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 集團相談 group counseling
|
1. 개인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소집단의 경험을 통하여 해결하는 상담의 한 형태 2. 흔히 개인상담과 대비되어 사용된다. 3. 집단상담에는 내담자에게 정보나 지식을 제공하는 것보다는 개인의 감정?태도?동기가치?행동의 구체화와 이들의 변화를 촉진함에 중점을 둔다 ? 상담, 개인상담, 집단 심리치료 |
집단 심리치료 集團心理治療 group psychotherapy
|
1. 신경증이나 정신병 등의 이상 심리를 소집단에서의 여러 가지 학습경험을 통해서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심리로 변화되도록 재교육하는 전문적 활동 2. 정신분석 이론이 지배적일 때는 전이신경증(轉移神經症)의 복잡성 때문에 집단 심리치료는 성공할 수 없다고 보았으나 20세기 후반기부터 집단 심리치료의 효과가 상당히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3. 집단의 형태나 활동원리에 따라서 집단 심리치료는 여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 대표적인 예 : 가족치료, 티 그룹(T. group), 마라톤 그룹(marathon group), 정신분석적 집단 심리치료, 행동주의적 집단 심리치료, 내담자중심적 집단 심리치료 등 |
집단응집력 集團凝集力 group cohesiveness
|
1. 집단의 구성원들 간에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정도 2. 이는 흔히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다른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⑴ 집단에 머물러 있거나 또는 떠나고 싶은 것으로 표현될 수 있는 집단에 대한 매력의 정도 ⑵ 집단구성원의 사기(士氣)나 동기의 수준 ⑶ 집단구성원의 노력이 조정되고 협조되는 정도 3. 이러한 집단응집력은 집단구성원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에는 물론 생산성이나 심리적 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집단의 이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집단지도 集團指導 group guidance
|
1. 생활지도의 한 형태로써 개인이 지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거나,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고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해서 집단경험을 통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 활동 2. 정규 교과교육을 제외한 제반 활동을 가리킨다. 3. 집단지도의 방법으로는 홈룸(home room) 프로그램?현장견학?클럽 활동?학생자치회?지역사회 조사?집단상담?오리엔테이션 등이 활용된다. 4. 상담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집단지도로서 교육이나 직업에 관한 정보를 집단적으로 제공하기도 하고 심리검사에 관한 정보제공?실시?결과 해석 등을 집단적으로 실시하기도 한다. 5. 최근에는 사회적 기능의 발달, 인간관계의 개선, 성격적 적응이나 정신건강의 향상을 위한 집단적 토의와 경험을 통한 지도가 강조되고 있다. |
집중경향 集中傾向 central tendency
|
1. 한 집단의 점수분포에 있어서 주로 어떤 점수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느냐를 하나의 값으로 요약 기술해 주는 지수(指數) 2. 한 집단의 점수의 분포와 위치, 그리고 여러 집단간의 분포의 비교를 위해서 변산도(變散度) 지수와 함께 집중경향치가 사용된다. 3. 집중경향치에는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산술평균?중앙치?최빈치(最頻置)가 있고, 이외에 기하평균(幾何平均)과 조화평균(調和平均)이 있다. 4. 이러한 집중경향치는 한 집단의 분포의 특성을 하나의 값으로 요약 기술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 개인의 접수를 주어진 집단과 비교해 주는 기능도 갖게 된다. 5. 이러한 여러 가지 대표치 중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 사용목적, 점수분포의 특징, 측정의 수준과 기타의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 산술평균, 중앙치, 최빈치 |
집중경향의 오차 集中傾向―誤差 central tendency error
|
1. 평정에 있어서 평정자의 반응경향이 평정치에 평정착오로서 주는 영향의 하나 2. 평정자가 평정에 있어서 극단한 평정치를 주는 것을 가능한 피하고 중간점수를 주로 줌으로써 모든 평정자를 「보통」또는 5단계의 경우 「3」에 주로 표시하는 경우를 말한다. 3. 평정자 중에는 반대로 극단한 점수만을 주는 경우가 있다. 4. 이러한 극단한 점수를 주로 주거나 또는 중간 점수만을 주로 주는 것은 평정자의 성격특성의 하나로 볼 수 있으므로 이를 평정자의 반응경향(response set)이라고 부른다. 5. 이러한 오류를 가능한 피하기 위하여 이러한 경향을 가진 평정자나 평정의 결과를 제외하거나 또는 사전에 각 평정점수에 일정한 비율로 피평정자를 배정 평정하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집합의식 集合意識 collective consciousness
|
1. 사회나 집단 조직 내에서 전체 구성원들에게 공유되는 일련의 사고 방식, 규범, 가치관, 감정 체계를 일컫는다. 2. 불란서 사회학자 에밀 뒤르껭(Emile Durkheim)이 개인의 활동과 구분되는 사회적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발전시킨 개념이다. 3. 그는 사회를 유기체에 비유하여 단순한 하나의 수량적 집단으로 간주하지 않고 규범으로 단단히 결속된 도덕적 실체로 규정하였다. 4. 집단의 의식상태는 집단 구성원 개개인이 나타내는 개별 의식과는 별도로 존재하며 그 자체의 법칙을 갖고 있고 개인들의 통제 밖에 놓여 있다. 5. 개개인의 심리현상이 아닌 사회 전체 수준에서 구현되는 집단의식에는 객관적인 계약관계에 의해 형성된 집단의식(representations collectives)과 순수히 개개인의 주관적 감정에 의해 결합된 집단의식(sentiments collectives)이 있는데 집합의식은 후자를 지칭한다. 6. 사회의 공동체성 유지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뒤르껭은 사회적 결속력과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공유된 사회 규범과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 개념은 그가 분업과 사회적 유대의 유형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종교의 사회적 기능을 설명하는 데에도 동원된다. |
