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의미학습 有意味學習 meaningful reception learning
|
1. 새로이 배워야 할 내용들은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기존의 인지구조와 관련지어 질 때 학습자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어 학습이 유의미하게된다는 것으로 오수벨(D. P. Ausubel)이 사용한 개념 2. 학교 학습이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구조화된 지식의 본체를 조직해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발견학습을 주장한 브루너(J. Bruner)와 공통된다. 3. 그러나 브루너가 학생 나름대로 지식을 구조화하도록 하는 것과는 반대로 오수벨은 교사의 임무는 전달하고자 하는 새로운 지식을 이미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과 연관지어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사실과 원리들을 무선적으로 암기하게 하기보다는 더 의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4. 유의미 학습은 암기식 학습 보다 더 오랫동안 기억되고 다른 지식과 더 잘 통합되며 전이 또는 적용을 위해 쉽게 활용된다. 5. 오수벨은 교사들이 효과적인 설명식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유의미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구조화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주력하였다. |
유인 誘因 incentive
|
1. 어떤 목표활동을 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자극으로서 실제적 목표가 될 수 있는 어떤 대상 2. 넓은 의미로 사용될 때에는 목표와 같은 뜻을 가진다. |
유추 類推 analogy
|
1. 간접 추리의 한 종류로서,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갖는 두 개의 특정한 사건이나 사물이 있을 때, 어느 한 쪽의 특성이 다른 쪽에도 존재할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 2. 가령 A와 B가 모두 열대성 다우지역(多雨地域)일 때, "A에서 x라는 식물이 번성하므로 B에도 x가 번성할 것이다"라는 식의 추리가 유추의 한 예이다. 3. 유추에 의한 결론은 개연적(蓋然的)이며, 유비(類比)?유비추리, 혹은 비론(比論)이라고도 한다. |
유층표집 類層標集 stratified sampling
|
1. 확률적 표집방법의 하나 2. 연구하고자 하는 변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고려하여 하위전집(subpopulation)으로 구분하여 각 하위 전집, 또는 하위유층에서 표집함으로써 표집오차를 줄이기 위한 표집방법 3. 예를 : 수학 학력조사에서 학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성별 및 학군(學群)에 따라 상당히 학력변산이 크다고 할 때, 이를 남녀와 학군별로 구분하여 각 하위유층으로 구분하여 각 유층 내에서 무선적으로 표집 하는 것이 단순 무선표집보다는 그 표집오차가 적어지므로 보다 대표적 표집이 될 가능성이 많게 된다. 4. 특히 각 유층 내에서 표집의 크기를 전집의 구성비율과 같게 무선표집 할 때 이를 비율적 유층표집(比率的類層標集)이라고 한다. |
유치원 幼稚園 [영] kindergarten [독] Kindergarten
|
1. 학령전기 어린이를 위한 유아교육 기관 2. 최초의 유치원에서는 만 2세 이후의 학령전기 어린이들을 교육하였으나 현재는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1~2년 동안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으로 특징지어져 있다. 3. 프뢰벨(F. W. A. Frobel)은 세계 최초로 유치원 교육을 놀이 중심?활동중심으로 이끌었으며, 지금은 그러한 개념이 더욱 발전?확대되었다. 4. 전세계적으로 유치원은 공교육화되어 가고 있다. 5.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유치원은 1909년에 설립된 함경북도의 「나남(羅南) 유치원」이다. |
육영공원 育英公院
|
1. 구한말(舊韓末) 고종 23(1886)년 9월, 관리 양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세운 최초의 신식 교육기관 2. 좌원(左院)과 우원(右院)의 2개 반을 두어, 좌원에는 젊은 문무관리 중에서, 우원에는 15세에서 20세 사이의 양반자제 중에서 골라 입학시켰다. 3. 한국 최초의 신식학칙(新式學則)이라고 할 수 있는 육영공원 설학절목(育英公院說學節目)에 의하면 수업연한은 3년으로 되어 있으나 교사들은 7년으로 잡고 처음 3년은 예과, 나머지 4년은 대학과정의 본과로 하려고 했던 것 같다. 4. 교과내용은 학습차제(學習次第)라 하고 책 읽기 [讀書]?글쓰기[習學]?외국어(外國語)?수학?자연 과학?지리?역사?정치학?국제법 경제학 등을 교수하려 했으나 그 중 일부분은 실현되지 못했다. 5. 강의는 영어로 했으며 교과서도 영어로 된 것을 채용하였다. 학생수는 1886년에는 35명, 1887년에는 20명, 1889년에는 50명이었다. 6. 교사는 미국인인 헐버트(H. B. Hulbert)?벙커(D. A. Bunker)?길모어(G. W. Gilmore) 등이 초빙되었고, 이들 중 길모어가 귀국한 뒤, 기포드(D. L. Gifford) 목사가 얼마동안 이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7. 1894년, 「영어학교」로 교명을 바꿀 때까지 육영공원은 한국교육이 근대적인 신교육으로 전환?발전하는 과정에서 교량적 역할을 한 최초의 관립학교였다. 설립 당시에는 서울 정동(貞洞)에 있다가 1891년 전동(?洞)으로 이전했다. |
