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보조수업 ― 補助授業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 CAI
|
1. 실제 수업과 수업평가까지 컴퓨터를 통해 하게 되는 수업 2. 프로그램화된 자료, 즉 주로 질문항목과 여러 가지 답항목으로 짝지어져 구성되어 있는 자료를 읽어나가면서 학습하고, 일정한 학습이 끝난 후에는 단원별 또는 전체적인 평가를 컴퓨터를 통해 제시되는 문제로 받게 된다. 3. 평가결과에 따라 보다 더 학습해야 할 부분 또는 과제의 내용과 참고문헌을 지적받기도 하는 수업 형태이다. 4. 컴퓨터 보조수업은 평가활동과 그 피드백(feedback)을 중심으로 한 컴퓨터 경영수업(computer managed instruction)보다는 컴퓨터의 활용 폭이 더 넓다. 5. 컴퓨터 보조수업에서 중심이 되는 과제는 학생들이 보이는 질문이나 활동 중에서 여러 가지 가능성을 예상하여 정교하게 프로그램화하는 것이다. 6. 초보적인 학습과제, 연습을 많이 요하는 학습과제 등에서 크게 활용될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은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다. ? 컴퓨터 경영수업 |
케디-위스크 KEDI-WISC
|
1. 미국의 아동용 웩슬러 지능 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Revised, WISC-R) 1974년 판의 한국어판 아동용 개인지능검사 2. 이 검사는 웩슬러의 지능관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는데, 웩슬러는 지능을 지적 능력과 비지요인인 성격적 요인으로 구성된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으로 보았다. 3. 이 검사는 언어성 검사와 비언어성 검사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체 지능지수뿐만 아니라 언어성 IQ와 동작성 IQ도 측정 가능하며, 이들 간의 점수차의 비교 분석을 통해 피검사자의 성격적 특성에 관한 임상적 진단도 가능하다. 4. 이 검사는 1986년에 5세부터 15세까지의 아동의 지능을 측정하도록 국내에서 표준화 과정을 거쳐 개발되었다. 5. 미국판 검사와 다른 점은 문화적 차이가 문제해결에 영향을 줄 것으로 추측되는 문항이 한국적인 것으로 대치되었다는 점이다. |
코스웨어 courseware
|
1. 교수-학습을 효과적?효율적으로 성취시킬 목적으로 바람직한 교수환경 또는 수업조건을 창출해 낼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2. 코스웨어는 교과과정(Course)과 소프트웨어(Software)의 합성어이다. 3. 그러므로 코스웨어는 좀 더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소프트웨어에 속한다. 그렇다고 모든 소프트웨어가 코스웨어라고 볼 수는 없다. 4. 코스웨어란 최근에 CAI의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대명사로 불려지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상호작용적 및 적응적 방식으로 수업의 전달체제를 구성하도록 컴퓨터를 이용하려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5. 코스웨어가 교육적인 의미와 교육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말은 곧 교수력이나 학습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학습자의 인지-정보처리과정에 따른 최적의 수업처방을 실행토록 한다는 뜻이다. 6. 최적의 수업처방이란 교과내용의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교수-학습이론에 근거하여 수업의 과정을 정교화시켜 주고, 학습자의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학습내용 및 학습사태를 적응적으로 처방?제시하여 주는 것이다. 7. 죠나센(Jonassen)이 분석?