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교육과정
|
1. 전통적인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 취하고 있는 학문 간의 구분에 따른 교육과 조직 방식을 벗어나 학습자의 실제 생활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편의에 따라 서로 관련을 맺는 몇 가지의 교과들을 영역별로 묶어주는, 생활적응 교육에서 강조하는 교과 조직방식의 한 형태 2. 교육과정 「유형」에 따른 조직형태의 측면에서 볼 때에는 「교과형」과 「경험형」양자가 동통으로 가지는, 교과의 벽을 무너뜨리는 조직형태라 할 수 있다. 3. 일반적으로 경험형 조직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
교과
|
1. 교육내용을 학교 교육의 목적에 맞게 조직해 놓은 묶음을 말한다. 2. 교과는 전통적으로 학교에서 가르쳐 오던 교육내용을 뜻한다. 3. 교과는 교육내용을 나타내므로 ‘경험’이나 ‘학문’과 대비된다. |
교과교육
|
1. 교육활동 중에서 생활지도나 특별활동과 구분되는 부분을 가리킨다. 2. 우리나라에서는 교과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교과의 종류를 ‘교육과정령’으로 정해두고, 지정된 시간만큼 이수하도록 하는 교육활동이다. 3. 교육과정령이 지정하고 있는 교과는 예체능교과, 기술교과(실과, 기술, 가정), 주지교과로 구분된다. |
교과서
|
1.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한 학교교육의 주된 교재로서 가르치는 데 사용되는 학생용 또는 교사용 도서이다. 2. 교사는 교과서를 매개체로 삼아 학생을 지도하며, 학생들은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학습재료로 삼게 된다. 3. 우리나라의 교과서는 종전에 국정교과서·검인정교과서로 구분해 왔는데 현재는 일종도서·이종도서로 구분해 편찬되고 있다. |
교과서 검인정 제도
|
1. 교과서로의 적합성 판정, 지나친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 방지에 목적을 두고 합격 책의 수효를 제한하는 제도 2. 검정제도는 교과서에 적용되고, 인정제도는 교과서 이외 교재로, 시청각 교재·괘도 등에 적용된다. 3. 검정 심사기준 ⑴ 일반적 기준(국시 위반여부, 교육과정 목표 달성여부) ⑵ 내용상의 기준(편차성·정확성·조직의 체계와 균형 등) ⑶ 편찬상의 기준(학습자료·삽화·인쇄 등) |
교과용 도서
|
1. 일반적으로 교과서라고 호칭하는 책에 대한 법률적 용어 2. 해방이후 교과용 도서를 국정·검정·인정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으나 1977년에 일종과 이종 도서의 두 가지로 나누었다. 3. 교과용 도서는 일차적으로 교과서를 지칭하나 국어과의 보충적 기능을 갖는 읽기자료도 넓은 의미의 교과용 도서에 속한다. 배움책, 악곡집도 이에 포함시킬 수 있다. 4. 1과목 1책주의에서 벗어나 여러 기능을 가진 여러 종류의 책이나 팜플렛을 교과대용으로 사용하는 예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
교과용 이종도서
|
1. 원칙적으로 자유경쟁형 교과서를 말함 2.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정부의 검열제도를 이종도서에 적용하고 있다. 3. 검열의 주요 골자 ⑴ 과도한 경쟁을 막기 위한 발행 책 수의 제한 ⑵ 교육과정의 기본정신에 부합여부 ⑶ 가격의 적정선 유지 4. 이종도서는 주로 의무교육이 아닌 고등학교 교과서에 적용하므로 유상공급이 통례이다. |
교과용 일종도서
|
1. 정부에서 각 연구기관이나 대학의 연구기관에 위촉해 소정의 절차를 거쳐 개발한 도서 2. 실험학교에서 1년간의 실험단계를 거쳐 완성본을 만든다. 3. 초?중등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용 도서는 일종과 이종의 두 가지가 있는데, 일종은 연구개발형의 교과서를 의미한다. |
교과중심 교육과정
|
1. 교육과정의 중심이 되는 내용을 교과로 하는 교육과정 형태이며, 역사적으로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 교육과정이다. 2. 경험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난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긍정적인 측면을 새로운 형태로 발전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교과타당도
|
1. 주어진 학력검사가 의도하는 바의 교수목표를 얼마나 충실하게 재어주느냐 하는 정도 2. 내용타당도를 일컫는 말?내용타당도는 주로 교과영역에서 사용하므로 교과타당도라 불린다. |
교리문답법
|
1. 중세 기독교의 문답학교에서 쓴 교수방법이며, 말로써 교수하되 문답식으로 아동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2. 이교도나 세례 받지 않은 아동에게 기독교 예비교육을 실시할 때 예수의 업적과 부활에 관한 간단한 지식을 가르치는 데 사용 |
교복(敎僕)
|
1. 고대 그리스 아테네 사회의 자유시대 계급의 자녀교육을 맡았던 노예(그러나 교양 있는 그리스인이었다.) 2. 아테네의 자유시민 계급 중 6, 7세부터 15, 16세의 아동·소년은 교복의 손에 이끌려 오전은 체육장, 오후는 음악학교에 다니면서 자유시민으로서의 선·미·덕을 배웠다. |
교사-학생 상호작용
|
1. 교육활동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교사와 학생이 상대방에 대해 그리고 교육활동의 과정에 대해 자신의 의도대로 영향을 미치기 위해 상호간에 표출하는 심리적, 상징적, 신체적 행위이다. 2. 1970년대 이후 해석학, 현상학, 인류학 등의 영향으로 교육 내부의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3. 이 분야의 연구는 교사 스스로의 자아개념에 따른 유형분류, 교사들의 학생분류 유형,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전략 등이 있다. |
교수
|
1. 교사가 교육적 의도를 가지고 하는 일체의 활동 2. 교수에 포함되는 활동들을 성격상, 수업·훈련·조건화 등으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교수의 핵심적인 의미에 가장 가까운 것은 「수업」이다. |
교수개발
|
1. 효과적·효율적인 교수방법을 창안해 내는 기술을 이해하고 개선하고 적용해 보는 것 2. 「전문적인 활동」으로서의 교수개발은 주어진 상황에서 교수방법을 창안해 내기 위한 최적의 절차를 처방하고 활용하는 과정이다. 3. 최근에는 체계적 교수개발 모형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러한 예로는 딕과 커리 모형, 유네스코 ISD모형, IPISD모형 등등 다양하다. 현재까지 제시된 체제적 교수개발 모형들에서 공통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은 분석·설계·실행·평가·수정의 단계로 구성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