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교육 帝王敎育
|
1. 중국 고대 선진(先秦) 시대에 제왕, 또는 천하의 지배자가 될 유덕한 사람을 기르기 위해 베풀던 교육 2. 중국의 주대(周代)의 학제를 보면 그 교육대상이 순전히 왕실 일가의 태자?세자에 국한하고, 장래 천하의 지배자가 될 준덕(俊德)을 밝혀 영구히 천명(天命)을 받드는 데에 그 주안점을 두었었다. 3. 따라서 이 시대의 교육이 국가통일의 구현자인 제왕을 위한 것이 됨으로써 이 시기의 신민(臣民)을 위한 교육도 실은 제왕을 위한 교육의 한 조건에 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
제자백가 諸子百家
|
1. 중국의 춘추 전국시대에 배출한 맹자(孟子)?묵자(墨子)?한비자(韓非子)?노자(老子) 장자(莊子) 등 여러 사상가와 그들로 연유한 중국 철학사상(哲學史上) 제종(諸宗)의 학파를 총괄하는 명칭 2.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서는 음양(陰陽)?유(儒)?묵(墨) 명(名) 법(法)?도(道)의 육가(六家)로 분류하고, 반고(班固)는 한서(漢書)의 예문지(藝文志)에서 유?도?음양?법?명?묵?종횡(縱橫)?잡(雜)?농(農)?소설가(小說家)의 십가(十家)로 분류하였다. 3. 이 제자백가의 학문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원은 확실치 않으나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에서 788(원성왕 4)년 태학(太學)에 특히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란 과거 비슷한 제도를 설치하고 성적을 3등으로 고사하여 인재를 등용하였는데, 만일 오경(五經)-삼사(三史)?제자백가의 저서에 널리 통한자가 있으면 순서를 뛰어 등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써 보면 제자백가의 서(書)가 788년 당시의 신라에서도 상당히 널리 읽혀졌음을 알 수 있다 |
제트 이론 ―理論 theory Z
|
1. 우치(W. G. Ouchi)가 미국과 일본의 기업을 비교 연구하여 규명한 경영 방식 2. 맥그리거(McGregor)는 경영자들이 인간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기본 가정의 차이에 근거해서 경영의 방식을 「X이론」경영과 「Y이론」경영으로 분류하였다. 이것을 참고로 해서 우치는 일본 기업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미국 기업조직을 Z형 조직이라 명명했다. 결국 Z이론은 Z형 조직에서의 경영 방식을 말한다. 3. 우치가 규명한 미국의 기업과 일본의 기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⑴ 일본의 기업은 조직원의 종신 고용을 관행으로 하는데, 미국의 기업은 단기간의 고용이 일반적이다. 일본의 기업에서는 조직원에 대한 평가를 상당한 시간을 근무한 후에 실시하고 승진 역시 느리게 시키는데, 미국 기업에서는 평가를 조기에 할 뿐만 아니라, 승진의 속도도 빠르다. ⑵ 일본 기업에서는 조직원들의 경력이 전문화가 덜 되어 있는데 비해, 미국 기업에서는 이들의 경력이 전문화 되어 있다. ⑶ 조직원에 대한 통제 방법에 있어서 일본 기업은 간접적인데, 미국의 기업은 가시적인 결과에 의한 통제 방법을 사용한다. ⑷ 일본 기업에서는 의사 결정이 집단적 참여적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에 대한 책임도 집단적으로 지는데, 미국 기업에서는 의사 결정이 개인적으로 이루어지고 책임도 개인이 진다. ⑸ 일본 기업은 조직원들의 복지에 광범위한 관심을 보이는데, 미국 기업은 제한적인 관심밖에 보이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⑹ 일본 기업과 같은 특징이 있는 조직은 J형 조직 그리고 미국 기업과 같은 특징을 가진 조직은 A형 조직으로 불리운다. 4. Z형 조직은 조직원의 장기간의 고용, 승진 속도의 완만함, 참여적 의사결정, 집단적 결정에 대한 개인적 책임 부담, 조직원의 복지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강조되고 함양되는 가치들은 각각 조직에 대한 헌신, 경력의 존중, 협동과 팀웍, 조직원 상호간의 신뢰와 집단 충성심, 그리고 평등주의이다. 미국과 일본의 기업간의 경영 방식의 차이는 미국과 일본의 가치와 문화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5. 결국 Z이론에서는 조직 문화와 철학이 핵심적인 요인이 된다. Z이론에서의 문화는 노동자의 삶을 총체적인 것으로 가정한다. 조직원들이 신뢰, 친밀, 섬세함, 팀웍, 지원, 평등주의 등과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문화이다. 미국의 경영자들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테크놀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런데 Z이론은 이러한 미국 경영자들의 관심의 방향을 테크놀로지로부터 기업 속에서의 인간 관계 그리고 이것에 영향을 주는 기업 문화로 바꾸는 데 영향을 주었다. |
