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재적 교육과정 外在的敎育課程 external curriculum
|
1. 교육과정 구성의 절차와 실체가 명확하여 그것을 계획하고 전개하는 과정상의 작업이 구체적으로 지시(指示)되는 교육과정 2. 교육의 목표?내용 또는 활동 및 방법을 표현하는 단어나 문장의 의미가 단일할 가능성이 짙으며 관련인사(關聯人士) 간의 의사소통도 쉽다. ? 내재적 교육과정 |
외적 타당도 外的妥當度 external validity
|
1. 한 특수한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그것이 수행된 맥락(脈絡)과는 다른 상황이나 피험자(被驗者)에까지 일반화시킬 수 있나 없나를 구분하는 정도 2. 상황에 따른 일반화가 특히 관심의 초점이 되는 경우는 보다 특수한 용어로서 「생태적 타당도」(ecological validity)라는 말을 쓴다. 3. 예 : 연구는 항상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지만 연구자는 그 연구결과가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예컨대, 실험실에서 이루어진 연구결과가 일상적인 상황에까지 일반화될 수 있다거나, 혹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얻은 기능과 학업성적과의 관계가 대학생에게까지 일반화될 수 있다면 그것은 일상적인 유용도의 면에서뿐만 아니라 과학적 지식의 발전이라는 면에서 바람직 한 일일 것이다. 4. 유의점 : 연구자는 자신의 소망과 객관적인 사실을 구분 짓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하면 외적 타당도는 연구자의 기대나 소망에 의해서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의해서 검증(檢證)되어야 할 성질의 것이다. ? 내적타당도 |
외현적 교육과정 外現的敎育課程 overt curriculum
|
1. 교육과정의 구성인(構成因), 즉 목적?내용?학습활동 및 평가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과정이 의도적?목적적이며, 그 실체(實體)가 문장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쉽게 겉으로 나타나는 교육과정 2. 통상적인 의미의 「교육과정」이란 바로 이 「외현적 교육과정」을 가리키지만, 교사나 학습자의 의식에 떠오르지도 않고 교육이 수행되는 전반적인 과정에서 확인하기도 어려운 어떤 요인, 즉 내현적 교육과정이 있음을 전제로 하여 그것에의 대척개념(對蹠槪念)을 표현한 말이다. |
욕구의 위계 欲求―位階 hierarchy of need
|
1. 다양한 욕구들 상호간에 존재하는 관계를 위계화한 것 2. 흔히 생득적 욕구와 사회적 욕구로 분류하기도 한다. 욕구의 위계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매슬로우(A. Maslow)의 이론이다. 3. 그는 인간의 욕구를 생리적 욕구, 안전욕구, 소속과 사랑의 욕구, 존중욕구, 인지욕구, 심미욕구, 자아실현욕구로 위계화 하였다. |
우즈호울회의 Woods Hole Conference
|
1. 1959년 9월, 미국의 각 분야의 학자와 교육전문가 약 35명이 우즈호울이라는 곳에 모여, 열흘 동안 초?중등학교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하여 전반적인 미국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논의한 회의 2.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를 계기로 하여 미국의 각 지역에서는 물리학, 수학, 생물학, 화학 등의 여러 교과에서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는데, 우즈호울 회의는 그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그 동안에 있었던 여러 가지 노력을 결집하고 교육과정 개선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개최되었다. 3. 이 회의에서는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제안된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검토하기도 하고, 또 그와 관련된 몇 가지 주제, 즉 「교육과정의 계열성」, 「교구」, 「학습동기의 유발」, 「학습과 사고에 있어서의 직관의 역할」, 「학습에 있어서의 인지적 과정」 등에 대하여 토론하기도 하였다. 4. 