제시한 코스웨어의 주요 구성요인 ⑴ 수업설계의 모형 ⑵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본질 ⑶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내용에 따른 적응 ⑷ 동기화를 위한 설계전략 등이 있다. ※ 이상의 다섯 가지 요인들은 학습의 과정을 촉진시켜 주는 데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요인들이지만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요인으로는 「상호작용 요인」과 「적응적 요인」이다. 8. CAI의 코스웨어는 흔히 수업관련 요소와 수업 경영 체제로 구성되는데, 교수-학습과정에서 이용되는 코스웨어의 기본유형 ⑴ 반복연습형 ⑵ 개별교수형 ⑶ 교육적 게임형 ⑷ 모의실험학습형 또는 시뮬레이션형 ⑸ 자료제시형 ⑹ 문제해결형 ⑺ 학습도구형 등이 있다. 9. 교육용 코스웨어의 교육적 활용기능은 CAI와 CMI가 있다. 10. 코스웨어의 CAI 기능은 컴퓨터에 학습자료나 학습내용을 저장시킨 후 컴퓨터를 교수-학습 전달체제로 이용하는 것을 말하며, CMI의 기능은 학생들의 성적관리나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고 나아가서 학생들의 학업진전 상황을 분석하여 교수-학습활동의 개선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것을 말한다. 11. 이상적 코스웨어의 특성 ⑴ 명세적 목표의 진술 ⑵ 학습자들의 발달심리적 특성 반영 ⑶ 상호작용 기능의 극대화 ⑷ 개별화 수업의 실행 ⑸ 학습자의 흥미 지속 ⑹ 친절하고 긍정적인 학습상황의 제공 ⑺ 다양한 피드백의 제공 ⑻ 이상적 수업환경 조성 ⑼ 학습행위의 적절한 평가 ⑽ 컴퓨터의 다양한 기능의 충분한 활용 ⑾ 교수설계의 원리적용 ⑿ 코스웨어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수행 등을 들 수 있다. 12. 코스웨어 설계절차로는 수업목표 진술, 학습내용의 선정과 조직, 학습내용의 설계와 조직, 학습내용 제시를 위한 자료제작, 순서도 작성, 프로그램 작성,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효과성 평가 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
콜맨 보고서 ―報告書 The Coleman Report
|
1. 미국의 공립학교에 있어서 교육의 기회가 학생의 인종적 집단에 따라 지역적으로 어떻게 차별적인가를 밝혀, 1966년에 국회와 대통령에게 제출한 연구보고서 2. 콜맨(J. S. Coleman)의 연구책임 하에 수행된「교육의 기회균등」(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의 일반적 명칭이다. 3. 이 보고서가 밝힌 바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학업성취(學業成就)의 수준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은 학교가 아니라 가정환경이라는 것이다. 4. 즉, 교육의 기회균등을 학업의 성취수준에서의 균등으로 볼 때, 백인(白人) 학생의 평균수준은 일반적으로 흑인 및 기타의 인종집단의 평균 수준보다 높지만, 학교 요인(1인당 교육비, 도서관 시설, 실험실 시설, 교과과정, 교원의 학력 경력 및 급여액 등)에 있어서는 인종집단의 학교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5. 이 연구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사회 경제적 배경이 학업성취의 중요 결정 요인임을 믿어온 사람들에게는 재래의 상식을 확인한데 불과하며 이 점에서 그 결과는 인정되지만 연구방법상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6. 즉, 횡단적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전년도에 투입한 자원배분의 영향을 간과한 점, 한 교육구(敎育區)를 단위로 평균을 사용하여 교육구 내의 학교 대 학교의 차이를 무시한 점, 학교보다는 가정의 영향을 크게 받는 언어적 능력을 학업성취의 한 준거로 삼음으로써 학교가 미치는 영향력을 과소평가한 점, 자료수집 절차에서의 신뢰도 문제 등이다. |
쾌락원리 快樂原理 pleasure principle
|
1. 정신분석 이론에서 본능(本能)의 활동을 지배하는 원리 2. 원시적이며 생득적(生得的)인 본능을 충족시키려고 하는 것으로서 꿈?환상?정신병 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3. 자아(自我)가 현실의 원리에 의해서 지배되는 것과 대비되어 설명된다. |
타당도 妥當度 validity
|
