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본적 교육과정 人本的敎育課程 humanistic curriculum
|
1. 민주적인 사회구조의 틀 속에서 개인의 발전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2. 인본적인 교육과정의 내용은 인간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사회적인 상황과 인간적인 관점 및 그와 유사한 문제들이 교육과정 조직의 중심이 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있다. 3. 모든 학문은 학생들이 다루고자 하는 문제를 공부하는 데 있어 자원이 된다. 그러나 학생이 어느 특정한 학문에 흥미를 느끼면 그러한 방향으로 깊이 연구하도록 허용이 된다. 4. 인본적인 교육 과정의 학습활동은 인간 경험의 지적(知的)인 면과 정의적(情意的)인 면과 사회 생활에 있어 인간관계의 면들을 주로 고려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
인본주의 人本主義 humanitarianism
|
1. 인간의 가치를 주된 관심사로 삼는 사상 2. 구분 ⑴ 인간의 고통을 극소화하고 복지를 증진시키려는 모든 도덕적?사회적 운동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⑵ 신이나 자연이 숭배의 대상이 아니라, 오직 인간성(humanity)만이 존귀(尊貴)하다고 믿는 실증주의적 인간성 숭배의 사상을 일컫는 경우도 있다. ⑶ 예수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부인하고 그 인격성(人格性)만을 주장하는 신학사상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된다. |
인본주의심리학 人本主義心理學 humanistic psychology
|
1. 행동주의적(行動主義的)이며 자연과학적 방법을 존중하는 연합주의(聯合主義)와 인간을 지나치게 분석적?결정론적으로 보는 입장에 반대하는 학자들의 심리학적 조류 2. 연합주의와 정신분석학은 주로 동물이나 비정상인을 대상으로 인간을 반응객체(反應客體)로 보고 인간현상을 기술하려 했음에 반하여, 인본주의 심리학은 건전한 인간자체를 대상으로 삼았으며 인간을 능동적인 성장가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주체로 보았다. 3. 인간은 보다 자기조절적?자기통어적(自己統御的)이며 자기선택적(self-choice)이기 때문에 강요와 통제를 지양하고 그보다는 자발성과 자율성을 더욱 강조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4. 인간의 본성은 프로이드(S. Freud)의 주장처럼 생물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인 데 있다고 주장하는 신(新) 프로이드 학파, 인간은 환경을 능동적으로 조작하고 이에 따라 경험이 구성되며 행동이 결정되고 이해될 수 있다는 게쉬탈트(Gestalt) 학파 및 장이론학자(場理論學者), 개개인의 전인적 의의를 강조하는 오가니즈믹(Organismic) 학자, 그리고 실존주의심리학자(實存主義心理學者)들이 모두 인본주의심리학자에 포함된다. |
인사 人事 staffing
|
1. 조직에 필요한 인원을 확보하여 적절한 자리에 배치하고 보충하는 일 2. 한 조직의 운영을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직책이 있는 바 학교의 경우를 보면 전문직으로서의 교육행정가와 교사직, 그리고 비전문직으로서의 사무직을 들 수 있다. 3. 학교조직 목표로서의 교육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직무분석(職務分析)을 통한 인원의 적절한 구성과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인사행정 人事行政 personnel administration
|
1. 조직의 목표활동에 필요한 인적 자원의 확보?배치 활용, 질적 향상 또는 근무조건의 확립 등, 일체의 행정활동 2. 경영의 3요소, 즉 돈?물자?사람 중에서도 인적요소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인식됨에 따라 인사 행정은 조직의 성공을 기약할 수 있는 최대의 관건으로, 거의 경영의 전부라고까지 일컬어지고 있다. 3. 인사행정은 조직의 구성원의 채용(採用)에서 퇴직에 이르기까지 조직에 있어서의 모든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인 만큼 인사행정이 포함하는 영역은 넓고 다양하다. 4. 그것은 조직구성원의 신분과 자격, 선발과 임명, 승진과 전직(轉職), 부담과 휴가, 보수와 후생, 신분보장?징계?해고, 교육과 훈련, 근무평정?인간관계?사기(士氣) 노사관계(勞使關係) 등 광범한 영역을 포함한다. |
인적 자본 이론 人的資本理論 human capital theory
|
1. 인간이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몸속에 축적시킨 지식?기술?창의력 등은 마치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동등한 역할을 하는데, 이 때 물적 자본인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비슷하게 인간의 몸에 갖추어진 생산력이 있다는 이론 2. 교육을 통해서 축적된 생산력은 결국 노동소득과 연결된다는 측면에서 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의 투자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3. 이러한 인적자본에 대한 중요성은 성서의 기록으로부터 16~17세기의 월리암 피티(William Petty)와 아담 스미스(Adam Smith) 시대를 거치면서 미약하나마 경제 분석에 도입되기 시작하였지만, 인적자본의 개념은 슐츠(Schultz)가 교육경제학이라는 학문과 연관시키면서 경제 분석에 본격적으로 도입 사용되기 시작한 1950년대 말부터 비로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4. 