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적 사고 直觀的思考 intuitive thinking
|
1. 엄밀한 논리적 추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문제의 해답을 생각해 내는 추리작용 2. 직관적 사고에는 여러 층이 있다. 예컨대 피아제(J. Piaget)의 지적 발달이론에서 「조작」을 할 수 없는 단계의 아동이 하는 사고도 직관적 사고요, 오랫동안 학문을 연구한 학자들이 세밀한 논증(論證) 이전에 해답을 생각해 내는 것도 직관적 사고이다. 3. 그러므로 직관적 사고는 옳을 수도 있고 그릇될 수도 있다. 그것이 옳은 것으로 입증되기 위해서는 다시 엄밀한 논리적 추리(推理)나 경험적 검증(檢證)에 의하여 확인되어야 한다. |
직업교육 [영] vocational education [독] Berufs buildung [프] enseignement professionnel
|
1. 직업생활과 관련되어 행해지는 모든 교육 2. 넓은 의미로 일반교육의 직업적 측면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개인이 일의 세계를 탐색하여 자기의 적성?흥미?능력에 알맞은 일을 선택하고, 그 일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기능?태도?이해 및 판단력과 습관 등을 개발하는 교육을 말한다. 3. 좁은 의미로는 특정 직업에 종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식, 기능을 습득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업교육, 기능교육, 직업훈련을 지칭한다. 4. 지금까지 실업교육, 기술교육, 산업교육, 실업기술교육 등의 용어가 구별 없이 사용되어 왔으나 점차 직업교육으로 통일되어 사용되고 있다. 5. 따라서, 직업교육은 직업훈련, 실업교육, 산업교육, 기술교육 등 각 직업과 관련된 수단적 측면에 대한 상위의 개념으로서 그 자체가 하나의 목적이 되며, 개인이 자율적으로 직업을 이해하고 실천 방안을 터득하게 하는 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이 옳다. 6. 우리나라에서는 직업교육을 인문교육과 구분되는 실과교육이나 사회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에게 적합한 기능교육을 시키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인문숭상의 유교적 전통은 직업교육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였으며, 그 결과 직업교육은 일반교양교육과 대비되는 특수교육으로, 계속교육과 대비되는 종국교육(terminal education)으로 이해되어 왔다. 7. 그러나 현대사회에서 직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과학기술의 발달이나 사회 변화로 인하여 노동의 성격이 변화됨으로써 새로운 관점에서의 직업교육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8. 현대적인 해석에서 보는 직업교육은 평생교육의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인간존중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며, 각 개인의 직업 생활에 공헌하는 모든 사람을 위한 교육을 뜻한다. 9.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직업교육은 크게 학교를 중심으로 하는 직업교육과 학교 밖에서 사회교육형태로 실시되는 직업교육의 2가지 종류가 있다. ⑴ 학교에서의 직업교육 : 기간학제와 방계학제로 나누어 실시되고 있으며 기간학제로는 중등학교의 실업가정교육, 전문대학의 중견직업인 양성을 위한 직업교육 등이 있으며, 방계학제로는 고등공민학교, 기술학교, 고등기술학교 등에서 행해지는 직업교육이 있다. ⑵ 학교 밖에서 행해지는 직업교육 : 직업훈련이 대표적인 형태이다. 최근에는 산업체 학교?연구소가 협동하여 교육을 수행하여야한다는 중론이 크다. 10. 한 가지 문제점이 있다면, 헌법상에서는 단선형 학제가 보장되어있지만, 현실적으로는 직업교육을 중심으로 복선형 학제가 실시되어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이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
직위 職位
|
