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현양식 表現樣式 modes of representation
|
1. 브루너(J. S. Bruner)가 「지식의 구조」 내지 그것을 가르치는 방법상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에 사용한 개념. 2. 브루너에 의하면 지식의 구조는 세 가지 상이한 양식으로 표현된다. ⑴ 신체적 동작으로(작동적 표현양식) ⑵ 개념을 대체적으로 설명하는 그림이나 모형으로(영상적 표현양식) ⑶ 개념을 완벽하게 정의하는 글이나 그 밖의 상징으로(상징적 표현양식) 표현된다. 3. 예컨대 <힘×거리=힘'×거리‘>라는 「상징」으로 표현되는 지렛대의 원리는 천칭(天秤)이나 도해(圖解, 영상) 또는 시소를 타는 동작(작동)으로도 표현되는 것이다. 4. 이 표현양식은 아동의 지적(知的) 발달단계를 따르고 있으며 각각의 발달단계에는 그것에 상응(相應)하는 표현양식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5. 그리하여 아동의 발달단계에 알맞은 양식으로 지식의 구조를 표현하면 그 아동은 그 지식의 구조를 파악하게 된다는 주장이 성립된다. 6. 이 세 가지 표현양식은 피아제(J. Piaget)의 지적 발달 단계와 상응한다고 보는 견해가 있으나, 피아제 자신은 여기에 대하여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 ? 나선형 교육과정 |
프로그램 수업 ―授業 programmed instruction
|
1. 하나의 주어진 학습과제의 내용을 작은 분절(分節)로 구조화하여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나 학습 목표에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제작한 개별 학습의 한 형태 2. 1926년 프레시(L. Pressy)에 의해 처음으로 고안된 교수기계(teaching machine)가 출발점이 되어 발전된 수업형태이다. 3. 프로그램 수업은 스키너(B. F. Skinner)식의 직선형(linear type)과 크라우더(N. A. Crowder)식인 분지형(分枝型, branching type)의 둘로 크게 나누어진다. 4. 어느 유형이건 기본적으로 강화이론(强化理論)에 바탕을 둔 수업방식이다. 5. 프로그램 수업이 가지는 대표적 특징 ⑴ 아동의 적극적 반응을 유도하며 ⑵ 아동이 행한 반응에 대해 즉각적으로 피드 백(feedback)해 주며, ⑶ 아동이 각자 자기 속도에 맞추어 학습할 수 있도록 스몰스텝(Small Step)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6. 프로그램 수업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도 프로그램 작성상의 질(質)에 달려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교과전문가?교육과정 전문가?수업전문가?교육공학 전문가?관련교사 등의 협동적 참여가 요청된다. 7. 프로그램 수업은 학교 교사 없이 학생이 자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교사의 지도하에 보충 또는 심화(深化) 자료로 이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 교수기계 |
프롤레타리아 [독] Proletariat [프] proletaire
|
1. 임금노동자 계급. 고대 로마의 프롤레타리우스(proletarius), 즉 정치적 권리나 병역의무도 없고 어린이(proles)만 낳는 무산자(無産者)라는 뜻에서 파생된 말이다. 2. 마르크스(K. Marx)는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자본축적은 프롤레타리아의 양적 축적을 가져오며 그들의 절대적 빈곤화를 촉진시킨다고 보았다. 3. 그러나 컴퓨터와 오토메이션의 발달은 임금노동자를 감축시키며, 사회복지 정책은 임금노동자들의 절대적 빈곤을 수정?교정하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
플라우든 보고서 ―報告書 Plowden Report
|
1. 1967년 영국에서 25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중앙교육 심의위원회 (Central Advisory Council for Education) 의장인 플라우든(B. Plowden)이 정부의 요청으로 자국의 초등교육을 진단하여 발표한 보고서 2. 가정교육의 역할, 가정과 유아학교 교육과의 연계성, 유아학교와 초등학교 교육과의 연계성을 밝혔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들을 위한 유아교육 기회의 확대를 명백히 한 것으로서 유명하다. 3. 가정환경이 실조(失調)되어 혜택을 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을 우선적으로 교육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4. 이 보고서의 발표 이후 영국 유아교육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으며 영국 정부가 유아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데 시발점을 마련하였다. |
피그말리온 효과 ―效果 Pygmalion effect
|
