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빈치 最頻値 mode
|
1. 집중경향치(集中傾向値)의 하나로서 점수분포상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점수. 흔히로 표시한다. 2. 예를 들어 12, 12 14, 14, 18, 18, 18, 18, 19, 20, 20의 경우처럼 묶지 않은 자료에서는 18이 그 빈도가 4로서 가장 많으므로 최빈치가 된다. 3. 일정한 급간으로 묶은 자료에서는 가장 빈도가 많은 급간의 중간점이 최빈치가 된다. 4. 때로는 그 분포가 낙타의 등처럼 최대의 빈도를 가진 점수가 두 개 있는 경우에는 이중최빈치(二重最頻値)라고 부르며, 이 경우에는 두 개의 최빈치의 합의 평균을 내거나 또는 두 개의 최빈치로서 나타낼 수밖에 없다. 5. 최빈치는 손쉽게 분포의 경향을 빨리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표집에 따른 변화가 가장 크고 또한 어떻게 자료를 묶느냐에 따라 변화가 커서 다른 집중경향치 중에 가장 안정성이 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집중경향 |
최소능력검사 最少能力檢査 minimum competency testing
|
1. 1970년대에 미국에서 고등학교 졸업생이 자신의 취직을 위한 이력서조차 쓰지 못하고 있다는 산업기관으로부터의 비난과 일반시민의 관심 그리고 교육의 책임성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된,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의 졸업자격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 2. 최소성취(minimum achievement)검사라고 하지 않고 최소능력검사라고 한 것은 시험의 목적이 기초적인 기능 및 실생활에서 적용되는 실제적인 능력에 초점을 둔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3. 또한 이러한 최소능력검사의 목적은 학교가 학생들에게 최소수준의 능력을 함양하였는가의 교육의 책무성을 따지는 목적만이 아니라 학생의 입장에서 학습권, 좀더 나아가 성취권의 권리의 주장이라는 견지에서도 그 실천의 의의를 갖고 있다. 4. 즉 학생은 학교로부터 일정한 최소수준의 성취를 보장받을 권리가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는 의미에서도 최소능력검사는 그 의의를 갖고 있다. 5. 현대에 미국의 50개의 주 중에서 48개의 주가 이러한 최소능력검사라는 견지에서 고등학교졸업 직전의 학생에게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6. 만약에 이 시험에 통과를 하지 못한 학생은 졸업장 대신에 수료증을 주게 되며 후에 다시 이 시험에 응시하도록 하고 있다. 7. 또한 성취권의 보장이라는 견지에서 고등학교 1, 2학년 때에 예비시험을 치르고 일정한 수준에 이르지 못한 학생에게는 교정학습이나 보충학습을 하도록 조치하는 경우도 있다. 8. 최소능력검사는 절대기준검사의 한 형태이지만 다른 점은 주어진 목표별로 구체적인 성취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총점으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과 그 측정의 목표가 학력의 측정이라는 성취측정보다는 일상생활에서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기초적 능력의 측정이라는 점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다. 9. 그러나 절대기준검사와 마찬가지로 최소능력의 달성수준과 그 달성내용목표를 설정하는 데에 객관성과 일관성이 없다는 데서 많은 실천상의 애로점을 갖고 있다. 10. 이러한 최소능력검사 운동은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에게도 적용하고자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세계 각국에서도 미국의 이러한 최소능력검사운동의 영향을 받고 이러한 유형의 시험형태가 행하여지고 있는 실정이다. |
추리 推理 inference
|
1. 한 명제를 출발점, 혹은 기본적인 전제로 하여, 어떤 다른 명제를 도착점, 혹은 결론으로 획득하는 과정 2. 전제와 결론을 연결짓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일련(一連)의 명제군(命題群)이 규칙에 따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논증(論證, argument)이라고 하며, 이러한 논증을 전개하는 것을 논리적 추리라고 한다. 3. 좁은 의미의 추리는 이 논리적 추리를 가리키지만, 논리적 추리 이외에 통계적(統計的) 추리?유추적(類推的) 추리?인과적(因果的) 추리 등이 있다. 4. 논리적 추리에는 개별적인 특징명제들을 일반화(一般化)하는 귀납적(歸納的) 추리와, 일반화의 명제에서 특징명제를 결론으로 도출하는 연역적(演繹的) 추리가 있다. 5. 통계적 추리는 일반적으로 귀납적 추리의 일종으로 본다. 6. 「연역적 추리」는 논리적 형식에 따라 전제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논증의 과정을 통칭하는 것으로도 사용되며, 좁은 의미의 논리적 추리는 이러한 의미의 연역적 추리와 같은 말로 이해되고 있다. ? 논증, 연역법, 귀납법 |