1. 한 사람의 공무원에게 부여되는 직무와 책임 2. 이것은 어떤 일을 담당하는 사람과는 엄격히 구분된다. 3. 원칙적으로 행정조직의 구성원 수는 직위의 수와 일치한다. 즉, 직위는 한 사람에게 할당되어있는 직책의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직책단위인 것이다. 4. 직위는 어디까지나 직책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현실적으로 그 직위가 공석으로 있든, 충원되어 있든 관계없이 존재한다. 5. 직위는 가장 기본적인 직책단위라는 점에서 지위를 분류하는 경우 모집단(母集團)이 되며 이 중에서 직무와 책임의 동질성, 또는 유사성에 따라 직급(職級)?직렬(職列)?등급 등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
직위해제 職位解除
|
1. 공무원에게 그의 직위를 계속 유지시킬 수 없다고 인정되는 사유가 있는 경우에 이미 부여된 직위를 해면(解免)하는 임용행위(任用行爲)의 일종 2. 직위해제는 공무원에 대한 불이익처분의 하나이므로 일정한 사유 ① 직무수행 능력이 부족하거나 근무성적이 극히 불량한 자, 또는 근무태도가 극히 불성실한 자 ② 징계의결이 요구 중인 자 ③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자 ④ 소속 부하에 대한 지휘와 감독능력이 현저히 부족하다고 인정되는 자에 대해서만 할 수 있다. 3. 위에 네 가지 사유 중 ① 또는 ④의 사유로 직위가 해제된 자가 6개월이 경과되어도 복직되지 아니한 때에는 6개월이 경과한 날에 당연히 퇴직하게된다. 4. 그러나 직위가 해제된 사유가 소멸된 때에는 지체 없이 복직(復職)시켜야 한다. 직인 職人 journeyman 1. 중세 유럽의 체계적인 직업교육으로 도제제도(徒弟制度)가 성행했을 때의 견습공의 과정을 끝낸 도제 2. 이 제도에는 견습공(apprentice)?직인(journeyman)?장인(匠人, master)의 3단계가 있었다. 3. 직인의 과정은 견습공의 과정을 마친 도제가 장인 밑에서 어느 정도 기본적인 기술을 연마하고 난 후에, 그 기술에 뛰어난 다른 장인들이 있는 곳을 여행(journey)하면서 보다 고차적인 기법을 연마하는 과정이다. 이때는 견습공 때와는 달리 장인에게서 약간의 돈을 받는다. ? 도제제도, 길드체제 |
직전훈련 職前訓練 pre-service training
|
1. 현직교육(in-service education)과 구별되는 용어로서, 교육실습 등 교직에 아직 들어가지 않은 교사후보생들에게 과하는 사전(事前) 준비교육과 훈련 2. 넓은 의미의 직전교육은 사회화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예상된 사회화(anticipatory socialization)의 한 형태이다. 이는 장차 맡게 될 새로운 지위와 역할에 따라 관련된 규범이나 기대 등을 탐색?학습 준비하는 과정이다. |
직접교육비 直接敎育費 direct educational costs
|
1. 교육활동을 전개하는 데 직접 투입되는 비용 2. 키라스(F. G. Kiras) 등은 교육비를 교사와 사무직원 및 보조직원의 봉급, 학교가 제공하는 비품과 학용품, 학교 대지 대여료, 이자(부채, 서비스), 사용료 및 수수료, 시설?설비비 등의 직접교육비와 하숙비, 교통비, 피복비 등의 간접교육비, 그리고 교육기회경비로 분류하고 있다. 3. 그러나 콘(E. Cohn)은 공교육비와 사교육비를 모두 합한 교육비를 직접교육비라고 하고 교육기회경비를 간접교육비라고 분류하고 있다. 4. 일반적으로 직접교육비라고 할 때는 공교육비와 사교육비를 합한 교육비를 의미한다. 5. 따라서 직접교육비에는 공교육비와 자녀를 교육시킴으로써 공교육비 이외에 추가적으로 학부형이 부담하게 되는 모든 사교육비, 즉 교재대, 부교재대, 학용품비, 과외수업비, 학교 지정용품비, 단체활동비, 교통비, 하숙비(기숙사비) 등이 포함된다. ? 공교육비, 사교육비, 간접교육비, 교육비 |
직종간 이동 職種間移動 occupational mobility
|
1. 노동력이 한 직종에서 다른 직종으로 이동하는 것 2. 동일 사업체내에서의 이동이나 산업간 이동을 가리키기도 한다. 3. 자유기업주의 경제에 있어서 노동이동은 생산 활동에 신축성을 제공하고 노동시장에서 노동의 분배를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해주는 주요한 요인이 되는데, 경제활동참가(labor force participation)와 함께 노동공급의 양과 규모를 결정해 주는 요소이며, 그 종류에는 사업체간 이동?직종간 이동?산업간 이동?지역간 이동 등이 있다. |
진단적 평가 診斷的評價 diagnostic evaluation
|