1. 평가도구가 측정하려고 하는 대상의 내용 그 자체를 재고 있는 충실성 2. 그 평가에서 재고 있는 것이 무엇(what)이냐 라는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3. 예를 들면 추리력을 측정하려면 추리력을 측정해야지 기억력을 측정해서는 안 되며, 지능을 측정한다고 하면서 학력을 측정해서도 안 된다. 4. 이와 같은 타당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그 정도를 따진다. ⑴ 안면 타당도(顔面妥當度, face validity) : 검사의 구성내용으로 보아 그 검사가 두엇을 재고 있는지를 피검사자의 주관적 인상에 따라 기술하게 하는 방법 ⑵ 내용 타당도(內容妥當度, content validity) : 전문가가 그 검사와 관련된 정의 전제?가설 등을 기초로 하여 그 검사내용의 타당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방법 ⑶ 구인 타당도(構因妥當度, construct validity) : 측정대상의 속성에 따라 이론적 가설의 검증을 통하여 밝혀진 검사내용 및 득점에 관한 타당도 ⑷ 예언 타당도 (豫言妥當度, predictive validity) : 검사종료 후 상당한 기간이 경과한 후에 검사 득점과 그 검사에서 목적으로 하였던 행동특징과의 상관도를 보아 그 검사의 타당성을 문제 삼는 방법 |
타일러식 평가 ―式評價 Tylerian evaluation
|
1. 타일러(R. Tyler)가 제안하는 평가모형. 목표성취 모형이라고 하며, 그는 교육평가를 교수프로그램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나를 결정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2. 이러한 접근방법은 평가모형에 있어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며, 가장 많은 동조자를 갖고 있는 접근방법이다. 3. 타일러는 교육의 과정 ⑴ 교육목표의 선정 및 세분화 ⑵ 학습경험의 선정과 조직 ⑶ 교수-학습 과정의 투입 ⑷ 교육평가의 과정으로 모델화하였다. 4. 이러한 모델 내에서 교육평가는 교육의 전체과정과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이같은 맥락 속에서 교육평가의 역할과 기능을 정의하려는 것이 타일러의 입장이다. 5. 그런 의미에서 타일러의 모형은 교육과정 평가에 가깝다고 판단해도 무방하다. 6. 타일러는 일반적으로 교육목표를 학생, 사회, 교과목이라는 세 가지 목표자원에 기초하고 학습심리와 교육철학이라는 두 가지 목표의 여과기능을 통해서 상세히 진술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일로 제안한다. 7. 이같이 진술된 목표를 측정 가능한 목표로 변환시키고 교수프로그램이 끝날 때 위의 절차에 의해 설정한 목표의 성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를 측정한다. 8. 목표의 불성취는 교수프로그램의 부적합을 나타내며, 목표의 성취는 교수프로그램의 성공을 나타내는 증거로 간주한다. 이같은 의미에서 타일러식 평가방법을 목표성취 모형이라고 한다. |
탈목표평가 脫目標評價 goal-free evaluation
|
1. 처음부터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 교육정책이 어떤 목표로 시작했는지에 관한 지식과 정보 없이 여러 가지 평가 증거만을 수집해서 그 프로그램의 목표가 무엇이며, 그것이 제대로 성취되고 있는지, 그 가치는 무엇인지를 판단하는 평가 2. 평가자나 평가자 집단이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의 효과나 가치를 평가할 때는 자연히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모든 평가의 결과를 그 목표에 근거해서 판단하기 마련이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목표의 성취가 제대로 되었다고 보는 편견과 허위적인 합리성에 빠지게 되는 목표의거 평가(goal based evaluation)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이다. 3. 스크리븐(Scriven)에 의해서 주장되었으며, 그는 탈목표 평가의 개념은 교육평가 그 자체의 내재적 문제이기보다 어떤 교육정책, 교육과정, 교육프로그램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적용되어야 할 개념으로 제시한다. |
탈학교교육 脫學校敎育 deschooling