은물 恩物 [영] gifts [독] Gabe
|
1. 보고, 만지고, 느끼며 노는 동안 수개념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일종의 계획된 장난감 2. 예컨대 프뢰벨(F. W. A. Frobel)의 은물은 단계적으로 주어야 하는데, 그 종류 및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⑴ 첫째 은물 : 직경이 6cm인 빨강?노랑?파랑?주황?초록?보라색의 색 공 ⑵ 둘째 은물 : 지름이 6cm인 공, 지름이 6cm, 높이 6cm인 원통, 한 변이 6cm인 정육면체 및 이 세 가지의 중심을 꿰뚫어 함께 매달 수 있는 대. 이 세 가지를 빙빙 돌리면서 놀게 된다. ⑶ 셋째 은물 : 8개의 2.5cm의 정육면체가 들어 있는 상자 ⑷ 넷째 은물 : 5cm×2.5cm×l.25cm 크기의 직육면체 8개가 들어 있는 5cm의 입방체 상자. ⑸ 다섯째 은물 : 2.5cm의 입방체 21개, 2.5cm의 입방체 3개를 각각 이등분한 삼각주 6개, 2.5cm의 입방체 3개를 각각 사등분한 작은 삼각주 12개, 이모든 것이 들어갈 수 있는 7.5cm의 정육면체 상자. ⑹ 여섯째 은물 : 1.25cm×2.5cm×5cm인 직육면체 18개, 2.5cm×2.5cm×l.25cm의 직육면체 12개, 1.25cm×1.25cm×5cm의 직육면체 6개인 도합 36개의 조각이 들어갈 수 있는 7.5cm의 정육면체 상자 등이다. |
음서 蔭敍
|
1. 인재등용의 길인 과거를 통하지 않고 부조(父祖)의 국가에 대한 공에 따라 그 후예들을 관리로 채용하던 관리임용방식 2. 이러한 방법은 고려조에서 시작되어 조선조까지 계속되었다. 3. 고려조에서는 귀족의 자제들이 부조(父祖)의 공음(功蔭)으로 출세하는 음사(蔭仕)?음보(蔭補)가 있었고, 조선조에서는 공신의 자손이나 궁정(宮廷)의 친척관계 등으로 특서(特敍)하는 문음(門蔭)과 학덕이 뛰어나 재조(在朝) 고관이나 지방관 또는 지방민의 추천으로 특서하는 천거(薦擧)가 있었다. 4. 조선조에서는 음자제(蔭子弟)의 등용시험을 매년 정월에 행했고, 공신과 2품 이상인 자의 아들?손자?사위?아우?조카와 3품인 자의 아들?손자, 이조?병조?도총부(都摠部)?사헌부?사간원?홍문관?부장(部將) 및 선전관 등의 음직(蔭職)을 역임한 자의 아들로서 20세 이상인 자는 간단한 시험으로 실직(實職)에 임용하되 녹사(綠事)가 되려는 자도 또한 허가하였다. |
의무교육 義務敎育
|
1. 모든 국민의 자녀들로 하여금 국가에서 정한 일정 기간의 교육을 받도록 강제하고 국가에서는 이에 필요한 교육조건을 정비하도록 의무화하는 국민기초교육 2. 의무교육의 기본 요건 ⑴ 법적인 취학의무 규정 ⑵ 국가의 수용시설 확충 ⑶ 적극적인 무상화의 추진 3. 의무교육은 원래 국민의 국가에 대한 봉사적 의미로서, 그리고 개인의 능력을 개발, 발전시키는 권리를 인정함으로써 제도화된 것이다. 4. 역사적으로는1794년 프러시아의 보통법에 규정되었고 루터(M. Luther)가 그 주창자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우리나라는 1949년 교육법이 공포됨에 따라 의무교육이 출범되었고, 헌법 제 27조에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고 "모든 국민은 보호하는 어린이에게 초등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진다"고 밝히고 있다. 1980년도 이후 중학교까지 의무교육이 상향 연장되어 9년제 의무교육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의무교육의 연한은 해당국가의 정치적 사회적?경제적 제 여건에 따라 다르며, 주요국가의경우 대부분 9~11년이 보통이다. ? 무상교육 |
의사결정 과정 意思決定過程 decision making process
|
1. 문제해결을 지향한 활동의 선택행위인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내리기 위해서 따라야 되는 과정 2. 단계 ⑴ 결정해야 되는 문제나 상황의 인식 : 실제로 결정을 내리기 전에 결정의 필요를 낳게 한 문제나 상황을 이해해야 된다. ⑵ 정보수집 및 분석단계 : 의사결정자는 문제가 생긴 원인이나 문제해결의 가능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해야 한다. ⑶ 문제해결을 위해서 가능한 여러 대안을 확인하는 단계 : 전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대안적(代案的)인 행동과정이 확인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창의성이나 경험 및 복잡한 정보를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⑷ 앞서 제시한 여러 대안을 평가하는 단계 : 결정의 시행과정에서 예상되는 결과를 서로 비교하고 장단점을 주의 깊게 고려하는 단계이다. ⑸ 최종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 : 제시된 여러 대안 중에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결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단계이다. |
의사결정 이론 意思決定理論 decision making theory
|
