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이조설 形態移調說
|
1. 주로 형태심리학자들의 전이설(轉移說)로서 어떤 장면 또는 학습 자료의 역학적 관계가 발견되거나 이해될 때 그것이 다른 장면이나 학습 자료에 전이된다는 주장 2. 즉, 제일학습(第一學習)과 제이학습 간에 전이가 일어나는 학습상황에는 무엇인가 공통성이 존재하는데 그 공통성은 두 학습 자료의 단편적인 요소가 아니라 형태, 자극포치상황(刺戟布置狀況) 또는 그 자료내의 계관성에 공통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기억된 내용보다는 이해된 내용이 보다 쉽게 전이된다는 주장이다. ? 전이 |
호오손 실험 ―實驗 Hawthorn experiment
|
1. 미국 시카고 교외의 서부 전기회사(Western Electric Company) 호오손 공장에서 하버드 대학의 메이요(A. Mayo)와 뢰슬리스버거(Roethlisberger) 교수의 지도와 협력 아래 1924년부터 1932년까지 8년간에 걸쳐 행해졌던 일련의 실험활동 2. 여기서는 조명실험(照明實驗)?계전기(繼電器) 조립실험?뱅크 배선(配線) 실험 등이 행해졌다. 호오손 실험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간추려볼 수 있다. ⑴ 모든 조직에는 비공식적인 인간관계가 존재하여 공식적인 권한의 명령체계보다 작업의 습성이나 태도에 대하여 작용을 미친다. ⑵ 대규모의 조직은 소단위(小單位)로 결합되기 쉬운 다수의 작업집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⑶ 조직 전체를 구성하는 작업집단 사이의 상관성(相關性)에 대하여 민감한 지각을 가지는 기능은 감독자가 틈틈이 살필 일이 아니라 최고 관리층이 전력을 바칠 만한 가치가 있는 일이다. 3. 호오손 실험의 성과로는 조직을 감정의 요인이 들어 있는 인간 협동체계로 파악하게 되고, 작업집단의 생산량을 물적 환경의 함수가 아니라 작업집단에 있어서의 사회적 행동의 한 형태로서 보게 되었다는 점이다. 4. 또한 관리자는 협동체계 속에 존재하는 사회적 가치를 지탱할 수 있는 균형조건을 유지하는 기능을 통하여 사기(士氣)의 수호자 혹은 보전자가 되며 이러한 의미에 있어서만 관리자는 권한을 갖게 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실험자 효과 |
혼자 놀이 solitary play
|
2, 3세 어린이에게 흔히 볼 수 있는 놀이의 형태로, 그림 맞추기?그림책 보기?인형 놀이?적목 쌓 기?기차 놀이?자동차 놀이?악기 다루기 등의 놀이를 주위에서 일어나는 사실과 무관하게 혼자 하는 것 |
혼합모형 混合模型 mixed scanning model of decision-making
|
1. 에치오니(Amitai Etzioni)에 의하여 제안된 의사결정 모형 2. 에치오니는 합리성 모형의 지나친 이상주의, 비현실적 성격과 점증적 모형의 과도한 보수주의, 비혁신적 성격을 비판하고 양자를 절충한 혼합 모형을 제시하였다. 3. 즉 기상 위성을 활용하는 범세계적인 기상체제를 구축함에 있어서 합리주의적 접근법에 의하면 세밀한 관찰이 가능한 카메라를 사용해서 가능한 한 자주 하늘 전체를 샅샅이 훑어야 할 것이며, 점증주의적 접근법에 의하면, 가장 최근에 또 아마도 가장 인접지역에서 유사한 기상 양상이 전개되고 있는 지역에만 초점을 둔 나머지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4. 혼합 모형이란 세밀하지는 않지만 하늘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카메라와 이 카메라에 의해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요하는 것으로 밝혀진 지역에만 초점을 맞출 또 하나의 카메라를 활용하는 것이다. 5. 그 결과, 혼합 모형은 합리성 모형에 의한 상세한 관찰이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줄 수 있는 지역들은 놓칠 수도 있겠지만, 대신에 점증주의적 모형에 비하여 친숙하지 않은 지역에서의 문제 지점을 놓칠 가능성은 줄어들 것이라고 주장한다. 6. 따라서 합리적 접근방법에서는 넓은 영역을 빠짐없이 면밀하게 탐색하려고 하고, 점증적 접근방법에서는 처음부터 좁은 영역에만 주의를 한정하려고 하는 데 비해, 혼합 모형의 전략은 특정한 의사결정에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넓은 영역을 개괄적으로 탐색하고, 그 가운데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좁은 영역을 골라 다시 면밀하게 탐색하는 것이다. |
홈 스타아트 Home Start
|