|
1. 1970년에 일리치(I. Illich)가 저술한 《탈학교의 사회》(Deschooling Society)에서 유래된 말 2. 일리치는 전통적 교육의 문제를 비판하고 탈학교교육을 제창했다. 3. 그는 현대 산업사회가 가지고 있는 여러 모순, 즉 비인간화?물량주의?소외(疏外)의 문제, 빈부의 격차, 그리고 그 격차를 조장하는 여러 사회제도를 분석하면서, 그 원인이 학교제도에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4. 일리치가 주장하는 탈학교교육은 단순히 학교교육을 폐지하자는 것은 아니며, 「빈곤의 극대화」,「사회의 양극화」 등, 학교제도로 야기된 현대문명의 모순을 비판하고 그것을 극복하여 우리 인간사회가 친화주의(親和主義)로 진보해야 한다는 방법론을 제시한 것이라 하겠다. 5. 일리치와 함께 라이머(E. Reimer), 홀트(J. Holt), 프레이리(P. Freire) 등은 오늘날 탈학교론자들로 유명하다. 6. 특히 라이머는 일리치와 함께 푸에르토리코 등지에서 교육사업에 투신하고 일리치와의 15년간 대화의 결실로 《학교는 죽었다》(School is Dead)라는 책을 별도로 저술하였다. 이 책에서 그는 오늘날 학교의 기능이 부자를 부자되게 하고, 권력을 가진 자로 하여금 계속 그 권력을 승계시키고, 가난한 자로 하여금 그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등 모순된 교육제도로 발전되고 있어 어떤 새로운 대안(代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탐구 探究 inquiry
|
1. 어떤 가설, 혹은 신념의 입증을 위하여 정보의 수집, 질문의 제기, 자료의 조사, 이론의 검토 등을 하는 행위. 2. 일반적으로 우리말의 탐구는 지식 혹은 이론의 획득이나 정립을 위한 지적 노력 그 자체나 그것에 수반되는 활동을 뜻한다. 3.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사실에 관한 정보 혹은 이론적 지식을 획득하기 위한 사실적-경험적 탐구, 사고의 명료화와 개념의 명확한 조작(操作)을 위한 형식적-논리적 탐구, 가치의 추구나 평가, 실천적 규범(혹은 원리)의 정립을 위한 규범적-평가적 탐구 등이 있다. |
탐구법 探究法 inquiry method
|
1. 진리, 정보 혹은 지식을 추구하는 방법 2. 이의 동의어로 문제해결?반성적(反省的) 사고 등이 있다. 3. 탐구의 이론적 배경은 발견(discovery)과 정당화(justification)를 통하여 볼 수 있으며, 전자는 문제해결 방안을 추리하고 수용하는 심리적 과정이고, 후자는 논증과 입증의 논리적 과정이다. 4. 탐구수업은 수업과정에서 학생들이 탐구를 경험하는 심리과정이나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학습조건, 그리고 학생들의 정당화 제시 여부에 관심을 기울인다. 5. 일반적인 탐구는 무엇을 탐구하였느냐의 결과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탐구수업에서의 탐구의 경우에는 상대적인 탐구로서 탐구과정에 관심을 기울여 학생들이 수업과정에서 탐구적 사고를 경험하였는가에 초점을 둔다. |
탐구수업 探究授業 inquiry instruction
|
1. 어떤 문제해결 또는 주제의 학습을 위해 교사가 학생들의 능동적 인 탐구행위를 크게 자극하는 수업형태. 2. 일반적으로 탐구학습과 동의어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수업기술(teaching technique)의 하나로서의 탐구법과, 교수계획(teaching procedure)으로서의 탐구수업은 구별해서 생각해야 할 것이다. 3. 탐구수업은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의 두 가지 측면을 구별하지 않은 채 교육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4. 탐구수업을 넓은 의미의 교수계획으로 본다면, 탐구법은 좁은 의미의 수업 기술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탐구수업이란 이념적인 것이며, 교육과정 구성이나 교수-학습 과정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원리라고 해야겠다. 5. 탐구수업을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연구형 수업방식(researchlike method)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교사들이 행하는 것과 똑같은 절차를 거쳐 결론에 도달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6. 일차자료(primary source)의 사용, 실험과 발견, 가설의 설정과 검증 등을 수업과정에서 과학화시키려는 이념이 탐구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7. 이러한 방법은 처음 과학교육에서 발전하였으나 점차 사회과에서도 활발히 연구되었고, 다른 교과에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태도 態度 attitude