1. 일련의 교육활동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그 교육활동에서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학생들의 적성(適性)과 선수학습(先修學習)에 있어서의 학습결손?경험배경?성격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그 교육활동에서의 학습 성취율을 증진시키려고 하는 평가활동 2. 이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① 어떤 교과나 단원의 학습을 위하여 선수(先修)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는 특정 출발점 행동(出發點行動)을 학생들이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 ② 어떤 교과나 단원의 수업목표군의 상당한 부분을 이미 충분히 습득했는지를 밝힘으로써 학습의 중복을 피하게 하기 위한 형태 ③ 교과나 단원의 특수성 및 예상되는 수업방법 등에 비추어, 학생들의 흥미?성격 특성 신체적-정서적 특성?경험배경?적성?과거의 학력(學歷) 등을 밝힘으로써 효과적인 학생 배치, 예상되는 학습장애나 학습곤란에 대한 사전대책의 수립 등을 목적으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
진리 眞理 truth
|
1. 어떤 명제가 사실에 정확하게 맞는 것, 또는 논리의 법칙에 모순되지 않는 바른 판단. 허위(虛僞, falsity)와 더불어 명제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이다. 2. 진리는 참 혹은 거짓으로 분별될 수 있는 명제로서의 문장이나 기호나 표현에 관한 것이다. 3. 신념?주장?이론 등에 진리의 개념이 적용되는 것은 그것들이 명제이거나 명제의 체제이기 때문이다. 진리의 본질에 관한 전통적인 학설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⑴ 대응설(對應說, correspondence theory)로서, 한 명제가 진리라는 것은 그 명제가 표현하는 대상으로서의 사실이 있고 그 명제에 의해서 표현된 의미는 대상과 일치한다는 것을 뜻한다. "지금 비가 오고 있다"는 명제는 실지로 지금 비가 오고 있다면 진리라는 것이다. ⑵ 정합설(整合說, coherence theory)로서 진리는 체계적인 정합을 뜻한다는 것이다. 전체적 구조 속에서 하나의 요소로서의 한 명제는, 다른 모든 명제와 논리적으로 의미 있게, 일관성 있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뜻하는 정합을 만족시킬 때 진리라는 것이다. ⑶ 실용설(實用說, pragmatism)로서, 한 명제가 진리라는 것은 그것에 관심을 둔 사람의 의도를 결과적으로 만족시키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4. 그 명제가 본래의 기대대로 기능을 한다는 것은 그것이 진리임을 입증하는 것이라는 생각이다. |
진보주의 進步主義 progressivism
|
1. 보수주의 혹은 전통주의에 대한 반항적 사조(思潮)나 운동 2. 교육사조로서의 진보주의는 1918년에 아동중심 교육을 주장하던 미국의 교육학자?심리학자들이 「진보주의 교육협회」(The Progressive Education Association)를 결성한 데서 본격적으로 출발한 교육운동을 뜻한다. 3. 진보주의는 루소(J. J.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영향을 입은 19세기 유럽의 「신교육운동」(The New Education Movement)과 19세기 말에 발달한 심리학과 아동에 관한 연구가 고조된 것에 관련하여 20세기의 초기에서부터 미국사회에서 전개된 교육사조이다. 4. 전통적인 귄위주의와 성인중심적 교육관에서 탈피하여, 아동의 개성?흥미?욕구?적성?자발성 등을 교육의 중요한 원리로 삼고 외부의 강제나 통제에 의한 교육을 배척하는, 이른바 아동중심 교육이 진보주의 교육운동의 동기이다. 5. 그러나 미국 사회가 1930년 경에 대경제공황(大經濟恐慌)을 겪는 동안 진보주의가 사회의 비판적 여론의 대상이 되자, 사회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관심을 높이게 되었다. 그리하여 초기의 진보주의가 아동중심적 특징을 가진다면 후기의 진보주의는 사회문제 중심적 특징을 가진다. 지역사회 학교 생활중심 교육 등은 후기 운동의 두드러진 특색이다. 6. 진보주의는 전통주의적 특색을 지닌 물질주의(物質主義, essentialism)와 항존주의(恒存主義, perennialism) 등의 저항을 받았지만, 현대의 민주적 교육의 본질을 정립하는 데 미친바 공적은 높이 평가받을 만하며, 미국사회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교육 일반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
진위형 眞僞型 true-false type
|
1. 어떤 진술 문장을 제시하고 거기에 대해서 진(眞)이냐 위(僞)냐, 또는 맞느냐 틀리느냐를 가려내게 하는 검사형식 2. 보통 OX식이라고도 하는 형식인데, 「예-아니오」, 「그렇다-안그렇다」, 「맞다-틀리다」, 「O-X」 식으로 답을 한다. 3. 이 형식은 작성하기가 쉽고 채점하기도 쉬우나, 추측과 우연의 적중률이 높다는 이유 때문에 요즈음은 잘 쓰이지 않는다. |
진점수 眞點數 true score
|