인적자본에 대한 이론들의 초기의 설명은 교육과 훈련이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그들에게 유용한 지식과 기술을 나누어 줌으로써 그들의 평생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었다. 5. 그 시기에 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경제학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노동시장의 분석, 임금결정, 그리고 다른 경제학 분야(예를 들면, 경제 성장분석, 건강지출비용분석, 이주(移住)인구 연구 등)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6. 인적자본과 교육투자의 개념은 주로 슐츠와 베커(Schultz & Becker)의 노력에 의하여 교육에 대한 경제적 사고에 있어 견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인적 자본에 대한 생각은 인간이 소유한 기술, 지식, 태도가 자원이며, 이러한 인적자본은 사회의 전체 가용자원 중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아이디어에 근거를 두고 있다. 7. 인적자본에의 투자를 회수율로 측정한 여러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교육에서의 회수율은 모든 나라에서 매우 높았고, 대학수준에서의 사적 회수율은 사회적 회수율을 초과하며, 교육에 대한 모든 투자회수율은 물적 자본에 대한 투자회수율보다 높고, 저개발국가에서의 교육투자회수율은 선진국에서의 회수율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 인적자본에의 투자는 현장훈련(on-the-job-training), 현장경험, 직업탐색의 과정, 이주, 연수 등의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9. 그러나 교육은 인적자본형성의 과정이며, 국민소득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인적자본론에 대한 일부의 비판도 있다. 즉 교육은 노동자들의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들의 생산능력을 만들어 내는 타고난 고도의 능력과 개인 특성을 가진 각 개인들을 걸러내는 선발장치(screen device)로 활동할 뿐이라는 비판이 있다. |
인지구조 認知構造 cognitive structure
|
1. 지각하는 현상을 믿음?태도 및 기대의 통합적이며 위계적인 형태로 조직한 것 2. S-R 이론이 학습을 시행착오의 반복을 통하여 고정되는 습관이라고 간주하는 데 반대하여 형태심리학에서는 학습을 통찰(洞察)에 의한 인지구조의 변화라고 주장했다. 3. 이때의 인지구조는 부분들의 단순한 산술적 총합이 아니라 조직된 전체라는 뜻을 갖게 된다. 4. 형태심리학은 지각(知覺)을 먼저 원자적인 감각으로 분석하고 다시금 종합하려고 했던 연합주의적(聯合主義的) 심리학에 반대하여 지각은 처음부터 조직된 전체로 주어진다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학습 역시 이러한 전체적인 인지구조의 변화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
인지심리학 認知心理學 cognitive psychology
|
1. 톨맨(E. C. Tolman)의 기호학습 이론에서 출발하여 1960년대에 그 세력이 확대된 미국의 심리학의 한 분파. 2. 인간의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기계적인 연결에 의하여 설명하려고 하는 S-R 이론에 반대하여 인지활동을 강조한다. 3. 주로 전자계산기의 정보처리를 모형으로 택하여 주의(注意)?기억?사고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인지양식 認知樣式 cognitive style
|
1. 지각?기억?판단의 일반적 구조를 조직하는 양식 2. 특수한 과제나 문제해결에서 이에 접근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3. 가드너(R. W. Gardner)는 수평화-첨예화(leveling-sharpening) 차원 등으로 인지양식을 구분하고 위트킨(H. A. Witkin) 등은 장의존성-장독립성(field dependence-field independence) 등으로 구분하여 이들과 과제수행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
인지전략 認知戰略 cognitive strategies
|
1. 학습자 자신이 주의 집중하기, 학습하기, 기억하기, 사고하기 등의 내재적 정보처리과정을 조절함으로써 획득하게 되는 기능 2. 인지전략은 학습자 자신의 내재적 정보처리 과정을 통제하는 기능을 말하며 학습과 사고를 자율적으로 지배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환경 지향적인 지적 기능과는 구별된다. 3. 인간은 자신의 방식대로 기억하거나 사고하는 기능을 학습한다. 예를 들면, 어떤 학생은 교과서에 담긴 여러 가지 내용에 대하여 읽어가는 방법을 나름대로 터득하게 된다. 분명하게 서로 관련이 없는 많은 명칭들을 학습하게 될 때, 학습자는 우선적으로 명칭들 간의 「관계」나 혹은 이미 잘 알고 있는 다른 명칭들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면서 새롭게 제시된 명칭들을 학습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학습자는 관찰한 장면의 세부적인 사항을 포착하거나 또는 그가 들었던 강의의 요점을 기억해 낼 수 있는 「독특한 기능」을 획득하게 된다. 4. 학습자는 사고의 기법, 문제의 분석방법, 문제해결의 접근 방법 등을 학습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들을 「인지전략」이라고 말한다. 5. 