추리통계 推理統計 inferential statistics
|
1. 얻어진 하나의 표집(標集)을 통하여 전집(全集)의 모수치(母數値)를 추정하는 통계적 방법 2. 이를 표집통계, 또는 귀납적 통계 방법이라고도 부른다. 기술통계(記述統計)는 주어진 집단을 요약, 기술하는 데 관심이 있는 반면에, 추리통계는 한 표집에서 얻어진 통계치(또는, 표집치)를 통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집의 전집치(또는, 모수치)를 추정하는 데 관심이 있다. 3. 예를 들어 한 표집에서 얻어진 산술평균치를 X라고 하면, 이 X를 통하여 이 표집을 대표하는 전집의 평균 μ를 표집오차를 고려하여 추정하게 된다. 이 추리통계적 방법에는 전집치가 어떤 일정한 값을 갖는다고 생각하고, 이를 가설로 설정하여 검증하는 가설 검증방법, 전집치의 값을 일정한 범위를 갖고 추정하는 신뢰구간 설정방법(信賴區間設定方法) 및 전문적?주관적인 견지에서 일정한 방법으로 표집한 표집치를 전집치로 대용하는 점추정방법(點推定方法)의 세 가지 방법으로 대별할 수 있다. ? 기술통계 |
출발점 행동 出發點行動 entering behavior
|
1. 수업이 시작될 때까지 이룩되어 있는 학생의 수준 2. 여기에서 학생의 수준이란 선행학습(先行學習)이 무엇이냐를 비롯하여, 그의 지적 능력과 발달 정도?동기상태?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여러 사회적?문화적 요인을 가리킨다. 3. 일반적으로 출발점 행동은 인간능력의 개인차?학습준비성 등에 비하여 더 정확(的確)한 용어이며, 이같은 행동을 시발행동(始發行動)?투입행동?학습에 대한 선행경향성?적성 등으로 부르는 사람도 있다. 4. 출발점 행동의 진단은 한 수업단위의 시작에 즈음하여 학생이 지니고 있어야 하고 그 수업에 적합한 지식?기능?태도를 밝히는 작업이다. 5. 효과적인 수업과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수업과정에서 성공적인 경험을 얻고 학습자와 수업 프로그램간의 유대를 굳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6. 출발점 기능 내지 행동을 확인함으로써 교정학습(矯正學習)이 필요한 학습결손자를 가려낼 수 있다. ? 준비도, 투입 행동, 교정학습 |
충동 衝動 impulse
|
1. 판단이 따르지 않고 목적 관념을 떠나서 일어나는 의식 2. 생각하지 않고 행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원시적 반응, 즉 목표만을 생각하여 장벽을 의식하거나 우회(迂廻)하려는 생각이 없는 직선적 반응이나 발작적으로 행동하는 폭발반응을 나타낸다. 3. 정신분열증 환자나 정신박약아에게서 많이 나타나나 피로가 심할 때나 심적 구조가 단순할 때도 잘 일어난다. |
충분조건 充分條件 sufficient condition
|
1. 두 개의 명제 혹은 두 개의 사건에 대해 어느 하나를 옳다고 주장하는 것이 다른 하나를 주장하는 데에 충분한 조건 2. 이때 전자를 후자의 충분조건이라고 한다. 3. 예컨대, 명제 p가 참[眞]이라면 q도 참일 때, 또는 사건 C가 일어나면 E도 일어날 때, p와 C는 q와 E의 충분조건이다. 4. 이 때 p를 논리적 충분조건이라 하고, C를 인과론적 충분조건이라 한다. 5. 즉, “박씨는 어머니이다"는 "박씨는 여자이다"의 논리적 충분조건이고, 1기압에서 물의 온도가 100℃가 되는 것은 물이 끓기 위한 인과론적 충분조건이다. |
취학전 교육 就學前敎育 early childhood education
|
1. 학령(學齡) 이전 아동을 보육(保育)하고 적당한 환경을 제공하여 심신의 발달을 조장하는 교육 2. 대체로 만 4~5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3. 독일의 프뢰벨(F. W. A. Frobel)과 코메니우스(J. Comenius)가 그 창시자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는 1914년 정동(貞洞)의 이화유치원(이화학당 부속)에서 처음 취학전 교육을 실시하였다고 한다. 4. 유치원은 아직 명실공히 공교육 체계 속에 편입되지 못하고 있지만 앞으로 연한 연장, 그리고 평생교육(平生敎育)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의 취학전 교육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칠자유학과 七自由學科 seven liberal arts