1. 진점수의 최초의 의미규정은 고전검사이론에서 출발하였지만 신검사이론에서의 진점수의 의미는 그와 다르다. 2. 우선 고전검사이론에서의 진점수 T란 같은 사람에게 동일한 검사를 독립적으로 반복하여 무한히 실시하였을 때 기대되는 값 즉 E(X)=T라고 정의하고 있다. 3. 이 때의 진점수란 주어진 목적을 충실하게 측정해 주고 있느냐 하는 검사의 타당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측정의 오차가 배제된 일관성을 가진 점수만을 의미한다. 4. 동일한 사람을 무한히 반복하여 얻어진 점수의 평균이 진점수라고 하는 것은 실제로는 정확히 구할 수 없기 때문에 이것은 고전검사모형의 한 이론적 구인이 된다. 5. 신검사이론은 강진점수이론(强眞點數理論, strong-true score theory)과 잠재특성이론(潛在特性理論, latent trait theory)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신검사이론에서는 한 검사에 포함된 모든 문항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진점수(또는 잠재특성)를 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강점수이론과 잠재특성이론과 그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6. 그러나 강점수이론에서는 이항오차모형(二項誤差模型, binominal-error model) 또는 포이손모형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정한 진점수를 갖고 있을 때 이에 따른 특정한 관찰점수의 분포를 이룬다는 확률분포를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관찰점수분포의 기대값은 진점수가 된다는 점에는 고전검사이론과 유사한 점이 있다. 7. 한편 잠재특성 이론에서는 한 개인의 검사결과는 가정하고 있는 잠재적 특성상의 위치에 위해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잠재적 특성이 각 문항에서 어떻게 영항을 주고 있는가 하는 수리적 모형으로서 흔히 누가적 오자이브 곡선이나 로지스틱 곡선을 가정하고 있다. 강점수이론과는 달리 이러한 잠재적 특성은 이론적으로 -무한대와 +무한대의 값을 가지며 진점수는 일반적으로 잠재특성과 직선적 관계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관찰점수의 기대값은 잠재적 특성치와 일치하지 않는다. |
진학률 進學率
|
1. 어떤 등급의 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다음 등급의 학교, 즉 상급학교에 입학하는 비율 2. 예컨대 중학교 진학률은 초등학교 졸업자가 중학교에 몇 명이 입학하느냐 하는 비율로 결정된다. |
진학절목 進學節目
|
1. 조선조 9대 성종 원년(1470)에 예조(禮曹)에서 지은, 교사의 추임?전직과, 학생의 근면?결석에 관한 보충규제 2. 내용을 보면, "학행이 사표가 될 만 한 자를 예조와 각 관에서 합의하여 선택하고 성균관과 사학(四學)에 결원을 보충하며, 타관에서 기한이 차지 않은 자라도 전직시켜 임명하되 다른 사무는 제하고 가르치는 데만 전력하게 한다. 3. 사학 유생(儒生)에게 야간 독서를 장려하라. 4. 유생이 전혀 등교하지 아니하고 부모의 노병을 거짓 핑계하고 휴가를 받는 자가 시험에만 응하니 이는 옳지 못한 것이다. 금후로는 휴가를 받는 자는 관시(館試)에 응하는 것을 하지 말라, 문신으로 외읍(外邑) 교수가 되어 다년간 한 곳에서만 근속하고도 영전하지 못하는 것은 선비를 높이는 본의가 아니니 기한이 된 자는 곧 옮겨준다"는 것이다. |
질문지법 質問紙法 questionnaire method
|
1. 연구 및 평가에 있어서의 자료수집의 방법으로 어떤 문제에 대하여 계획적으로 작성된 일련의 기술된 질문에 대하여 필답으로 응답하게 하는 방법 2. 처음 질문지를 사용한 것은 1880년 갈턴(F. Galton)이었으며 그후 홀(G. S. Hall)이 연구 및 평가의 도구(道具)로 발전시키고 보급시켰다. 3. 질문지의 용도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⑴ 사실발견에 관한 질문으로서 예를 들면, 연령?가족수?직업?출생지와 같은 것을 알아보는 질문이다 ⑵ 의견?판단?태도?감정과 같은 자아관여(自我關與)에 관한 질문으로, 예를 들면 교사에 대한 태도, 한글전용에 대한 의견, 학교에 대한 감정에 관한 것 등을 알아보는 질문이다. 4. 질문지는 응답형식에 따라 구조적 질문지(構造的質問紙, structured questionnaire)와 비구조적 질문지(unstructured questionnaire)로 나누고 있다. 전자는 선택지(選擇肢)를 주고 이 선택지 중에서 선택을 하게 하는 방법, 또는 선택지에 기호나 서열을 붙이게 하는 방법이며, 후자는 자유반응적 질문(free response question)의 형식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