회의의 결과는 이듬해에, 의장을 맡았던 브루너(J. S. Bruner)에 의해 종합되어 《교육의 과정》이라는 책으로 발간되었으며, 다시 이 책은 전 세계적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관한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 5. 우즈호울 회의의 개최와 학문중심 교육과정 논의의 출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으나, 적어도 그 의미를 소련의 스푸트니크 발사와 그에 따른 미국의 국가안보 문제에 국한시켜 파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6. 우즈호울 회의와 그 결과는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며 무슨 목적으로 그것을 가르칠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반성이며, 그것은 곧 교과의 의미와 교육방법이라는 교육과정의 한 가지 핵심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라고 할 수 있다. |
원격교육 遠隔敎育 distance education
|
1. 전통적 교육방식에서의 출석에 의한 대면학습과 달리, 교수자와 학습자간에 시간적?공간적 원격성을 전제로 인쇄물이나 방송통신 및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공학 매체들을 매개로 하여 행하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대안적 교육방식 2. 특징 : 가르치는 교수행위와 배우는 학습행위가 서로 분리되어, 원격의사 소통방식(distance communication)을 통해 행하게 되는 새로운 형태의 교수학습활동 ⑴ 학습자와 교육제공자간의 공간적?시간적 원격성 극복, 즉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의 학습이 가능 ⑵ 학습자에 의한 자기 주도적 자율학습과 개별 학습의 실시 ⑶ 사전에 개발?준비?제공되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교육 프로그램 ⑷ 인쇄물이나 전화, 회로식 TV, 컴퓨터, 비디오 등과 같은 다원적 원격교육 매체를 통한 학습자와 교수자, 교육매체 전문가간의 다원적 의사소통의 가능성 ⑸ 화상학습이나 상황학습, 모듈코스 등과 같은 다양한 대안적 학습체제개발과 최신 정보공학 기술 활용을 통한 새로운 교육영역의 개척과 교육 효율성의 제고 ⑹ 교육의 대량 공급과 합리적인 자율학습 체제 등을 통한 교육의 경제적 효율성 제고 3. 장점 : 교육기회의 확대 제공과 교육적 효율성의 제고 ⑴ 첨단의 교육 다중매체를 활용함으로써 교육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⑵ 교과 전문가와 교육 프로그래머, 교육공학 및 통신 매체 전문가. 컴퓨터 전문가, 학습 상담자, 일반 교육자원 인사 및 교육 전문가 등의 다양한 집단에 의해 교육 프로그램이 사전에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기획?개발?제공된다는 점에서 다학문적 다영역적 팀티칭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⑶ 시간적 공간적 거리의 제약을 넘어서 누구에게나 효율적인 교육을 대량 체제로 공급할 수 있다. 4. 활용 : 원격교육은 오늘날 개방대학이나 방송통신대학 등과 같은 새로운 고등교육부문과기업체 연수 및 통신강좌 등과 같은 사회교육 프로그램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원리 原理 principle, rule
|
1. 개념과 개념의 관계를 진술한 것 2. 개념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행동으로 나타나도록 하는 개인의 내적 상태 3. 행위의 근본이 되는 규범. 수업에서는 원리를 단순한 언어적 진술로 파악하기보다는, 개인에게 제공되는 자극사태의 다양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특정자극 부류에 대해서 규칙적인 반응을 보이는 내적 상태로 파악하려 한다. 예컨대 덧셈의 교환법칙에서 「3+2=2+3」, 즉 「α+b=b+α」같이 숫자의 순서를 바꾸어도 결과는 같다는 것을 실제로 적용할 수 있으면「덧셈의 교환법칙」이라는 원리를 소유하고 있는 것이 된다. ? 원리학습 |
원리학습 原理學習 rule(principle) learning
|