조건반응 條件反應 conditioned response
|
고전적 조건화에서 조건자극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도록 학습 또는 습득된 반응 |
조건자극 條件刺戟 conditioned stimulus
|
1. 고전적 조건화에서 중립적 자극이 무조건적 자극과 연합하여 조건반응을 유발할 수 있게 될 때 그 중립적 자극을 가리키는 말. 2. 무조건적 자극이 생득적(生得的)으로 무조건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임에 반해 조건자극은 후천적으로 조건화에 의해서 어떤 반응을 유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조건진술 條件陳述 conditional statement
|
1. "만약 ~이면 ~이다"의 형태로 진술된 문장 2. 이 문장이 진위(眞僞)로 판별될 성질의 것일 때, 「조건명제」(條件命題, conditional proposition) 혹은 가언적 명제(假言的命題, hypothetical proposition)라고 한다. ? 가언적 명제 |
조건형성 條件形成 conditioning
|
1. 개념적 또는 물리적 수준에서, 행동을 통제하고 행동 변화의 자료들을 기술하는 하나의 방법 2. 조건형성은 고전적 조건형성과 도구적 조건 형성으로 대별된다. 3. 고전적 조건형성은 두 자극을 밀접한 시간간격을 두고 제시하는 실험절차이다. 두 자극 중 첫째는 반사적 성질을 띠고 있어 이미 어떤 반응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그 반응과 관계가 없는 자극이다. 이 두 자극을 여러 번 반복 짝지어 제시하면, 둘째 자극은 첫째 자극이 일으키는 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을 획득하게 된다. 5. 이러한 절차에서 첫째 자극을 무조건 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S)이라고 하고, 둘째 자극을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 CS)라고 한다. 그리고 원래의 반응을 무조건 반사 또는 반응이라고 하며, 새로 획득된 반응을 조건반사 또는 반응이라고 한다. 이러한 절차를 파블로프식 조건형성, S-형 조건형성, 또는 수동 조건형성이라고도 한다. 6. 도구적 조건형성은 어떤 자극이 어떤 반응을 유발함으로써 강화자극을 초래했을 때, 또는 혐오자극을 방지했을 때 그 자극이 그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는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을 실험하는 절차를 말한다. 7. 강화자극을 유발하거나 혐오자극을 방지하는 반응을 조건반응이라고 하며, 조건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조건자극이라고 한다. 조건반응에 의하여 유발된 자극을 무조건 자극 또는 강화라고 한다. |
조교제도 助敎制度 monitorial system
|
1. 대집단을 가르치기 위해서 고안된 교수방법의 하나 2. 주로 한 교실에 다수의 학생을 한 교사가 책임을 맡고, 고급학년의 학생이나 참가자를 먼저 교육하여 그들로 하여금 분단을 맡아 가르치게 한다. 각 조교들은 10 명 정도의 학생을 책임 맡으며 학생들의 집단은 대체로 학습의 성취능력에 따라 조직된다. 이 제도는 19세기에 영국의 교육학자 랭카스터(J. Lancester)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
조선교육령 朝鮮敎育令
|
1. 일제시대 조선의 교육에 관한 제반 사항을 규정한 법령 2. 전후 4차에 걸쳐 시행되었다.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조선인의 교육기회를 제한하고, 일본에 충성하는 인간을 기르는 목적은 계속되었다. 3. 제 1차 조선교육령 : 1911년 8월 22일에 반포되어, 「충량한 국민」의 육성이라는 목적을 제시하고, 조선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저급한 수준의 보통 교육, 실업교육 및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제 2차 조선교육령 : 이에 대해 조선인들이 차별교육 및 교육기회의 제한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자 1922년 2월 4일 제 2차 조선교육령이 반포되었다. 