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존중 自我尊重 self-respect
|
1. 자신의 품위를 스스로 높이고 긍지를 가지며 자신감을 갖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아개념 2.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행동 결과로 성공감이나 성취감을 경험하거나 동료?교사?부모들로부터 인정 또는 칭찬을 받아봄으로써 형성된다. 3. 자신이 꾸준히 추진하는 일에 만족감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부단히 계발시킬 수 있을 때 자신감과 자아존중감은 더욱 육성될 수 있다. 4. 자아존중감은 건전한 대인 관계 면에서나 사회생활 영위면, 그리고 자아실현 면에서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요소이다. |
자연주의 自然主義 [영] naturalism [독] Naturalismus [프] naturalisme
|
1. 존재하거나 발생하는 모든 현상이나 사물은 경험에 입각하여 탐구되고 설명될 수 있다는 철학적 입장 2. 경험에 의하여 확인되지 않는 현상이나 사물은 원칙상 없다는 점에서 일원론적 입장이다. 그런 초월적인 것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아직 경험적으로 설명되지 않았을 뿐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에서 존재론이라기 보다는 방법론적 성격이 강하다. ⑴ 교육원리는 자연의 법칙에서 도출된다는 관점 : 17세기 유럽의 베이컨(F. Bacon, 1561-1626), 라트케(W. Ratke, 1571-1635), 코메니우스(J. A. Comenius, 1592-1670) 등 감각적 실학주의자들이 취한 관점으로 교육원리와 자연법칙을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었다는 점 때문에 오늘날에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교육원리를 이론적으로 체계화시키려고 한 최초의 사상가들이다. ⑵ 교육은 인간의 선한 본성이 자연스럽게 발현되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는 관점 : 18세기 루소(J. J. Rousseau, 1712-1778)가 《에밀》에서 제시한 관점으로 20세기 니일(A. S. Neill, 1883-1973)의 써머힐에까지 내려오고 있다. 이 관점은 인간의 선한 본성을 신봉하며 인위적인 제약을 극단적으로 부정하고 어린이의 자발성에 따라 자유방임적으로 행하는 교육을 중시하는데, 보통 자연주의적 교육이라고 하면 이 관점을 말한다. ⑶ 교육은 인간발달의 일반적 원리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 : 19세기의 교육사상가인 페스탈로찌(J. H. Pestalozzi, 1746-1827), 프뢰벨(F. W. A. Frobel, 1782-1852)과 20세기 스탠리 홀(G. Stanley Hall, 1884-1924), 손다이크(E. L. Thorndike, 1874-1949) 등이 취하는 관점으로 심리학적 발달주의라고도 한다. 이 관점은 둘째 관점이 갖는 극단적인 인위성 배제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인간발달의 보편적 원리에 따른 어린이 지도와 안내를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관점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교육에서의 자연주의는 어린이의 발달에 대한 과학적 탐구를 강조하고 어린이를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당위적인 교육원리와 사실적인 발달원리가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남겨 놓고 있다. |
자유 自由 [영] freedom [프] liberte
|