|
1. 특정한 사물이나 인물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된 내재적(內在的) 상태 2.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정의(定義)되나 ① 행위 그 자체가 아니라 행위의도(行爲意圖)이며 ② 다양한 상황에서 태도 대상에 대한 개인적 반응(행위선택)의 일관성을 통해 추리될 수 있으며 ③ 경험을 통해 학습된다는 것이다. 3. 일반적으로 인지적?정의적?행동적 속성들로 구성된다. ⑴ 인지적 속성이란 어떤 태도대상에 대한 생각(아이디어, 또는 범주) ⑵ 정의적 속성은 그 대상에 대한 생각에 수반되는 감정(좋다 또는 싫다) ⑶ 행동적 속성은 그 대상에 대하여 어떤 행위를 하려는 의도(준비성)를 의미한다. 4. 예 ⑴ 인지적 속성 : 사람들은 처음 어떤 식물에 접할 때, 비타민 C가 많다든가, 또는 몸에 해로운 색소가 들어 있어 위생적이 못된다든가 하는 식으로 그 식품에 대한 생각을 갖는다. ⑵ 정의적 속성 : 이 생각은 그 식품을 좋아하거나 꺼려하는 감정을 쉽게 수반하게 된다 ⑶ 행동적 속성 : 이러한 그 식품에 대한 생각과 감정은 그것을 사거나 먹지 않는 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행위의도와 연결된다. |
태도교육 態度敎育 attitude education
|
1. 인간의 태도를 계획적으로 변화시키는 활동 2. 태도의 계획적 변화과정은 세 단계로 구분된다. ⑴ 무슨 태도를 가르칠 것인가 하는 태도교육 목표의 설정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내재적 상태로서의 태도를 그 학습지도 및 평가에 구체적인 시사를 줄 수 있도록 정의?분류?진술한다. ⑵ 설정된 태도를 가르치는 학습지도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태도학습의 내적 과정을 밝히고, 이 과정을 지원하고 촉진시킬 외적 조건을 설정하는 교수설계(敎授設計) 및 활동이 전개된다. 태도교수(態度敎授)에 관한 이론은 사회과학에서 주로 다루는 태도변화이론에서 도입될 수 있다. 대표적 이론으로 균형이론?불협화이론?기능이론?행동이론?모델링(modeling)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⑶ 학습된 태도를 의미 있고 타당하게 확인하는 평가의 단계이다. 여기서는 교수과정을 통해서 학습자의 태도가 목표에 비추어 얼마나 학습되었는가를 신뢰 있고 타당하게 평가한다. 3. 학습성과로서의 태도가 영향을 줄 구체적 행위의 진술과 이 행위가 나타날 다양한 상황을 확인하여 정리한 이원분류표(二元分流表)의 작성은 효과적인 태도평가의 설계도 구실을 할 수 있다. |
태학 太學
|
1. 고구려 소수림왕 2(372)년에 세운 관학(官學)으로서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먼저 세워진 유학대학. 2. 우리나라 교육사에서 학교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사로서 《삼국사기》에 고구려 소수림왕 2년 6월에 왕은 "태학을 설립하고 자제를 교육하였다"라고 하였으며, 이로써 우리나라의 관학의 설립은 서기 372년에 기원한다. 3. 비록 고구려가 그 건국의 오래됨에 비하여 학교의 설립은 늦었다고 하겠으나, 이 태학은 중국에서 일어난 고대 왕조의 학교를 제외하고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학교였다. 4. 그런데 아쉬운 점은 태학의 이념과 학제, 그리고 교육내용 등에 관한 기록이 없다는 것이다. 5. 다만 고구려가 국초부터 중국 문화의 영향을 받아 문자를 사용하고 책을 편찬하며 율령(律令)을 반포한 일련의 역사적 사실로 미루어 보아 그 교과내용을 당시의 중국에서처럼 오경(五經)과 삼사(三史)로 하였으리라고 본다. ? 경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