|
1. 로마 시대부터 중세에 걸쳐 주로 중등교육이상에서 교수(敎授)되어 오던 과목 2. 그 내용은 문법?수사(修辭)?변증법(辨證法)의 3학(三學)과 산수?기하?천문(天文)?음악의 4과(四科)를 말한다. 3. 이것은 실제적?기술적?실과적인 교과내용과는 상반되는 성격을 지니는 교과로서, 그 기원은 플라톤(Platon), 소피스트(Sophist), 퀸틸리아누스(Quintilianus)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4. 소위 그리이스적인 교육은, 다만 실용성이라든가 생활기능에 치중한 원시적인 교육과는 달리 인간으로서의 완성, 무엇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자신의 수양?완성을 위한 자유교육을 숭상하였으며, 그것은 바로 7자유학과를 통하여 다면적인 지식을 갖추는 교육이었다. 5. 오늘날 강조되고 있는 교양교육도 이들 7자유학과의 교육에서 연유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칠재 七齋
|
1. 고려 예종 대에 세워진 유학 및 무예의 고등교육기관 2. 예종 4(1109)년 7월에 관학을 진흥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3. 칠재의 구성은 전공과목에 따라서 여택(麗澤; 주역전공), 대빙(待聘, 상서전공), 경덕(經德; 모시전공), 구인(求仁; 주례전공), 복응(服膺; 대례전공), 양정(養正, 춘추전공), 강예(講藝; 무학 전공) 등 7개의 재로 되어 있었는데, 크게 유학과 무학으로 구분하기도 하였다. 4. 당시 관료들은 칠재의 설치에 반대하는 의견이 많아서 실제 교육이 시작된 것은 예종 14(1119)년에 유학 60명, 무학 17명을 배치하면서부터였다. 5. 이 중에서 무학은 문신들의 반대로 인종 11(1133)년에 폐지되었다. 6. 이후의 운영상황은 명확하지 않지만, 고려 말까지 각 재의 명칭이 보이는 것을 보아 계속 존속하였던 것은 분명한 듯하다. 7. 칠재의 성격에 대해서는 송나라의 삼사법의 영향을 받아 국학에 설치된 상급교육기관이라는 설과 국자감의 조직을 개편한 것이라는 설이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
카리스마 [독] Charisma
|
1. 초인적(超人的) 또는 초자연적 능력과 자질을 가진 것처럼 보이게 만드는 성격상의 신비로운 특질 2. 신비적 지도성으로 번역되며, 성직자(聖職者)들에게서 볼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의미하는 기독교의 개념을, 독일의 사회학자 베버(M. Weber)가 차용한 것으로 「은총의 선물」이라는 뜻이다. 3. 이러한 성격의 지도자를 카리스마적 지도자라 부른다. ? 신비적 지도성 |
캐롤의 학교학습 모형 ― 學校學習模型 the Carroll model of school learning
|
1.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캐롤(J. B. Carroll)이 1963년에 발표한 바 있는 학교학습의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 2. 그 후에 블룸(B. S. Bloom)이 그의 완전습득 학습(完全習得學習)의 이론적 배경으로 삼게 됨에 따라 크게 각광을 받게 되었다. 3. 이 이론적 모형의 핵심점은 학교학습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학습성취도(學習成就度)에서의 개인차(個人差)를, 학습에 필요한 시간량과 학습에 투입(사용)한 시간량의 비(比)로 설명하고 있다는 점이다. 4. 이를 방정식의 모양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의 정도 = f 5. 여기서, 분모의 필요 시간량의 결정 변수(變數)는 ① 적성 ② 수업 이해력 ③ 수업의질(質)이며, 분자의 투입 시간량의 결정 변수는 ④ 학습 기회 ⑤ 학습 지속력(遲速力)이다. |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
|
1. 제 2차 세계대전 이래 공학?심리학?사회학?국제관계이론?인식론?예술?광고?노사관계 등에서 점차로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서 어떤 정보를 언어?문자?기호?상징 등의 수단으로 교환하는 것 2. 동물은 시각?청각?후각?촉각 등을 통해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교미를 하거나 배우자(配偶者)를 선택할 때는 물론 집단을 형성하거나 영토를 소유할 때도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3. 교육?심리학에서는 다음과 같이 광범위한 연구영역으로 구별되어 발전되고 있다. ⑴ 비형식적 사회적 커뮤니케이션(informal social communication) : 비형식적 집단 내에서 집단구성원간에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조건?