1. 소극적으로 외적인 강제 혹은 구속을 받지 않는 상태, 적극적으로는 자기의 의지에 따른 선택?결정이 가능한 상태 2. 칸트(I. Kant)는 이성(理性)이 자신의 법칙(法則)에 따르는 것을 자유라고 하였다. 3. 따라서 이성 이외의 법칙에 의해서 규제되는 것은 부자유 혹은 속박에 해당한다. 그 부자유의 원인이 인간의 외부에 존재하여 행동을 구속할 때 그것을 「행동의 부자유」라고 한다면, 정신적 질병과 같이 구속의 원인이 내부에 있을 때 그것은 「의지의 부자유」를 의미하는 것이므로 그러한 구속이 없는 상태를「의지의 자유」라고 한다. 4. 그러나 인간의 자유는 엄격히 말해서 행동의 자유와 의지의 자유로 구별되기 어렵다. 행동의 부자유는 단지 물리적 구속이 아니라, 의지에 의한 선택?결정을 따르는 행동이 외적 속박이나 제재를 받을 때에 언급되는 말이다. 5. 자유는, 선택과 결정의 주체인 인간의 의지에 따르는 행동이 외적 속박이나 타아(他我)의 의지에 의해서 제약받지 않고 행하여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6. 그러나 선택 혹은 결정의 의지는 자연적 충동에 의한 것과는 구별된다. 그것은 오히려 목적 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자기구속 혹은 자기통제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
자유교육 自由敎育 liberal education
|
1. 인간 본연의 자유를 추구하는 교육 2. 「자유교양교육」(自由敎養敎育), 「교양교육」, 「인문교육」(人文敎育)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고대 희랍시대 이후 서양 교육의 전통 속에 들어 있는 교육의 이상(理想)을 나타낸다. 자유교육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가(餘暇)를 뜻하는 희랍어 schole가 라틴어 schola, 영어의 school로 번역되면서, 고대 희랍의 「여가를 위한 교육」이 「자유교육」으로 이어졌다는 입장 3.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유인의 교육을 논하면서 사용한 「자유로운」이라는 뜻의 희랍어 eleutheoris가 라틴어 liberalis, 영어의 liberal로 번역되었다는 입장 4. 중세의「7자유교과」(seven liberal arts)에서 그 기원을 찾되 희랍시대의 교육적 이상을 표현하는 enkuklios paideia(전체의, 또는 전인의 교육)와 자유교과의 교육 사이에 연속성이 있다고 보는 입장 등이 있다. 5. 자유교육의 기원을 어느 것으로 보든, 그것의 이상은 좁은 범위의 직업적 활동에서 벗어나 인간 본연의 자유를 향유하고 이성(理性)을 계발하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6. 고대의 자유교육이 교육 그 자체의 이상을 의미한 것임에 비하여, 중세의 자유교육은 「자유교과」를 가르치는 교육으로 그 의미가 한정되었으며, 대학(大學)이 성립되면서 그것은 전문 지식을 습득하기 전에 거쳐야 할 예비교육(豫備敎育)으로 간주되었다. 7. 르네상스시대의 인문주의 교육은 「인문교과」(studia humanitas)라는 이름으로 고대 교육의 이상을 부활하고자 하였으며, 희랍과 로마의 고전(古典)을 교육내용으로 삼았다. 17세기 이후 근대적 의미의 자연과학의 발달, 18세기 이후의 정치적 혁명과 산업의 혁명이 초래한 정치, 경제적 기반의 변화는 자유교육의 내용이 인문학 중심에서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으로 확대되고 자유교육의 대상 또한 소수의 특권 계층이 아닌 일반 국민으로 확대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8. 오늘날 자유교육은 직업 교육 또는 전문 교육에 대비되는 일반교양을 위한 교육을 가리키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것은 특정한 교육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용어라기보다는 교육이 추구해야 할 이상 또는 원리(原理)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 9. 자유교육의 개념을 「지식의 형식으로의 입문」 또는 「합리적 마음의 개발」에 의하여 규정하는 허스트(P. H. Hirst)의 견해는 이런 방면의 노력을 예시한다. ? 교양교육 |
자유방임주의 自由放任主義 laissez-faire
|
?자연주의 1. 교육사상의 하나로서, 인간이 타고난 자연성을 자유롭게 무제한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교육의 목적이라고 주장하는 교육관 2. 이 교육사상은 자연적 성장에 어떤 인위적 통제가 가해지는 것을 배격하며, 오히려 자연적 성장을 방해하는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것이 교육원리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한다. 루소(J. J.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관이 이를 대표한다. 3. 경제사상의 하나로서 인간의 이기심과 자연적 욕구를 바탕으로 개인의 경제적 활동을 자유롭게 하고자 하는 입장 4. 재화의 생산과 분배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을 특색으로 하며, 중상주의(重商主義, mercantilism)에 대한 반동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담 스미스(A. Smith) 등의 고전 경제학자에 의해서 이론적 체계가 형성되었다. |