1. 사람은 진실된 자신보다 남으로부터 기대받는 모습대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을 비유한 말 2.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키프로스 섬의 왕 피그말리온(Pygmalion)이 상아로 만든 여상(女像)을 사랑하고 있는데 미(美)와 사랑의 여신인 아프로디테(Aphrodite)가 거기에 생명을 불어넣어 아내로 삼게 했다는 전설에서 빌어왔다. 3. 이 말은 학교교육이나 생산활동에서 교사나 책임자가 기대하는 대로 학생과 직공은 능률을 발휘하게 된다는 자기충족적 예언(自己充足的豫言)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4. 학생들에 대한 기본적 신뢰, 학생의 능력에 대한 가능성을 믿지 않고서는 좋은 교육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밝혀주고 있다. ? 자성예언 |
피드백 feedback
|
1. 커뮤니케이션, 즉 교신(交信)에 있어서 송신자가 메시지를 보내고 수신자가 이를 받은 다음에 수신자가 받은 영향?인상 등을 토대로 송신자에게 다시 보내는 메시지의 환류(還流). 또한 체제모형에서 투입-과정-산출의 과정을 거친 다음 환경에서 산출의 결과를 평가하여 반영하는 형식으로 재투입(再投入)되는 과정을 역시 피드백이라 한다. 2. 피드백은 평가와 재투입의 과정이며 개방된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이나 개방된 체제(교육체제 포함)로 하여금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유지 발전시킬 수 있게 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3. 교사는 학생으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하여 그의 학습지도 방법에 수정을 가하여야 하며 교육정책 수립자는 교육정책의 영향을 직접간접으로 받는 교원?학생?학부모들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하여 정책의 적합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認知發達理論 Piaget'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
1. 스위스의 심리학자 피아제(J. Piaget)가 주장한 인간의 인지발달에 대한 이론 2. 피아제는 인간의 지적 행동을 환경에 대한 순응(順應)이라고 보았으며, 이 순응은 동화(同化, assimilation)와 조절(調節, accommodation)이라는 두 가지의 보충적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했다. 3.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체계화되어서 인간의 행동에 의미를 주게되는 지능의 여러 측면을 구조(構造, structure)라고 부르는데 구조는 처음에 도식(圖式, schema)으로 구성되어 있다가 후에는 점점 더 복잡한 체제들로 체계화된 조작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4. 이렇게 구조가 변화?발달되어 가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 피아제의 아동의 지적 발달에 관한 이론이다. 5. 피아제는 지적 발달은 두 가지 성숙단계를 거쳐 발달되는 것이라 하였다. 첫째 단계는 출생해서 약 2세까지로 이때의 지능을 감각 운동적 지능이라고 보았고, 둘째 단계는 2세 이후의 지능으로 이를 개념적 지능이라고 했다. 6. 인지발달의 단계는 감각운동기(感覺運動期, sensori motor stage), 전조작기(前操作期, preoperational stage), 구체적 조작기(具體的操作期, concrete operational stage), 형식적 조작기(形式的操作期, formal operational stage)의 4가지 주요단계로 나뉜다. ? 동화, 조절, 순응 |
필름 스트립 film strip
|
1. 수십 화면에 이르는 사진이나 그림을 한 필름에 구성?수록하여 어느 정도 간추려진 서술을 하고자 한 슬라이드 2. 로울 슬라이드라고도 한다. 3. 필름 스트립이란 필름의 기다란 토막이라는 의미이며, 외국 여러 나라에서는 35mm 필름의 싱글 프레임을 채용하고 있는 곳이 많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더블 프레임이 쓰이고 있다. 4. 필름 스트립은 스토리 구성을 지닌 작품이나 기술지도용 작품에 적합한 수법이다. |
필요조건 必要條件 necessary condition
|
1. 두 개의 명제(命題) 혹은 두 개 이상의 사건들에 관해서 어느 하나를 옳다고 주장하지 않으면 다른 하나를 주장할 수 없을 때, 후자에 대한 조건으로 전자를 일컫는 말 2. 다시 말하면 명제 p가 참 [眞]이 아니라면 q도 참이 아닐 때 또는 사건 p가 일어나지 않으면 q도 일어나지 않을 때, p는 q의 필요조건이다. 3. 전자를 논리적 필요조건이라 하고 후자를 인과론적 필요조건이라 한다. 4. 예를 들어, "김씨는 남자이다"는 "김씨는 아버지이다"의 논리적 필요조건이고, "물기가 있다"는 "소금이 녹는다"의 인과론적 필요조건이다. |
하위개념 下位槪念 subordinate concept
|
1. 같은 부류(部類)의 대상이 공통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속성의 추상화가 개념(concept)이라 할 때 이 개념의 범주에 속하면서 이 범주 내의 다른 대상과 구별되는 속성을 가진 개념 2. 예컨대, 세 변이 세 각을 이루고 있으면서 이 세 내각의 합이 180°인 도형을「삼각형」이라고 개념화한다면 이러한 속성을 같이 공유(共有)하면서도 정삼각형?직각삼각형?이등변삼각형?예각삼각형?둔각삼각형 등은 서로 다른 특성(속성)을 보이고 있다. 3. 이때 이들 각 삼각형은 삼각형의 하위개념이 된다. 또한 참새?비둘기?꿩은 「새」에 대한 하위개념이 된다. ? 상위 개념 |