학자들의 견해 ⑴ 브루너(J. Bruner) : 인지전략이란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사용하는 정보처리과정들을 관련짓는 것이다. ⑵ 로쓰코프(E. Z. Rothkopf) : 의미정교화 활동(mathemagenic activities)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⑶ 스키너(B. F. Skinner) : 자기경영 행동(self-management behavior)이다. 6. 인지전략은 언어나 수와 같은 외재적 학습내용의 특수한 종류에 관심을 두고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내용과는 대체로 독립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학습에 적용되는 것이다. 7. 만약에 학습자의 주의집중전략(인지전략의 한 가지 유형임)이 개선된다면, 이러한 전략은 특정의 교과내용과는 관계없이, 모든 교과내용의 학습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억하는 방략, 기억한 것의 탐색방략, 회상방략, 사고방략 등의 인지전략은 교과내용에 구애됨이 없이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8. 인지전략의 학습을 위한 내재적 조건으로는 학습자가 이미 학습한 바가 있거나 또는 활용을 위해서 회상가능한 유용한 범주들을 풍부하게 지니고 있어야만 된다는 것이다. 인지전략의 학습을 위한 외재적 조건으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으며, 다만 최적의 외재적 사태들을 구안해 내는 실제적 수단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새로운 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인지전략들의 활용을 연습해 보도록 고무시켜 주게 된다는 것이다. |
인카운터 집단 ―集團 encounter group, basic encounter group
|
1. 집단상담의 일종 2. 특징 ⑴ 친숙하고 의견과 감정 등을 서로 나누어 가짐으로써 자기 자신의 내적 성장을 도모한다. ⑵ 집단의 역동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개인의 성장에 관심을 둔다. |
일반교육 一般敎育 general education
|
1. 모든 사람에게 공통되는 경험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 2. 모든 사람이 당면하는 개인적 및 사회적인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데서 보람을 거두는 교육을 말한다. 3. 전문하는 분야가 무엇이건간에 교육받은 사람에 공통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
일반체제이론 一般體制理論 general systems theory
|
1. 여러 학문의 개념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려고(embody) 시도하는 이론 2. 경제학?심리학?화학?물리학 등의 학문은 그들 각각의 학문에서의 현상을 이해하려는 데 강조를 둔다. 3. 실세계(實世界)에서의 일반적인 관계를 기술하는 이론적인 구조를 개발하기 위한 모형 작성의 개념적 수준을 동원한다. 4. 특징 ⑴ 일반적인 접근, 즉 경험 세계 또는 실제세계의 현상 간의 일반적인 관계를 기술 분석하는 점 ⑵ 다른 학문간의 영역(interdisciplinary)에 강조를 두어 사이버네틱스?조직이론?경영과학 등을 동원한다는 점 ⑶ 처방적(prescriptive) 발달단계라고 하기보다는 기술적(descriptive) 단계라는 점 5. 이러한 일반체제이론의 출현은 경영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보겠는데 그것은 사회학?심리학?경제학?정치학?인류학 등을 포괄하는 서로 다른 전문분야 간의 학문이기 때문이다. |
일원론 一元論 monism
|
1. 일반적으로 어떤 사물이나 세계를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려는 입장 2. 형이상학적 일원론은 세계의 부분이나 전체를 하나의 궁극적인 실체로 설명하려는 입장 3. 인식론적 일원론은 인식의 대상 그 자체와 인식의 과정에서 얻어진 표상(表象, idea)이 하나일 수 있다는 주장 4. 심신일원론은, 정신과 신체는 궁극적으로 하나로 설명 혹은 환원될 수 있다는 주장 |
일화기록법 逸話記錄法 anecdotal records
|
1. 한 개인의 행동에 관해 제 3자의 입장에서 관찰?기록하는 것 2. 한 학생의 특정한 행동을 그 행동이 있을 때마다 이를 상세히 종단적으로 관찰?기록하는 것 3. 이 방법은 주로 학생의 정의적 학습과 사회적 적응의 평가에 사용되나 일반 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도 이용 될 수 있다. 4. 이 방법은 특정한 학생의 문제행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하나의 문제행동을 해결하는 데는 그것이 어떠한 발달과 변화과정을 거쳐왔는가에 관한 과거의 지식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5. 특징 ⑴ 어떤 행동이 언제, 어떤 조건하에서 발생되었는가의 사실적 기술이 있어야 한다. ⑵ 이러한 행동에 대한 해석과 처리방안이 각각 따로 분리되어 기록 제시되어야 한다. ⑶ 하나의 일화기록은 하나의 사건의 기록이 되어야 하며 여러 시기의 사건을 총괄하여 종합적으로 기록해서는 안된다. ⑷ 하나의 기록된 사건은 그 학생의 발달과 성장을 이해하는 데 의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6. 이 방법은 다른 관찰방법보다 일반적으로 비공식적이며, 그 체계성이 적다. 7. 또한 시기에 따른 체계적인 시간표집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사건이 생길 때마다 기록되므로 다른 관찰방법보다 덜 신뢰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