자유연상 自由聯想 free association
|
1. 생각이나 기억이 아무 목적이나 의도 없이 자연스럽게 표현되는 것 2. 꿈?백일몽?공상 등, 정신치료나 정신분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며, 자유스러운 연상에서 표현되는 내용이나 감정 등을 통해서 무의식적으로 지니고 있는 동기나 욕망을 가려낼 수 있다. |
자유의지 自由意志 free will
|
1. 자유로운 선택을 행사하는 행동에 작용하는 의지 2. 자유의지는 대체로 다음의 의미에서 성립된다. 즉, 행위자의 성격?동기?상황 등의 심리적 -물리적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을 때의 자유를 의미하는 비결정성(indeterminancy), 행위의 선택가능성이 있을 때의 선택능력을 의미하는 선택의 자유, 자신의 내적 동기나 이상(理想)에 따라 외적 구속 없이 행사할 수 있는 자유를 의미하는 자기결정 등이다. ? 자유, 자유론 |
자유주의 自由主義 liberalism
|
1. 개체 인간이 지니는 개성의 가치를 존중하는 사회사상 혹은 그러한 이념적 노선을 표방해 온 사회적 제도의 유형 2. 「자유주의자」(liberals)라는 말은 19세기의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말이나 애초에는 스페인의 정가에서 그 전에 이미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그러나 「자유주의」라고 일컬을 수 있는 사회의 제도적, 사상적 운동이나 세력은 중세기적 사회상의 퇴조와 함께 시작되었다. ⑴ 좁은 의미로는 주로 정치사상적 용어로 사용되어 왔고, 또한 근대적 정치 제도의 민주화에서 지향하는 이상의 한 표현이기도 하였다. ⑵ 넓은 의미로는 정치적 부문에서만이 아니라 철학, 문학, 종교, 교육, 경제 등의 사회적-문화적 부문에서 추구되는 이상을 가리키는 말로 이해되기도 한다. 4. 그 이상은 소극적으로 표현해서 개인은 집단에의 완전한 종속상태에서 해방되어야 하고, 관습과 법률과 권위와 맹목적 구속에서 자유로와야 한다는 것이다. 5. 적극적으로 표현해서 인간은 누구든지 각자의 개성을 자유롭게 추구할 수 있고, 창조할 수 있고, 소유할 수 있고, 또한 표현할 수 있는 사회 속에서 삶을 영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6. 자유주의의 개념은 다소 사상적-실천적 체제의 양면을 암시하기는 하지만, 그것이 뜻하는 바가 철학적 학설이라고 하기에는 이론적 짜임새를 충분히 가지고 있지 못하며, 어떤 특정의 정치적 노선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포괄적인 사상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자유주의는 그 자체의 보편주의적, 그리고 다원주의적 특성에 비추어 생각할 때 일종의 이데올로기라고 하기도 어렵다. 7. 그러나 그것은 인간의 사회적 삶의 원리로서 이해되어왔고 여러 부문의 제도적 개혁과 운영의 기준으로 그 기능을 해 왔다. 8. 초기의 자유주의자들은 사회의 관습과 제도에 의해서 행사되는 임의적 권위의 억압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할 것을 주장하는, 다소 소극적인 의미의 자유를 추구하는 데에 노력을 바치고 있었다. 9. 전통적인 제도적 권위보다는 양심과 이성의 권위를 앞세우고, 계시를 통하여 얻어진 진리의 보장보다는 실증적 근거에 의한 진리의 주장을 지지하고, 초현실적 힘에 의존한 통치의 정당화보다는 법규범과 시장논리에 의한 사회와 정치의 제도적 통제를 바람직하다고 생각하였다. 그들은 대개 개인주의 혹은 다원주의의 신봉자들이었다. 10. 그러나 자유주의자들은 점차로 그들의 주장과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면서, 자유의 균등한 배분, 독점제도의 폐기, 귀족적 특권의 철폐, 보편성과 합리성의 원리에 기초한 입법, 제반 사회적 기회의 균등과 확대를 주장하였다. 11. 그들의 성향은 경제와 사회의 진보, 과학과 기술의 발전, 실용주의적 시도 등을 선호하는 「진보주의」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었다. ? 新自由主義 |
자율성 自律性 autonomy
|