1. 헤드 스타아트(Head Start) 프로그램의 실시 결과 부모가 아동의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높아지게 됨으로써 헤드 스타아트 프로그램의 부속으로 1972년 4월에 미국 아동발달국에서 만든 프로그램 2. 훈련된 가정방문자가 부모들과 함께 일하면서 그들의 자녀를 스스로 교육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아동과 가족을 위한 포괄적인 아동발달 프로그램이다. 3. 프로그램의 효율성은 「방문 간호원」 역할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 가정 방문자의 능력에 달려 있다. 4. 가정방문자는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직업적인 교사보다는 각 지역사회 안에서 그 문화권을 잘 이해할 수 있는 부모로부터 선발되어 약 3, 4주에 걸친 훈련을 통해서 양성되며 계속적인 현장교육을 받게 된다. ? 헤드 스타아트 |
화랑도 花郞徒
|
1. 상고시대 삼한에 공존했던 민간주도의 촌락공동체적 청년조직을 신라 진흥왕이 율령관인(律令官人)과 무관의 수요를 충당키 위해 교육체제로 제도화한 관 주도의 청소년 수련단체. 일명 국선도, 풍월도, 원화도, 풍류도라고도 한다. 2. 원래 솟대제단의 수호자들이던 화랑도는 사회생활의 규범과 전투원으로서의 실력을 갖추기 위해 교양을 쌓고 심신을 단련했다. 3. 그들은 사회중심 인물로서 전통을 존중하고 협동정신과 신의(信義), 용감성을 배양하는 데에 수련의 목적을 두었다. 4. 이러한 기풍은 고구려와 백제에도 있었으나 신라에서 가장 왕성했다. 5. 신라가 화랑도를 체계화한 것은 기록상 진흥왕 37(576)년으로 되어 있으나, 원화인 두 여인 남모와 준정의 사건 이후 귀족출신의 자제 중 품행이 곧고 얼굴이 아름다운 남자를 국선으로 뽑았고, 진흥왕23(562)년에는 화랑 사다함이 대야성을 공격하여 큰 공을 세운 기록이 있음을 보아, 화랑도는 이미 진흥왕 초에 체계화된 것으로 보인다. 6. 초기의 화랑도는 화랑과 낭도로 조직되어 있었으나, 관주도하에 편입된 후에는 총지휘자에 국선을 두고 화랑과 낭도를 소속시키는 조직으로 개편되었다. 7. 화랑도의 가장 중요한 수양방식은 서로 도의(道義)를 닦는 것, 시와 음악을 즐기는 것, 명산과 대천(大川)을 두루 찾아 다니며 즐기는 것 등으로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의 양성과 상무(尙武)의 정신을 고취하는 것이었다. 8. 이러한 조직과 수양을 통하여 화랑도는 위로는 국가를 위하고 아래로는 벗을 위하여 죽으며, 대의(大義)를 존중하여 의에 어긋나는 일은 죽음으로써 항거하고, 병석에서 죽는 것을 꺼리고 국가를 위하여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함을 찬양하며, 오직 앞으로 나갈 뿐 뒤로 물러섬을 부끄럽게 여겨 적에 패하면 자결할망정 포로됨을 수치로 아는 등 장렬한 기백과 씩씩한 기상을 함양하였다. 9. 이러한 기품은 유?불?선 정신과 결합되어 원광법사의 세속오계와 삼덕(三德)으로 신조화되었다. 10. 세속오계 ⑴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기라 ⑵ 효도로써 부모를 섬기라 ⑶ 믿음으로써 벗을 사귀라 ⑷ 싸움에 물러나지 말라 ⑸ 함부로 죽이지 말라는 내용이며 삼덕은 겸허, 검소, 순후(淳厚)이다. 11. 이러한 정신은 삼국통일의 용감한 투사를 양성하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 인물이 김유신, 김흠춘, 죽지, 사다함, 관창, 원술, 비령자 등이다. 12. 성덕왕때 김대문은 《화랑세기》(花郞世記)에 200명의 화랑을 추려 싣고 그 훌륭한 업적을 기술하고 있다. 13. 화랑도는 진흥왕 이후 문무왕에 이르는 동안 가장 융성하였으나, 통일 후에는 정신적인 해이와 안일, 퇴폐사상의 만연으로 화랑정신이 약화되었다. 14. 그러나 그 정신은 고려조와 조선조에 면면히 이어져서 국가 유사시에는 호국, 애국, 독립, 구국정신으로 민족의 피 속에 존속되어 오고 있다. |
확률적 표집 確率的標集 probability sampling
|
1. 전집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또는 사례)들로부터 한 주어진 요소의 선정 또는 제외가 확률적 방법의 적용이 가능한 방향으로 설계되고 표집됨으로써 한 특정한 요소를 선정할 확률을 알 수 있는 표집방법 2. 주어진 표집을 얻을 확률을 객관적으로 규정지을 수 있는 표집방법이므로 이를 흔히 객관적 표집방법이라고도 한다. 3. 이에 대해서 전문가의 주관적 입장에서, 또는 편의에 의해서 임의로 선정된 표집을 주관적 표집방법이라 부르며, 이 경우에는 주어진 표집을 얻을 확률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없게 된다. 3. 확률적 표집방법에는 무선표집?유층표집?군집표집이 있으며 이 외에 체계적 표집방법이 있다. ? 무선표집, 유층표집, 군집표집, 비확률적 표집 |