1. 행정과정의 핵심적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내리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이론 2. 주요한 이론모형 ⑴ 합리적?종합적 모형 : 가능한 모든 정보와 지식을 동원하여 최적(最適)의 대안을 선택하고 목표의 극대화와 고도의 합리성을 추구하는 규범적?이상적 모형 ⑵ 만족화 모형 : 최적의 대안은 아니지만 대체로 만족할 만한 것이면 감수하는 의사결정자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중시하는 현실적 모형 ⑶ 점증주의(漸增主義) 모형 : 의사결정자의 능력의 한계와 결정기술의 제약을 인식하여 현재의 대안과 이를 약간 변형시킨 제 2의 대안을 비교하여 보다 향상된 것을 추구하는 기술적?실증적 모형 ⑷ 합리적 모형과 점증적 모형 : 이용하고 기본적 방향이 설정된 후의 결정은 점증적 방법을 취하는 혼합모형 ⑸ 최적모형 : 만족화 모형과 점증모형에 대한 비판에서 나온 것으로 직관 판단 및 창의와 같은 초합리성을 통하여 최적의 결정을 얻으려는 이상적 모형 |
의사소통 意思疏通 communication
|
1. 어떤 사실이나 생각 그리고 정보(情報)의 전수(傳受) 또는 교환 2. 조직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동체제이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은 한 조직의 필수불가결한 요건이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서로 다르지만 그 기능들은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상호관련된 활동이기 때문에 항상 이런 활동을 통합하고 조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통합과 조정은 의사소통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3. 의사 소통 유형 구분 ⑴ 종적(縱的) 의사소통 ① 하향적 의사소통 : 조직의 계층구조에서 볼 때 상위자가 하위자에게 주는 의사소통 형태로 대부분의 조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다. ② 상향적 의사소통 : 조직의 효과를 평가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적절한 의사소통의 경로가 마련되고 감정적인 거리감이 없을 때에만 가능하다. ⑵ 횡적 의사소통 : 조직원 간 또는 분과 간의 수평적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하향적 의사소통에서 생기는 결함을 극복하고 조직행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의식화 意識化 conscientization
|
1. 한 개인 혹은 집단이 그가 처한 상황에 맹종하는 태도에서 자각을 통한 비판적 시각으로 현실적 제 모순(矛盾)에 대항해 그것을 극복하려는 태도로 변화하는 과정 또는 그러한 변화를 유도하는 작업 2. 프레이리(P. Freire) : "사회적?정치적?경제적 모순들을 인식하고, 현실의 억압적 요소들에 대항하여 행동을 취하게 되는 것" 3. 역사적으로 지배만 당한 대다수 민중은 그들에게 불리한 현실의 사회구조를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며, 감히 그것을 탈피하려는 생각을 갖지 못한다. 오히려 그들은 억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대한 일종의 두려움조차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 사회모순들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민중의 의식이 변화해야 하며, 이때 필요한 것이 민중의 의식화이다. 4. 의식화의 내용 : 현실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만드는 것이며, 자기에게 불리한 여건은 누군가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는 그러한 모순에 대항하여 권리를 쟁취해야 된다는 의식적 자각 5. 이러한 자각은 지배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도 요구되며, 포괄적으로 의식화는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현실적 모순에 대항?극복하려는 모든 사람들의 의식적 자각이라 할 수도 있다. 6. 의식의 자각을 위한 교육이 의식화교육이다. |
의지 意志 will
|
1. 넓은 의미로는 자발적 활동을 촉발하는 과정을 언급하는 말로 이해되고, 좁은 의미로는 그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적 상황에서 결정 혹은 선택을 행사하는 정신적 행위를 뜻함 2. 스콜라 철학에서는, 오직 이성적 존재인 인간만이 의지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2. 다른 동물은 감각적 욕구에 의해서 행동하며 자연법칙을 따르지만 인간은 행위의 방향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의지를 가진다. 그리고 인간의 자유는 바로 선택과 결정의 자유를 뜻하는 것이다. |
이데아 idea
|
1. 이념?관념이라는 말로 쓰이는 형이상학적 본체(本體) 2. 원래 그리스어로 모양, 또는 형상을 의미했으며, 플라톤에 이르러 원리(原理)?원형(原型)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3. 플라톤은, 현상계는 생멸변화하고 불완전하며 그 배후에 있는 이데아만이 완전하고 영원불변한 실재라고 보았다. 4. 이데아는 비물질적이며 보이지 않는 형상으로 개개의 사물의 이상적 원형이고 본질인데, 그것은 감각적 인식의 대상이 아니라 이성에 의한 개념적 인식의 대상이다. 5. 중세(中世)에는 이데아가 종교적 관념의 견지에서 신의 정신내용으로 해석되었고, 근세에 이르러 데카르트(R. Descartes)?홉즈(T. Hobbes)?로크(J. Locke) 등에 의하여 점차 인간의 의식(意識)의 내용을 의미하는 말로 일반화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