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중심 교육 learner-centered education
|
1. 교수자중심 교육(instructor-centered education)과 대조가 되는 것으로 학습자가 자신의 교육욕구에 따라 학습활동을 기회?실천하는 일련의 교육활동을 말함 2. 성인교육의 핵심적 특징은 교육이 학습자의 자발성에 바탕을 둔다는 것이다. 3. 이것은 타율성에 기초한 아동?청소년 교육과 대조가 된다. 4. 자발성을 기초로 하는 성인교육은 자신의 학습욕구를 누구보다 잘 아는 학습자 스스로가 타인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자신의 학습동기 내지 욕구에 따라 자신의 교육을 주도하는 소위 자기주도적 학습(selfdirected learning)을 기본으로 한다. 5. 이러한 의미에서 학습자중심 교육을 일명 개인학습(individual learning)이라고도 하며, 독학이나 컴퓨터보조학습(CAI) 등이 이러한 학습형태에 속한다. 6. 이러한 형태의 교육활동은 교수자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만일 교수자가 있을 경우 그가 학습의 주도권을 갖는 대신 학습자가 원활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원조자(helper) 내지 촉진자(facilitator)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학업적성 검사 學業適性檢査 scholastic aptitude test
|
1. 장래의 학업 성공을 예측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 깊은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 2. 넓은 의미에서 보면 이는 일반 지능검사와 내용도 비슷하고 주목적도 같다. 3. 그리고 학업성취 검사는 그 순간까지 이룩한 것을 재는 데 대하여 적성검사는 예측을 목적으로 한다는 의미에서 목적상 그리고 정의상은 서로 다르지만 내용이 반드시 다른 것은 아니다. 4. 왜냐하면 두 가지 모두 학생이 학습한 것을 재며 비슷한 과정과 내용을 가지기 때문이다. 5. 학생의 학업적성이 어디에 있는지를 진단하거나, 현재의 수준을 평가함으로써 학습지도?진학지도 등에 쓰일 뿐만 아니라 교육기관의 설정목표에의 달성도 등을 밝혀 프로그램이나 교수법 등을 결정하는 데도 쓸 수 있다. 6. 검사의 구성은 어문적(語文的) 능력과 수리(數理) 능력으로 나누는 것이 보통이고, 미국의 CEEB(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Test)의 SAT도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7. 검사구성 뿐 아니라 실시방법도 다를 수 있지만 집단 검사가 일반적이다. ? 적성검사 |
학위등록제 學位登錄制
|
1. 학사 또는 석사의 학위를 받은 자는 반드시 교육부에 등록하도록 규정한 제도 2. 교육부 장관은 학위 등록자에 대하여 그 사실을 증명하는 등록증을 교부하도록 되어 있다. 3. 이와 함께 교육부 장관은 국내 학술진흥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외국에서 박사 또는 명예박사의 학위를 받은 자로 하여금 본인이 원할 경우 학위를 받은 사실을 교육부에 등록하게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합리론 合理論 rationalism
|
1. 참된 인식의원은 인간의 이성(理性)이라고 주장하는 인식론의 학설 2. 합리론자들은 참된 인식은 필연성과 보편타당성을 지녀야 하는데, 인간의 경험은 사실성만을 제시할 뿐 필연성이나 보편타당성을 주지 않기 때문에 참된 인식은 오직 이성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3. 합리론은 데카르트(R. Descartes)로부터 시작되어 스피노자(B. Spinoza), 라이프니쯔(G. W. Leibniz)로 이어지며, 영국을 중심으로 한 경험론(경험론)과 대립된다. ? 경험론, 인식론 |
합리성 合理性 rationality
|