확산적 타당도 擴散的妥當度 divergent validity
|
1. 한 검사의 구인타당도에 관한 한 증거 2. 한 검사가 동일한 구성개념(construct)을 측정하고 있는 다른 검사들과는 높은 상관을 가지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어떤 다른 종류의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는 검사들과는 상관이 낮거나 없다는 것은 주어진 검사의 구인타당도의 증거가 된다. 3. 캠벨(N. R. Campbell)은 구인타당도 증거에 관한 두 분류, 즉 수렴적 타당도와 확산적 타당도로 나누고 있다. 4. 이것을 때로는 변별적 타당도라고도 부른다. 5. 예를 들면 창의성을 측정하고 있다는 검사는 다른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는 지능검사와는 상관이 없어야 하며 만약 상관이 있는 경우에는 그 검사를 창의성을 재고 있는 검사로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6. 다시 말하면 타당한 검사란 다른 기존하고 있는 구성개념과 독립적인 다른 구성개념을 측정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중다특성-중다방법 접근 |
환경교육 環境敎育 environment education
|
1. 환경에 관한(about), 환경 내의(in) 또는 환경을 통한(through), 환경을 위한(for) 교육 2. 즉, 개인이나 집단이 인류의 생존과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며, 환경보존과 사회정의를 위한 가치와 태도를 개발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실천기술을 함양하는 교육 활동이다. 3. 환경교육의 시급성과 실천을 위한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지게 된 것은 1968년 유엔총회에서 발의되어 1972년 6월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국제환경회의」를 통해서 이며, 그 후 1975년 「국제환경교육 워크샵」(유고의 벨그라드), 1977년 「국제환경교육회의」 (구 소련, 트리빌 시), 1987년 「환경교육 및 훈련에 관한 국제회의」 (구 소련, 모스크바), 1992년 「환경과 개발을 위한 지구 정상 회담」 (브라질, 리우) 등 환경문제와 교육에 관한 일련의 국제적 모임이 개최되었다. 4. 이러한 회의결과, 스톡홀름 회의에서는 ① 6월 5일을 세계환경의 날로 제정하고 ② 세계 환경문제의 담당기구로 유엔환경계획(UNDP)이 결성되고 ③ 인간 환경권의 선언 및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109개 조항의 실천계획이 채택되었다. 5. 트리빌 시 회의에서는 환경교육선언이 채택되었으며, 그 후 UNESCO와 UNDP의 주도하에 환경교육의 실시를 위한 여러 권의 모듈들이 개발되었다. 6. 환경교육은 다학문적인 접근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도모하는데, 그 과정은 평생교육의 과정이며 미래지향적인 성격을 갖는다. 7.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환경교육은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관점간, 지식과 실천간, 전문성과 일반성간, 현실과 이상간의 균형적 개념이 수반되지 않으면, 그 목적을 올바로 달성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
활동중심 교육과정 活動中心敎育課程 activity-oriented curriculum
|
1. 협동적인 집단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북돋워 주려고 하는 교수형태 2. 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협동적으로 계획하고, 조사하고, 평가하는 데 요구되는 태도와 기능을 집단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기르는 동시에,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시민이 되게 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3.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은 민주적인 생활의 기본원칙을 설정하고 실천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학습활동을 계획하고 전개하는 데에 참여하는 일이다. 4. 활동중심 교육과정은 한마디로 말해서 아동중심 교육을 뜻하는 것이다. 5. 그리하여 전통적인 교과를 초월하여 경험을 통한 어린이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회피-회피갈등 回避回避葛藤 avoidance-avoidance conflict