1. 원리를 내재화(內在化)하여 개인의 실제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수준의 학습 2. 원리를 어떤 특정한 부류의 자극에 대해서는 특정한 행동으로 반응하도록 하는 개인의 내재적(內在的) 상태라고 한다면, 이러한 내재적 상태의 형성이 곧 원리의 학습이 된다. 3. 원리를 진술하고 있는 문장의 단순한 진술 또는 기억과는 구별되는 능력이다. 예컨대,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높이÷2 라는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고 언어적으로 대답할 수는 있어도 실제 삼각형의 넓이를 계산할 수 없다고 한다면, 원리를 소유하고 있다고 할 수 없고 단순히 원리의 진술문을 기억해 낸다고만 할 수 있을 뿐이다. 4. 조건 ⑴ 학습이 완성되었을 때 학습자가 보여야 할 행동의 형태를 알려줄 것 ⑵ 이전에 학습된 것이면서 원리를 구성하는 개념의 재진술(再陳術)을 학습자에게 자극할 것 ⑶ 학습자에게 개념을 적절한 순서로 조합할 수 있도록 언어적 진술할 것 ⑷ 질문의 방식으로 학습자에게 원리의 구체적인 적용 예를 시범보이도록 할 것 ⑸ 학습이 끝난 후에는 원리를 언어적으로 진술해 보도록 할 것 |
원산학사 元山學舍
|
1. 1883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학교 2. 1880년 원산이 개항하면서 일본인 상인의 침해가 커지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산 주민들이 기존의 서당을 개편하여 운영한 것이 기초가 되었다. 3. 1883년 1월 정현석(鄭顯奭)이 덕원부사 겸 원산감리로 부임하자 근대적인 학교를 세울 것을 건의하였고, 당시 서북경략사였던 어윤중(魚允中), 원산항 통상담당의 통리기무아문 주사였던 정헌시(鄭憲時) 등이 지원함으로써 설립되었다. 4. 공식 적으로 정부의 인가를 받은 것은 그해 8월이었는데, 설립초기에는 문예반 50명, 무예반 200명을 정원으로 하여 운영되었다. 5. 입학대상 ⑴ 학교설립기금을 낸 사람의 자제만이 아니다. ⑵ 덕원?원산지방의 연소자로 재주가 있는 자 ⑶ 타지방 사람으로 입학금을 내는 자 ⑷ 무사로서 무예반에 들어오려는 자들에게 모두 개방하였다. 6. 교과목 ⑴ 공통과목 : 산수?격치(格致;물리)?농업?양잠 등 ⑵ 특수과목 : 경서와 병서 등 7. 발전 및 변화 : 이후 갑오개혁시기에는 소학교와 중학교로 분화되었고, 일제시대에는 원산보통학교, 원산제일국민학교 등으로 개편되어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
원인 原因 cause
|
1. 변화?운동 혹은 행위를 가능하게 한 힘 2.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분류 ⑴ 사물의 발생을 본질적으로 결정하는 형식적(formal) 원인, ⑵ 사물의 자료가 되는 질료적(質料的, material) 원인 ⑶ 결과를 야기 시키는 힘을 의미하는 효율적(efficient) 원인 ⑷ 목적을 의미하는 궁극적(final) 원인 ⑸ 신(神)을 의미하는 제일의(first) 원인 3. 르네상스의 시기에는 원인을 존재하는 실체적 대상(object)으로 생각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에너지나 행위의 형태로 이해한다. 뉴우튼은 "같은 결과에는 같은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밀(J. S. Mill)은 한 결과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주장한다. 4.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사건간의, 혹은 변화의 관계이며 논리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개념들로 표현될 때, 한 사건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충분조건으로서의 다른 한 사건이 원인이 된다. ? 결과, 인과론, 인과율 |
원점절목 圓點節目
|
1. 원점에 대한 시행 규칙 2. 원점이란 조선조 때 성균관과 사학(四學) 유생들의 출결석을 점검하기 위한 일종의 출석부로서 식당에 들어갈 때 도기(到記)에 찍었던 점으로 아침?저녁 두 끼를 1점으로 하고, 일정한 점에 이르면 과거(科擧)를 볼 자격을 부여하였다. |
위계 位階 hierarchy
|
