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이의 흥미에 따라 장난감?교구?학습 자료를 기능적으로 분류해 놓는 장소를 통틀어 일컫는 말 2. 유아교육(幼兒敎育)에서 이러한 코너는 주로 적목(積木) 코너?장난감 코너?독서 코너?음악 코너?소꿉놀이 코너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코너들은 융통성 있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늘 매력적이고 질서 있게 꾸며진다.까지 훈고학의 학풍은 계속되었다. 청(淸) 나라 때에 이르러 학풍이 일신되어 종래의 고어에 대한 자구(字句) 해석에만 만족하지 않고 고대언어 연구의 비판적인 새로운 방법론을 전개시켰다. 이리하여 청대(淸代)의 학문을 고증학(考證學)이라고 부르는 데 대하여 한?당(漢唐)의 그것을 훈고학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게 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