참모조직 參謀組織 staff organization
|
1. 계선기관(系線機關)을 위하여 정책목표에 관한 자문?권고?건의를 행하며, 또한 협의(協議)?정보판단?조사 등을 통해 조직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도록 도와주는 조직 2 막료조직(幕僚組織)이라고도 한다. 3. 조직 규모가 확대?발전됨에 따라 기획과 조정문제는 수직적으로뿐만 아니라 수평적으로도 더욱 커지게 되어 참모조직의 조력(助力)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4. 참모조직은 계선조직을 통하지 않고서는 직접 명령?지휘할 수 없으며,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조직체의 목적달성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계선을 돕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데, 그 주요 업무는 권고?조사?자문에 응하는 것이다. 5. 계선조직의 상층부에 부설되어 있어,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조직장(組織長)의 통솔범위를 확대시키고, 보다 합리적인 지시와 명령을 내릴 수 있다. 6. 또한 수평적인 업무의 조정과 협조를 가능케 할 수 있고, 조직이 신축성을 띨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7. 그러나 참모기관의 설치로 조직 내의 인간 관계가 복잡해지며, 계선조직과의 알력(軋轢)과 대립이 조성되며, 양 조직간에 책임전가를 할 우려가 있다. 또한 권한이 점차 확대됨에 따라 중앙집권화(中央集權化)의 경향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
참여연구방법 參與硏究方法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
1. 연구문제의 제기로부터 연구결과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연구의 전 과정에 있어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연구대상이 되는 일정한 지역이나 집단 공동체가 민주적으로 공동 참여하여 모든 사회교육적 방법을 활용하여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실천 연구의 한 방법 ⑴ 질적 연구(質的硏究)의 중시 ⑵ 소외집단 및 불우집단을 위한 실천적 행동으로서의 연구 ⑶ 연구대상의 연구에의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 참여연구의 기원은 미개지역이나 하류계층 주민들에 대한 인류학자들의 개발 실천의지로부터 찾아 볼 수 있다. 스웨덴의 인류학자인 스완츠(M. L. Swantz)가 탄자니아에서 실시했던 한 사례실천 연구를 토대로 하여 브라질의 프레이리(P. Freire)가 이를 실제 사회교육의 실천에 적용하여 발전시킬 것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다시 국제성인교육협회(ICAE)에서 공식적인 사회교육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여 하나의 사업으로 전세계에 보급하면서 발전된 연구방법이다. 2. 참여연구는 크게 여덟 가지의 수행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⑴ 문제의 추출 ⑵ 연구자의 연구대상(주민 및 집단)들과의 합의 ⑶ 연구 업무 분담을 위한 소집단의 구성 ⑷ 연구계획의 수립 ⑸ 자료의 수집 및 분석 ⑹ 문제해결을 위한 협의 및 실천 계획의 작성 ⑺ 실천 계획의 수행 ⑻ 연구결과의 학문적 정리와 시사 도출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참여연구의 수행에는 집단협의나 공동회합, 분과위원회의 조직, 지역사회 세미나, 의견조사, 견학, 교재의 공동제작, 대중연극 등의 다양한 방법이 활용될 수 있다. 3. 연구법의 특성 및 장점 ⑴ 연구자체가 단순한 이론의 정립이나 개발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효과적인 실천적 사회개발의 접근방법이 되며 또한 어느 정도 연구자의 편견을 극복하고 객관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 ⑵ 지금까지 다른 연구방법으로 밝혀내기 어려웠던 결손집단 및 소외집단들의 사회문제를 규명하고 이를 위한 근본적 해결책을 강구할 수 있다는 점 |
참여적 관찰 參與的觀察 participant observation
|
1. 관찰자가 관찰대상의 내부에 들어가서 그 구성원의 일원이 되어 공동생활에 참여하면서 관찰대상을 자연 그대로 관찰하는 방법 2. 여기서 자연 그대로 관찰한다는 것은 관찰자의 영향을 받음이 없이 관찰자가 없을 때 나타나는 피관찰자의 행태(行態)를 관찰함을 말한다. 3. 예를 들면 거지의 행태를 연구하기 위하여서는 연구자가 거지가 되어 그들과 같이 생활을 하면서 관찰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4. 이 방법은 특히 인류학자들 간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미개지역의 원주민에 관한 연구에 많은 업적을 보이고 있다. |
참여적 장학 參與的?學 participatory supervision
|
1. 교수-학습지도를 포함한 모든 교육활동에 여러 관계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개선하고, 장학지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현대적 장학개념의 일종 2. 민주적 장학의 원리 아래, 교육행정가?장학사?교장?교사 기타 교육관계자뿐만 아니라 학부모?사회인 등에게도 교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장학지도의 효과를 높이려는 것이다. |