1. 공식조직(公式組織)을 구성하는 구성원들 간에 상하의 등급(等級) 내지 계층을 상정하여 각 계층간에 권한과 책임을 배분하고 명령?복종?지휘감독 체계를 확립하는 것 2. 어떤 조직이든지 그 편성?운영을 담당하는 자는 부하에게 권한의 일부를 위임하게 되고, 그 부하는 자기의 권한보다 작은 권한을 바로 밑의 부하에게 위임하게 되는 등급화 과정을 거쳐 각 계층간의 명령?복종관계를 명확히 하고, 명령이 피라밋형 조직의 정점으로부터 최저변에 이르기까지 도달하는 체계를 확립한다. 3. 위계는 계층제?계서제(階序制)라고도 하는 데 이는 원래 가톨릭의 교권제도(敎權制度)에서 유래되었으나 오늘날의 대부분 조직의 기저를 이루고 있다. 4. 행정조직 흑은 관료제 조직은 수평적으로는 직무(職務)의 분업화에 의해서 각 부서 조직이 설치되는 동시에 하나의 부서가 하나의 활동 단위로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직적인 계층제를 확립해야 한다. |
위계성 位階性 hierarchy
|
1. 학습과제의 내용이나 행동적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했을 때, 어떤 특정 내용요소나 행동적 특성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내용요소나 행동적 특성을 선행(先行)해서 학습해야 하는 것과 같은 내용요소간의 상호관계 2. 위계성을 내용적 체계에 따라 설명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행동적 특성에 따라 설명하는 사람도 있다. 3. 오수벨(D. P. Ausubel)은 학습과제를 내용적 측면에 따라 그 위계성을 설명하는가 하면, 가녜(R.M. Gagne)는 행동적 측면과 내용의 측면이 복합된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4. 설명 중 널리 알려진 것은 지적 기능(知的技能) 영역에 관련하여 가녜가 설명하고 있는 방식이다. ? 학습위계, 지적 기능 |
유물론 唯物論 materialism
|
1. 우주의 근본적인 실재(實在)를 물질이라고 보아, 물질 및 그 운동이 세계원리이며, 의식이나 정신도 물질적 진행의 소산이라고 하는 견해 2. 유물론의 기원은 철학의 기원과 때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철학의 시초가 유물론적 자연학으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3.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Demokritos)는 우주의 궁극적 실재를 원자(atom)로 보고, 일체의 생성변화는 원자의 기계적 운동과 결합의 소산이라고 하여 인간의 정신현상까지도 원자의 기계적 운동으로 환원시켰다. 4. 유물론에는, 이와 같이 세계의 모든 현상을 물질과 그 운동의 법칙에 의하여 설명하려는 기계론적(mechanical) 유물론과, 19세기 중엽 이후 마르크스(K. Marx)와 엥겔스(F. Engels)에 의해 확립된 변증법적(dialectical) 유물론이 있다. ⑴ 변증법적 유물론은, 기계론적 유물론에서와 같은 불변적인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양(量)에서 질(質)로, 질에서 양으로 부단히 이행하는 영원한 운동과정 속에서 물질을 파악하였다. ⑵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 견해를 자연현상뿐만 아니라 사회와 역사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세계의 역사를 대립되는 경제적 집단간의 끊임없는 충돌을 통한 정립?반정립?종합의 변증법적 전개과정으로 보는 유물사관(唯物史觀)을 확립했고, 이는 공산주의의 기본철학이 되었다. |
유아학교 幼兒學敎 infant school
|
1. 만 5세부터 7, 8세에 이르는 어린이를 위한 영국의 교육기관. 한국의 유치원, 프랑스의 에콜 마텔넬(Ecoles Maternelles)과 같이 어린이를 위한 교육기관이다. 2. 영국의 오웬(R. Owen)이 1816년과 1824년 사이에 뉴라나크(New Lanark)의 방직공장에 세운 성격형성(性格形成) 학원을 그 시초로 보고 있다. 그 후 오웬의 뜻을 받든 후원자들이 런던을 비롯한 각지에 유아학교를 설립하였다. 3. 그러나 그후 영국의 월더스핀(S. Wilderspin)이나 스토우(D. Stow)가 주축이 되어 유아학교의 교육이념이 주입식?암기식 교육으로 바뀌게 되었다. 4. 프뢰벨(F. W. A. Frobel)의 유치원 교육철학이 영국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서 영국 유아학교의 교육은 다시 아동 중심 교육으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아동 심리 및 진보주의 교육은 그러한 변화에 박차를 가하게 하였다. 5. 현재 영국 유아학교는 놀이 및 활동 중심이며,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미국의 개방식 교육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