1. 좁은 의미로는 이성에 의한 분별력 혹은 이성에 의해서 획득되는 생각이나 믿음 ※ 충동과 같은 생리적 요구에 의한 반응이나 감각적 경험에 의해서 획득되는 생각과는 달리 이성의 작용에 의해서 분별되고 수용되는 인식의 내용이나 특징을 합리성이라고 한다. 2. 넓은 의미로는 어떤 생각이나 주장이 정당한 근거 혹은 이유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 ⑴ 단순한 감정의 표현이나 허망한 생각이 아니라, 객관화할 수 있는 증거 혹은 이유를 수반하는 주장?판단?신념의 특징을 합리성이라고 한다. ⑵ 이러한 의미의 합리성에서는 근거 혹은 이유의 이해방식이 다양하기 때문에, 그것을 분별할 수 있는 기준 혹은 준거가 일정하지 않은 일종의 개방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합리성모형 合理性模型 rational model of decision-making
|
1. 의사결정이 완전히 합리적이어야 한다고 가정하는 고전적 모형 2.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최적화 모형과 동일한 개념이다. 3. 이 모형은 조직의 목표 달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최선의 대안을 추구함으로써 최적화 전략을 사용하고자 하는 고전적 이론의 입장에 있다. 4. 이 모형에 의하면 의사결정 과정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연속적 단계를 갖고 있다. ⑴ 문제를 확인한다. ⑵ 목적과 세부 목표를 결정한다. ⑶ 모든 가능한 대안을 생성한다. ⑷ 각 대안의 결과를 고려한다. ⑸ 모든 대안을 목적과 목표의 견지에서 평가한다. ⑹ 최선의 대안 즉, 목표와 목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대안을 선택한다. ⑺ 결정사항을 시행하고 평가한다. 5. 고전적 모형은 대부분의 의사결정자가 실제로 어떻게 하는가를 묘사하기 위한 모형이라기보다는 이상적인 모형이다. 6. 그러므로 이 모형은 너무 이상적이고 비현실적이라고 평가되고 있다. 7. 실제에 있어서 의사결정자들은 모든 관련 정보를 확보할 수는 없다. 8. 더욱이 모든 가능한 대안과 결과의 예측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9. 이 모형이 비현실적인 또 하나의 중요한 이유는 이 모형은 많은 의사결정자들이 실제로 소유하기 어려운 수준의 지적 능력, 합리성, 지식 등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10. 결국 고전적 모형은 실제 일선 행정가들이 사용하기에는 현실성과 실용성이 결여되어 있다. 11. 그러나 관점에 따라서는 합리성 모형에 만족화 모형도 포함시킬 수 있다. 12. 만족화 모형에서도 제한된 합리성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합리성 모형은 협의로는 최적화 모형을 가리키며, 광의로는 최적화 모형 및 만족화 모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
합리-정의치료 合理-情意治療 rational-emotional therapy
|
1. 엘리스(H. Ellis)에 의해서 1950년대 이래로 발전되고 있는 상담과 정신치료의 이론과 방법 2. 합리-행동치료(合理-행동치료, rational behavior therapy), 또는 인지행동치료(認知行動治療, cognitive behavior therapy)라고도 한다. 3. 이 이론에서는 인간의 부적응행동은 자신, 타인 그리고 세상에 대한 절대적이거나 주술적(呪術的) 사고(思考),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이며, 또한 비논리적이고 융통성이 없는 사고로 인해서 신경증?정신병?범죄 등으로 규정되는 양식의 행동을 하게 되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가정한다. 4. 또한 인간은 이러한 비합리적 사고를 창출해 내고 계속 견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 있다. 5. 