창의성 創意性 creativity
|
1. 새로운 관계를 지각하거나, 비범한 아이디어를 산출하거나 또는 전통적 사고유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으로 사고(思考)하는 능력 2. 토랜스(E. P. Torrance)는 창의성의 과정을 ⑴ 어떤 문제?결핍?격차 등에 민감한 것 ⑵ 문제나 곤란을 추측하고 형성하는 것, 그리고 가설을 검증하고 재검증하는 것 ⑶ 결과를 전달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3. 이것은 여러 가지 검사들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으며, 교육과 정신건강의 목표로서 중시되고 있다. 4. 따라서 창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 확산적 사고 |
창의성 검사 創意性檢査 creativity tests
|
1.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작품을 만들어 내는 지적(知的) 능력과 그와 관계되는 성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 2. 창의성 검사에는 길포드(Guilford)가 제시한 지능구조의 모형에서 확산적 사고를 재기 위하여 알렌(Allen)이 만든 에이 알 피(A.R.P.), 토랜스(Torrance)와 바론(Barron)이 창의적 성격을 재기 위하여 만든 것이 있다. 3. 길포드와 토랜스의 창의성 검사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번역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창의성 발달 創意性發達 creativity development
|
1.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새로운 형식이나 의미를 지니고 이해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자료?사실?관계를 창안해 내는 능력의 발달 2. 이는 유전적 영향을 받기는 하나 교육에 의해서 개발이 가능한 측면이 많기 때문에 창의성의 습득과정에 작용하는 변인에 관한 연구와 이의 개발을 위한 교육적 원리, 교육의 과정, 실제적 프로그램 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 3. 창의성의 교육 프로그램은 개인별로만 아니라 집단적으로도 실시될 수 있기 때문에 이의 교육은 학교와 산업체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
창의적 사고 수업모형 創意的思考授業模型 creative thinking model
|
1. 학생들이 사물, 사상, 개념, 감정을 다루는 데 있어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높여주기 위한 교수방안 2. 이 모형은 학생들이 스스로 자신의 창의력을 길러가는 방법을 배워야만 한다는 가정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학급 분위기는 다양한 반응이 존중되고 보상받는 분위기이어야 한다. 3. 창의적인 기법을 배운 학생들은 이를 활용하여 주어진 교과에서 직면하게 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4. 창의적 사고 수업의 기법은 무수히 많겠지만 그 중에서 여섯 가지만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⑴ 눈에 띄지 않는 특성 대상 및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⑵ 문제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정을 다시 생각해 본다. ⑶ 아이디어 계통도를 만들어 본다. ⑷ 기존의 방식에서 어느 부분을 빼거나 뒤바꾸어 봄으로써 새로운 사고를 탐색한다. ⑸ 이상한 것을 친밀한 것으로 유추한다. ⑹ 친밀한 것을 이상한 것으로 유추한다. 5. 교사가 이 모형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것들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 ⑴ 직접 활용할 수 있거나 독창적이거나 또는 새로운 아이디어는 모두 수용되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⑵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설명이나 신념의 부적절성 그리고 괴리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⑶ 환경에 보다 개방적이고 민감하도록 돕는다. ⑷ 학생의 창의와 독창적 사고를 방해하는 형식적이며 시험적인 분위기를 확인해 둔다. ⑸ 분명한 사고를 실천할 수 있는 자극을 제시한다. 6. 이러한 수업모형을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배우게 된다. ⑴ 창의적 사고에 요구되는 태도를 기른다. ⑵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기 위하여 문제를 재설정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⑶ 아이디어들의 차이를 이해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한다. ⑷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기 위하여 비유방법을 활용한다. 7. 이 수업모형은 과학과, 사회과, 언어학습에 가장 적합하며 특히 초등학교 3학년에서부터 중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이 수업모형에서는 창의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특수한 자료나 상황이 있어야만 한다. 9. 이들 자료나 상황은 다양한 반응을 가져오게 할 이상함, 난처함, 괴리, 신비함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어야만 한다. 10. 이 수업모형의 적용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다양한 반응의 가치를 찾고, 단일의 정답이 있다는 생각을 버리고, 학생들이 자신의 아이디어를 생각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시간을 주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