이 조선교육령에는 이전과 달리 조선에 체류하는 일본인들에 대한 규정도 포함시켰으나, 여전히 일본인과 조선인에 대한 차별은 시정되지 않았고, 또 대학에 관한 조항을 신설하였지만 이것은 조선인의 고등교육에 대한 요구를 무마하기위한 것이었다. 3. 제3차 조선교육령 : 제 3차 조선교육령은 일본의 파시즘체제가 강화되면서 충성스러운「황국신민」을 키우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때부터 조선인과 일본인에 대한 차별규정은 사라졌지만, 내용상으로는 조선어 및 조선역사 등을 전면적으로 금지하여 일본에 충성하는 사람을 기른다는 성격은 보다 강화되었다. 4. 제4차 조선교육령 : 1943년 4월 1일에는 제 2차 세계대전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제 4차 조선교육령을 발표하여, 교육기관이 군사훈련소화 하는 등 교육의 기능은 실제적으로 마비되었다. |
조의선인 ?衣仙人
|
1. 고구려 때의 벼슬 2. 12등급의 하나로 국정을 맡아보았다. 3. 상고시대부터 있어온 무사(武士)를, 신라에서는 아름다운 용모를 중시하여 화랑(花郞)이라 하고 고구려에서는 조의, 즉 검은 비단옷을 입고 있었으므로 조의선인이라 했다. 이들은 평상시에는 도로와 하천 및 성곽의 개수 등 공공사업에 힘쓰고, 전시(戰時)에는 양식을 가지고 스스로 집단적으로 전투에 자진 참여했다. |
조작적 정의 操作的定義 operational definition
|
1. 어떤 술어를 정의하고자 할 때, 그 술어가 포함되는 명제의 진위(眞僞)를 판별할 수 있는 조건을 지시하여 정의하는 것. 2. 조작적 정의는 성향(性向, disposition)을 나타내는 말에 적용된다. 예컨대, 소금의「용해성」(溶解性)이라는 말을 정의하고자할 때, 그 말이 적용되는 "소금은 용해성을 가진다"라는 문장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서 조작이 가해진다면, 그것은 소금을 물 속에 넣는 일이다. 소금의 「용해성」이라는 말은 "소금을 물 속에 넣으면, 그것은 녹는다"는 뜻이다. 3. 조작적 정의는 “-한 조건하에서” 식으로 조작의 사태를 제시하고 “~한다"는 식으로 관찰 가능한 사실을 표현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성향개념은 조작방식에 따라서 여러 개의 조작적 정의를 갖는다. ? 조작주의 |
조작주의 操作主義 operationalism
|
1. 과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그것이 획득된 구체적 과정?대상 혹은 사상(事象)의 조작을 통하여 비로소 객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주장 2. 본래 물리학자인 브리지만(P. W. Bridgman)이 1927년에 《현대 물리학의 논리》(The Logic of Modern Physics)에서 처음으로 「조작적 정의」라는 말을 사용한 데서 비롯된다. 3. 과학적 지식은 공적(公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반복 가능한 조작에 의해서 객관화되며, 술어 또는 명제는 그것이 표현하는 구체적 사태의 조작에 의해서 의미를 밝힐 수 있다는 것이다. 4. 조작주의는 종래 철학적-사변적 심리학의 내성적(內省的) 방법에 의한 의식(意識)의 연구에서 탈피한 행동주의(行動主義) 심리학의 기본적 전제가 되고 있다. |
조절 調節 accomodation
|
1. 사회적 과정(social process)에서 개인이나 집단이 서로 갈등적 또는 적대적 상황을 해결하지 않은 채 함께 생활하거나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상호간의 긴장과 갈등을 줄이려는 노력 ※ 조절은 실제적으로는 적대감정이나 서로 이질적인 요인을 갖고 있으면서도 함께 일을 하고 생활하는 것이므로 갈등완화(conflict-reducing) 기술의 하나이기도 하다. 조절의 예로서 부부가 싸움을 하면서도 별거나 이혼을 하지 않고 함께 생활하거나, 전쟁 당사자가 휴전을 하는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조절이 조화로운 상태로 발전하게 되면 양자의 관계는 통합되고 융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사회생활 과정에서 협동을 무엇보다도 강조하게 되지만 이질적인 개인이나 집단의 협동관계는 처음부터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절단계를 거쳐야만 하는 것이다. 2. 환경에서 오는 도전을 받음으로써 유기체가 지적인 구조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 ※ 피아제(J. Piage)의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생물학에서 빌려온 것이다. 