|
둘 또는 셋 이상의 동기나 목표가 모두 부정적 유인가(誘引價)를 지니고 있을 때 그 중에서 어떤 하나를 선택할 필요가 있으나 선택할 수 없음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상태 ? 접근-접근갈등, 접 근-회피갈등 |
후광효과 後光效果 halo effect
|
1. 평정자(評定者)가 피평정자(被評定者)나 학생의 어떤 특성에 관해서 평정할 때 학생이 주는 일반적인 인상이 평정에 주는 영향 2. 이러한 영향은 얻어진 평정결과를 사실 이상으로 과대 또는 과소평가하게 된다. 3. 예 : ⑴ 학생의 어떤 특성에 대해 평정하고자 할 때 그 학생의 용모가 단정하거나 또는 사교적이라면 이러한 인상이 주어진 특성에 대한 평정에 부당하게 좋은 평정점수를 줄 수 있다. ⑵ 논문식 시험에서 학생의 글씨가 깨끗하지 않은 경우에 이것이 점수에 나쁜 영향을 줄 수가 있다. 4.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특성을 재어준다고 생각되는 평정척(評定尺)간에 지나치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면 일단 이러한 후광효과의 여부를 의심해야 할 것이다. 5. 후광효과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평정하고자 하는 각 특성에 대해서 각기 다른 평정자를 사용하고 피평정자에 대해서 일반적인 사전정보를 갖지 않은 외부의 평정자를 활용한다. 6. 또한, 막연히 일반적인 「지도성」의 평정보다는 주어진 특성을 보다 세분하여, 집단토의에서의 주도적 역할, 주어진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의 제시, 동료가 그의 조언을 구하는 정도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 평정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 인상에 의한 평정보다 더 정밀하고 객관적인 평정이 될 수 있다. ? 평정법 |
훈고학 訓?學
|
1. 고어(古語)의 해석을 다루는 고전문헌학 2. 훈고(訓?)?고훈(?訓)이라고도 한다. 3. 고전 해석상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학문적으로 정착된 것은 중국의 한(漢)나라 때부터이다. 후한(後漢) 때, 정 현(鄭玄)에 의하여 대부분의 경서(經書)에 대한 훈고가 집성되었는데 당(唐)나라의 오경정의(五經正義)가 성립될 때까지 훈고학의 학풍은 계속되었다. 청(淸) 나라 때에 이르러 학풍이 일신되어 종래의 고어에 대한 자구(字句) 해석에만 만족하지 않고 고대언어 연구의 비판적인 새로운 방법론을 전개시켰다. 이리하여 청대(淸代)의 학문을 고증학(考證學)이라고 부르는 데 대하여 한(漢)?당(唐)의 그것을 훈고학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게 되었다. |
훈장 訓長
|
1. 서당(書堂)의 스승 2. 학식의 표준은 일정하지 않아 강독(講讀)으로는 경사(經史)?백가(百家)를 통하는 실력 있는 훈장은 드물었고, 주석(註釋)과 언해(諺解)를 참고하여 가며 겨우 경서의 문장 뜻이나 해득할 정도가 많았다. 3. 벽촌의 훈장은 한문자의 활용조차 제대로 할 줄 모르는 저열한 훈장도 많았으며, 제술(製述)로는 표(表)?책(策)?기(記)?명(銘)의 글을 짓고, 시(詩)?율(律)의 골수를 아는 이가 드물었다. 4. 사율(四律)이나 짓고 십팔구시(十八句詩)나 읊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궁한 고을의 훈장은 제술을 모르는 자가 많았다. |
흥미 興味 interest
|
1. 어떤 대상 활동?경험 등에 대해서 계속적으로 그것에 몰두하거나 아니면 그것을 그만두려고 하는 행동 경향 2. 이는 그 강도(强度)가 사람마다 제각기 다른 것이 특징이다. 3. 학습이나 작업 등은 그에 대한 개인의 흥미가 있을 때에 자발적 동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흥미가 없을 때에는 학습이나 작업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연구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4. 흥미는 그 대상에 따라서 음악?미술?정치?경제?기술?자연과학?종교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흥미를 측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심리검사가 발달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