부적응행동의 치료는 감정의 표현만으로 충분하게 성공할 수 없으며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이고 현실적이며, 논리적이거나 융통성 있는 신념으로 재교육함으로써 가능하다고 한다. 6. 합리-정의치료에서는 직업적으로 대화를 통한 신념을 재교육할 것을 강조하며 문서?과제부과 등의 방법을 통해서 사고?신념?가치 등의 인지적 특징을 긍정적 방향으로 훈련하고 교육할 것을 강조한다. 7. 초기에는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으로 발전되었으나 현재는 인간봉사(人間奉仕)의 광범위한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 특히 정의적 교육의 영역에 새로운 기여를 하고 있다. |
합리화 合理化 rationalization
|
1. 철학적으로는 어떤 사상(事象)을 분석하여 그 법칙성을 밝히거나 사실 또는 사건의 원인을 설명하는 일 2. 심리학적으로는, 용납될 수 없는 자신의 행동의 동기를 무의식적으로 위장하여 자신의 행위의 근거나 이유를 꾸며댐으로써 자아를 보호하고 사회적 승인을 얻으려는 적응기제(適應機制) ⑴ 즉, 두 개의 양립되는 욕구나 동기 중에서 자기가 택한 것에 대한 정당성을 입증할 만한 구실을 만들어서 그것으로써 사회적으로 인정될 만한 논리를 전개하는 것을 말한다. ⑵ 이는 아주 흔한 자기보호를 위한 방어기제(防禦機制)이지만 지나치면 망상에 빠지게 된다. |
항문기 肛門期 anal stage
|
1.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주장하는 성격발달의 두 번째 단계 2. 생후 약 8개월부터 4세까지의 시기로서 항문은 성적(性的) 쾌감의 원천이 되며 항문의 폐쇄와 배설의 기능에서 심리적 쾌감을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
항존주의 恒存主義 perennialism
|
1. 고전적인 실재론과 관념론에 기초를 두고 변화하지 않는 가치의 영원성을 주장하는, 20세기 미국사회의 한 교육사조 2. 항존이란 용어는 일년을 통해 계절마다 계속 피어나는 어떤 종류의 꽃에서 유래된 것으로 「영원성」을 의미하는 말이다. 3. 17세기 철학자 라이프니쯔(G. W. Leibniz)에 의해서 「항존철학」(philosophia perennis)이라고 불리어진 이후 이 말은 많은 철학자들에 의해서 사용돼 왔다. 4. 그러나 사상적인 연원은 고대 플라톤(Platon)?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아퀴나스(T. Aquinas) 등에서 찾아볼 수 있고, 현대에 와서는 신스콜라주의(neo-scholasticism)나 신토마스주의(neo-Thomism)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5. 개인으로서는 질송(E. Gilson)과 마리탱(J. Maritain) 같은 철학자들을 들 수 있다. 6. 항존주의는 특히 교육철학으로서 영향력을 끼쳤고 이 방면에 있어서 허친스(R. M. Hutchins)와 아들러(M. J. Adler)가 잘 알려져 있다. 7. 이 이외에도 바(S. Bar)?도렌(M. V. Doren)?부흐남(S. Buchnam) ?리빙스턴(Sir R. Livingstone) 등이 있다. 8. 이는 진보주의 교육의 가치변화의 개념에 반대하여 절대적인 원리를 강조하고 인간성의 항시적(恒時的) 성격에 비추어 교육내용의 동일성과 보편적인 진리습득을 주장했다. 9. 인간이성에 토대한 합리성의 발달을 위한 지적 훈련을 강조하고, 따라서 고전학습을 주장하고 있다. 10. 본질주의와는 세부원리에 있어서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 본질주의 |
해방교육 解放敎育 liberation education
|
1. 정치적?경제적 사회적 또는 문화적 속박으로부터 개인이나 집단을 해방시키기 위한 교육활동 2. 흔히 식민통치 하에서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며, 근자에는 문화적 제국주의로부터의 해방을 위한 교육활동이 라틴아메리카와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서 역설되고 있다. |
해석학 解釋學 hermeneutics
|