유기체(有機體)가 환경의 변화에서 살아남으려면 유기체 자신이 구조적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보호색(保護色)이 그 예인데, 같은 기능이 인간에게도 있다. 예를 들어 빠는 행동은 처음에 무엇이든지 빤다. 그러나 어떤 것은 우유를 주고 어떤 것은 우유를 주지 않으므로 신생아는 무조건 아무것이나 빨아서는 안된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즉, 빨 것과 안 빨 것을 구별하는 지적인 망(網)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어떤 문제가 기존의 지식을 적용하여 해결이 안되면 이 기존 지식체계를 변화시키는 것 또한 조절작용이다. 피아제에 의하면 동화(同化, assimilation)와 함께 모든 지적기능에 내재하는 불변의 두 기능을 이룬다. |
조직풍토 기술 질문지 組織風土記述質問紙 organizational climate description questionnaire
|
1. 교사집단의 특징과 교장의 행동에 대해 교사들의 지각을 통해서 학교풍토(學校風土)를 기술하는 전문지 2. 핼핀(A. W. Halpin)은 학교조직 풍토 형성요인을 교사집단의 특징과 교장의 지도성 행동차원으로 구분하고 있다. 3. 교사집단의 특징 요인은 자유방임?장애(障碍)?사기(士氣)?친밀성 등의 요인이 하위개념으로 되어 있고, 교장의 행동특성 요인은 초월성?생산성?추진성?사려성 등의 요인이 그 하위개념으로 되어있다. 이상 8개 요인별로 한 척도에 따라 8개의 문항이 있다. 그들은 개방쪽에 있는 학교풍토는 민주적이고 발전적이라고 보고, 폐쇄쪽에 있는 풍토를 기능적으로 고착된 전제적(專制的) 풍토라고 해석하고 있다. 4. 그들은 점수에 따라 학교조직 풍토를 자율적 풍토?개방적 풍토?통제적 풍토?친교적 풍토?간섭적 풍토?폐쇄적 풍토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 組織化―無秩序組織 organized anarchy
|
1. 조직의 목표, 테크놀로지 그리고 참여자 등의 요소들이 불분명하고 유동적인 상태에 있는 조직을 말함 2. 코헨, 마취 및 올센(Cohen, March and Olsen)에 의해서 개념화되었다. 이들은 특히 교육 조직에 고전적인 조직 이론의 개념들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조직화된 무질서조직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교육 조직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3. 교육 조직은 목표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분명하지도 않고 서로간에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조직 구성원들은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4. 교육 조직에서 사용되는 테크놀로지는 불확실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교육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유동적이고 이들의 참여 또한 가변적이다. 즉 학생들의 드나듬이 심하고, 교사와 행정가들이 오고 가며,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참여도 변화가 심하다. 5. 코헨, 마취와 올센은 이런 특징을 가진 조직을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이라 명명하고 전통적인 고전적 조직 이론가들이 상정하는 조직과 구별하였다.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 결정은 합리적이거나 체계적인 것이 아니라 시행착오와 우연적인 결과로 이루어진다. 목표가 불분명하고, 테크놀로지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참여자들도 유동적인 상황에서는 문제의 해결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6. 쓰레기통모델 : 이렇게 불명료한 상황 속에서 합리적이지 못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의사 결정의 모델이 코헨, 마취 그리고 올센의 이른바「쓰레기통(garbage can) 모델」이다. 이 모델은 대학에서의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에 기초하여, 조직을 관료적이고 합리적인 체제로 보는 고전적 조직 이론의 한계점을 지적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