1. 외부의 어떤 권위나 제재의 개입 없이 자기 결정에 의해서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것 2. 칸트(I. Kant)는, 의지의 자율성은 의지 그 자체의 법칙을 의미하는 「정언적 명령」(定言的命令, categorical imperative)에 따르는 것이며, 이성적 의지 밖에 있는 권위나 목적에 따르는 것을 타율성(heteronomy)이라고 하였다. 3. 말하자면, 자신의 행위를 지배하는 원리?규범?규칙을 자신이 선택?결정하여 그것을 실행하는 자유가 곧 자율성이다. |
자율학습 自律學習
|
1. 전통적인 교수활동에서와 같이 교사의 사전(事前) 계획에 따라 교사가 학습을 통제하는 진행과정에서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습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필요를 느끼고 학습문제를 발견하며 계획을 세워서 실행하는 학습 타율적인 학습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자주적 학습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2. 수동적 학습에 대한 능동적인 학습, 소극적 학습에 대한 적극적 학습의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3. 이러한 가운데 학습자 자신의 자발성과 자율성, 그에 바탕한 창의성 등이 강조된다. 그러므로 누가 시켜서 이루어지는 학습이 아니라 스스로 자진해서 계획하고 실행한다. 4. 청소년들이 생활주변에서 야기되는 생활상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문제해결의 학습, 학생 자신이 구안(具案)하는 학습 등은 모두 자율학습이라 할 수 있다. |
작동적 조건형성 수업모형 作動的條件形成授業模型 operant conditioning(instructional) model
|
1. 스키너(B. F Skinner)의 작동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원리에 의해 학습(수업)현상을 설명하는 수업모형 2. 학생이 보이는 학습행동에 대해 강화(强化)나 보상(補償)을 제공하면 학생의 학습행동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된다는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성립되는 수업모형이다. 3. 작동적이라 함은 학생으로부터 능동적(能動的) 행동이 일어나야만 강화가 주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행동이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즉각적 강화, 간헐적(間歇的) 강화, 예기치 않게 강화를 제공하는 등 적절한 강화계획의 구성이 중요한 조건이 된다. 동시에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학습재료를 프로그램 수업의 형태로 쉽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를 자극하는 것도 한 조건이 된다. 4. 이 모형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혹은 능력수준이나 학습동기(學習動機) 수준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작동적 표현양식 作動的表現樣式 enactive representation
|
?표현양식 |
작동조건형성 作動條件形成 operant conditioning
|
1. 작동행동이 일어날 때, 또는 작동행동이 일어나는 바로 그 경우에만 강화자극을 제공하여 작동행동을 증강 또는 감소시키는 것 2. 여기서 작동행동은 자극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자극이 주어질 수 있도록 자극의 제공을 유발하는 행동을 가리킨다. ? 수동조건형성, 조건형성 |
잠복기 潛伏期 latency, latent stage
|
1. 정신분석 이론에서 6세에서 12세 사이의 발달단계 2. 이 시기에는 본능이 행동의 동기 유발에서 극히 미미한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고 한다. |
잠재의식 潛在意識 subconscious
|
1. 어떤 경험을 의식적으로 한 후, 그 경험과 관련된 사물?사건?사람?동기 등과 같은 것이 일시적으로 기억?감지(感知)되지 못하고 있으나 그것이 필요하면 다시 기억 재생(記憶再生)할 수 있는 상태 2. 흔히 전의식(前意識, preconscious)이라고도 하며 무의식과 의식의 중간과정으로 간주한다. ? 무의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