결과 등에 관한 것 ⑵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nonverbal communication) : 표정?손동작?발의 동작?몸 움직임 등과 같이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신체적 표현을 통해서 의사전달을 하는 것에 관련된 것 ⑶ 임상과 치료의 커뮤니케이션(clinical & therapeutic communication) : 인간의 심리적 역동(心理的逆動)은 언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심리적 이상(心理的異常)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것은 카운슬링과 정신치료의 중핵적 활동을 이루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연구와 실천이 현재 활발함 ⑷ 조직에서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in organization) : 학교?산업체?군부대?정부 등의 조직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조건?결과 등에 관한 것 등이다. ? 의사소통 |
컴퓨터 경영수업 ―經營授業 computer managed instruction : CMI
|
1. 수업의 전개과정 중 주로 형성평가(形成評價)와 보충학습의 처방을 컴퓨터로 하는 수업 2. 강좌 또는 교과의 전체적 목표, 단원별 목표, 단원별로 학습해야 할 내용, 읽을 자료 등을 제시하여 학습자 나름의 자율학습을 한 후, 컴퓨터를 통해 학습한 단원의 평가를 받는다. 3. 평가는 절대기준적 평가로 이루어지며, 평가의 결과로 완전습득이 되었다고 인정되면, 다음 단원으로 진행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동형적(同型的) 성격의 검사로 재평가 받거나, 어떤 자료로 어떤 학습을 보다 충실히 해야 할 것인가를 지적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 컴퓨터 보조수업(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CAI)과 다른 점은, 각 단원별 초기 수업단계는 개별적으로 또는 강의를 통해 수행된다는 점이다. ? 컴퓨터 보조수업 |
컴퓨터 능력적응검사 ― 能力適應檢査 computer adaptive testing
|
1. 컴퓨터화(化) 검사의 제 2세대로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전에 만들어진 문제은행으로부터 피험자의 능력수준과 일치하는 난이도 수준의 문항을 제시하고, 그 뒤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난이도 수준의 새로운 문항이 제시되어 문항반응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능력이 추정되는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방법 2.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의 특징은 지필 검사나 컴퓨터 이용검사처럼 모든 피험자에게 동일문항이 제시되고 그 동일한 문항에 응답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문항이 문제은행으로부터 제시된다. 3. 현재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의하여 다음에 제기되는 문항은 사전에 조정된 문제은행으로부터 문항 난이도 수준에 따라 제시되며, 각 피험자의 능력도 문제은행에 의하여 사전에 조정된 능력척도에 의하여 추정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4.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의 기본 구성요소로서 문제은행, 문항반응모형 선택, 검사 출발시 첫 번째 문항 선택 방법, 전번 문항의 정답여부에 따라 다음 문항을 제시하는 분지규칙(branching rule), 채점방법 그리고 검사종료의 기준을 든다. 5. 검사문항이 피험자에게 어렵지도 쉽지도 않을 때 피험자의 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원리에 입각하여 맞춤검사(tailored testing)란 용어가 출현하였으며, 맞춤검사에서는 다음에 제시될 문항이 현재 제시된 문항의 정답여부에 달려 있으며, 답을 맞혔을 경우는 보다 어려운 문항이, 그렇지 못하였을 경우는 보다 쉬운 문항이 제시된다. 6. 초기의 맞춤검사는 이론적으로나 실용적으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전이 늦어지다가, 문항반응이론의 발전과 개인 컴퓨터의 일반화로 말미암아 컴퓨터 능력 적응검사라는 이름으로 독특한 새 영역을 정립하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