하위체제 下位體制 subsystem
|
1. 체제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 또는 체제 속에 속해있는 하위의 체계 2. 어떤 체제 내부를 분석적으로 파악하면 대개의 체제는 몇 개의 하위 체제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3. 예컨대 학교제도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회환경 안에서 존재하고 운영되므로 사회체제의 하위체제라고 할 수 있다. ? 상위체제 |
하이퍼미디어 hypermedia
|
하이퍼텍스트의 원리를 언어적인 텍스트 정보에 한정하지 않고, 그림, 동작, 소리 등에까지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매체 ?하이퍼텍스트, 다중매체 |
하이퍼텍스트 hypertext
|
1. 컴퓨터를 통하여 저장된 정보를 학습자가 자신의 필요와 관심 및 인지 스타일에 따라 자유롭게 검색하도록 도와주는 비순차적 텍스트의 전개 원리 2. 하이퍼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텍스트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3. 전통적인 텍스트는 책의 형태를 띠건 컴퓨터의 데이타베이스에 있건 모두 순차적으로 되어 있다. 4. 즉 텍스트가 읽히는 순서를 결정하는 단 한 개의 선형적 순차가 전제되어 있다. 첫째 페이지를 읽고, 둘째 페이지를 읽고 .... 하는 식이다. 5. 하이퍼텍스트는 비순차적이다. 6. 텍스트가 읽히는 순서가 결정되어 있지 않다. 7. 아래의 그림은 하이퍼텍스트의 원리를 보여주는 간단한 구조의 예이다. 독자들은 A의 특정 부분을 읽다가 B로 가거나 D로 가거나 E로 가거나 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그림에서 한 개의 페이지처럼 보이는 정보단위를 노드(node)라고 하고 점으로 서로 연결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연결점을 링크(link)라고 한다. [그림] 여섯 개의 노드와 아홉 개의 링크로 이루어진 하이퍼텍스트 구조 8. 이는 연결점을 링크(link)라고 한다. 9. 더 기술적으로 정의하면 하이퍼텍스트는 노드와 링크를 단위로 하는 정보의 구조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10. 하이퍼텍스트는 그 구조화의 종류에 따라 노드연결형 하이퍼텍스트, 구조화된 하이퍼텍스트, 위계적 하이퍼텍스트로 분류된다. |
학교경영 學校經營 school management
|
1. 어떤 학교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적(人的)?물적 자원과 기술?정보의 활용을 조정?통합하는 활동과정 2. 학교경영에서는 수업의 원칙이나 준거에 따라 교육과정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가를 고려하면서 학교경영의 계획?조직?운영?평가를 포함하는 일련의 과정을 다룬다. 3. 이에 따라 학교경영은 대체로 학교의 교육목표 내지 경영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학교 체제내의 제반 인적?물적 자원 및 기술?정보를 확보하여, 그것을 계획?조직?조정?통할(統轄)하는 일련의 활동과정을 의미한다. 4. 이러한 활동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획(planning)?실천(implementing)?통할(controlling)의 과정을 포함한다. 5. 그러므로 학교경영은 학교관리나 학교운영과는 그 의미가 다르다. 6. 학교관리가 교육법규의 해석적(解釋的) 입장에서 교육이 집행되어 온 것이라면 학교운영은 교육계획이 실천되는 한 과정만을 언급한 것이다. 7. 여기에 비하여 학교경영은 교육목적의 달성과정 전반을 포괄한 것이기 때문에 그 의미는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
학교경영 목표 學校經營目標
|
1.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어야 할 경영상의 기본 방향 2. 이것은 경영활동(經營活動)이나 결정이 합리적인가를 판단케 하며 아울러 경영성과의 측정과 평가의 기준이 된다. 3. 학교교육 목표는 상위목표로부터 추출된 학생들에게서 길러져야 할 인간상 내지 행동특성이 종합적으로 제시되는 것이다. 4. 경영목표는 이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학교의 전체적 혹은 각 부문의 활동을 이끌어가기 위한 표적이 되는 것으로서 학교장과 교사 및 사무직원들의 노력을 체제적(體制的)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5. 따라서 경영목표는 학교의 교육목표를 근거로 그 학교의 실정에 맞추어 경영이 가능한 활동의 방향을 추출한 것이 된다. 6. 학교의 경영상의 목표는 교과지도?특별활동 및 생활지도를 포함하는 교육과정 관리와 이를 지원?통제하는 지원조건(支援條件) 관리로 나누어 설정된다. 7. 이 경영목표는 경영체제의 전 영역을 망라한 것이어야 하고 구체적이며 계량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 학교경영의 각 영역별로 경영목표가 설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9. 경영목표를 설정한다는 것은 그 영역의 경영에 강조를 둔다는 것을 의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