐 하는 정도 2. 준거타당도의 하나로서 미래의 어떤 기준, 예를 들면 대학이나 전문학교에서의 성공을 예언하기 위하여 학업 적성검사를 사용한다든가 또는 누가 정신병적 부적응을 나타낼 것인가 등을 예언하기 위하여 성격검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 검사가 예언하고자 하는 기준과 상관의 정도를 말한다. 3. 이와 같은 경우에 검사의 기능은 검사와는 질적으로 다른 어떤 행동을 나타내는 변인을 예언하는 데 있다. 4. 예언타당도는 기준변인의 자료가 미래에 있을 때, 즉 검사를 실시한 후 얼마 간 기간이 지난 후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 준거타당도 |
오단계 교수설 五段階敎授設 [독] Formale Stufe des Unterrichts
|
1. 헤르바르트(J. F. Herbart)파의 칠러(T. Ziller)의 제자인 라인(W. Rein)이 처음 주장한 형식적인 교수단계 2. 모든 단원은 다음과 같은 5단계에 의해 교수된다. ⑴ 예비단계 :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는 학생의 마음을 준비시킨다. ⑵ 제시단계 : 새로운 것에 대한 여러 가지 사실을 가르친다. ⑶ 비교단계 : 새로운 관념을 이미 학생의 마음속에 있는 관념과 관련시킨다. ⑷ 개괄단계 : 구체적인 개개 사실에서 일반적인 것을 추출해서 일반적인 원칙을 만들고 이것을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연관시킨다. ⑸ 응용단계 : 일반적인 원칙을 실제장면에 적용해서 이미 체득한 지식을 활용해 본다. |
오버헤드 투사기 ―投射機 over-head projector ; OHP
|
1. 교재를 교사의 머리 너머로 제시할 수 있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의 교육 공학적 매체(媒體) 2. 교사나 조작자가 이 기계의 판서(板書)할 수 있는 곳에 이미 마련된 투시물 교재를 놓거나, 그 위에서 판서를 하면 투시물 교재가 교실 전면에 마련된 영사막에 비치게 되는 것인데, 이것은 하부의 광원(光源)에서 반사경에 비쳐서 확대되는 것이다. 3. OHP용 TP(trans-parency)자료 ⑴ 손으로 써넣은 자작(自作) : 플라스틱 시이트(sheet)에 OHP 시이트용 컬러 잉크나 컬러펜으로 쓰는 것으로 가장 기본적인 방법 ⑵ 복사에 의한 자작 : 사무용 또는 전용 복사기를 이용하는 것 ⑶ 시판품 구입 |
오부학당 五部學堂
|
1. 고려 말 공양왕 때 당시 주자학의 태두였던 정몽주(鄭夢周)가 성균관 대사성(大司成)을 겸하고 있을 때 개경의 중앙과 동?서?남?북에 세운 학교 2. 지방의 향교(鄕校)에 대하여 중앙(開京)의 각 부에 두었다. 3. 이 제도는 중국에도 없었던 것으로, 고려 말 유학진흥의 요청으로 설치되어 조선시대 때에 4부학당으로 발전을 보았다. 4. 이 학당들은 교육을 받지 못하는 개경의 학도들을 지방의 향교 정도의 교육을 시킨 기관으로, 다만 향교와 다른 점은 문묘(文廟)가 없이 순수한 교육만 하였다는 점이다. 5.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이 제도를 답습하여 서울을 동?서?중?남?북의 5부(五部)로 나누고, 여기에 각각 학교를 하나씩 설치하여 5부학당이라 했다. 6. 그러나 북부학당(北部學堂)만은 끝내 설치를 보지 못해 사실상 4부학당(四部學堂)만이 존속했기 때문에 보통 이를 4학(四學)이라고 부른다. ? 사학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Oedipus complex
|
1. 정신분석학의 용어로서 인간의 발달과정 중 3~6세의 성기기(性器期)에 남자아이가 어머니의 사랑을 갈구하고 아버지를 배척하는 현상. 2. 이 용어는 프로이드(S. Freud)가 그리스 신화 중 오이디푸스 왕의 이야기를 따서 명명한 것이다. 3. 이 시기의 남자아이는 아버지의 죽음을 무의식적으로 원하고 어머니와 가까이 하려 하나 사회의 억제와 아버지의 거세위협(去勢威脅)에 의한 거세불안으로 인해 아버지와 동일시하게 되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말살된다. 4. 이 용어에 대립되는 개념은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이다. |
오차점수 誤差點數 error score
|
1. 검사점수의 변동을 일으키는 모든 요인들에 의해서 생기는 변동점수. 한 개인이 어떤 검사에서 실제로 얻은 점수(X)는 진점수(眞點數)와 오차점수와의 합으로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2. 여기에서 는 주어진 검사에서 i 라는 개인이 얻은 실제점수이고 는 i 라는 사람의 진점수이며, 는 i 라는 사람의 검사과정에 서 생긴 오차의 크기, 즉 오차점수가 된다. 3. 이러한 오차는 무선적이고 우연적이며 상호 독립적이어서 한 개인에 있어서나 한 집단 에 있어서 정상분포를 이룬다는 것을 가정한다. |
완전학습 完全學習 mastery learning
|
1. 학교 교육과정 속에 규정되어 있는 대부분의 교육목표들은 거의 모든 학생들에 의하여 능히 성공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보고, 이를 성취하기 위하여 수업절차가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학습속도에 대하여 최적(最適)의 것이 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교수이론(敎授理論)의 한 입장 2. 블룸(B. S. Bloom)이 주로 캐롤(J. B.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이런 주장을 펴나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김호권(金豪權)이 중심이 되어 이 방면의 이론 전개와 실험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3. 완전학습의 성취를 위하여 권장되고 있는 구체적인 수업전략 ⑴ 진단적 평가에 의한 선수학습(先修學習)에서의 결손의 보충지도 ⑵ 수업목표의 명시 ⑶ 적절한 학습단서의 제공 ⑷ 학생에 의한 반응?연습 등의 참여 강조 ⑸ 형성적(形成的) 평가에 의한 체계적인 피드백(feedback)의 제공 ⑹ 형성적 평가에 입각한 적절한 교정지도 ⑺ 소집단 협력학습의 실시 |
외연 外延 extension, denotation
|
한 술어(述語)가 가리키는 대상물의 총체. 예를 들면, 「별」[星] 이라는 말의 외연은 하늘에 있는 별들의 총체이다. ? 내포 |
외연적 정의 外延的定義 extensional definition
|
어떤 술어를 정의하는 방식으로 그 술어의 외연을 제시하는 것 ? 외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