1. 고전적 교재를 해석하는 기법을 응용하여 인간의 경험을 이해하는 철학적-과학적 연구의 방법론적 이론 2. 「해석학」(hermeneutics)이라는 말은 그리스어의 「해석하다」의 뜻에 상당하는 말에서 온 것이며, 이 말은 제우스의 의지를 지상의 인간들에게 해석해 주기 위하여 올림푸스 산에서 내려온 사자인 「Hermes」에서 유래한 것이다. 3. 그리스인들은 신들에 관한 전설을 해석하기 위한 기법을 개발하여 「해석」이라고 하였다. 4. 기독교 신학자들도 성경을 해석할 때 이 기법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그러나, 19세기에 딜타이(W. Dilthey)를 비롯한 독일의 철학자들은 해석학적 기법을 발전시켜 인간의 행위와 제도를 포함한 사물의 이해에 적용하여 새로운 해석학을 발전시켰다. 6. 그들은 사물을 이해한다는 것은 바로 그것을 해석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우리가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은 마치 교재를 읽고 해석하는 것과 같다는 것이다.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것의 의미 혹은 의의를 파악하는 것이며, 무엇을 해석한다는 것은 어떤 관점이나 상황에 비추어 그것이 의미하는 바를 터득하는 것이다. 7. 이해하거나 해석하는 사람은 이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입견(혹은 전이해)에 근거하여 자신의 마음의 눈으로 대상에 접근한다. 이러한 과정을 딜타이는 「공감적 이해」(Verstehen)라고 하였으며, 특히 인간과학의 참된 방법이라고 하였다. 8. 인간의 행위, 제도 혹은 산물은 내면적 삶의 표현이므로 그것을 관찰하는 것보다 해석하는 것이 바로 그것을 이해하는 옳은 방법이라고 여긴 것이다. 9. 이러한 관점에 의하면 교육은 이해에 도달하기 위한 대화 혹은 놀이의 과정이며, 인간의 행위와 제도를 이해하는 것은 바로 그 대상을 하나의 교재로 여기고 해석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10. 해석하는 사람은 언제나 대상에 대한 예비적 이해에서 출발하며 해석의 방법은 이미 전통 속에 묵시적으로 주어져 있으며, 자신이 그 교재에 개방적 태도로써 접하면서 질문을 제기하고 자신의 상황에 따라서 교재를 해석하게 된다. 11. 딜타이는 자연과학은 이해의 대상이 아니라 설명의 대상이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해석학적 방법을 인문과학에만 적용하였으나 가다머(H. Gadamer)와 쿤(T. Kuhn)은 자연과학에도 적용하였다. 12. 해석학자들은 인간 경험을 주관적으로 파악하면서도 이해와 해석은 전통 속에 있다고 함으로써 전통에 따른 상대주의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13. 쿤은 과학의 이론도 세계에 대한 보편적 필연성을 지닌 법칙의 체제가 아니라 어떤 패러다임에 의해서 형성된 이론적 체제이며, 한 시대를 지배하는 과학적 이론은 한 패러다임이 여러 다른 것과의 경쟁에서 승리한 것일 뿐이라고 하였다. |
행동 行動 behavior
|
1. 생물체가 생활공간에서 직면하는 사태에 대처하는 반응양식 2. 이러한 반응형태에는 보통 근육운동과 같은 가시적(可視的)인 것으로부터 선분비(腺分泌) 같은 비가시적(非可視的)인 것도 포함된다. 3. 물론 교육적 관점에서는 사고?가치?태도?신념 등과 같은 인간의 심층적 구조까지도 포괄하는 개념이다. 4. 특히 최근에는 이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사회과학 일반에 사용하고 있다. 5. 장이론(場理論)에서 레빈(K. Lewin)은 행동을 「개체의 환경과의 함수관계」로 규정했는데 이는 심리학적 법칙에 따른 생활공간에서의 어떤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6. 한편 행동주의적 입장에서 와트슨(J. B. Watson)은 행동을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보았으며, 어떤 사고?상상 감정 등은 언어적 반응 혹은 생리적 반응으로 바꾸어 생각할 수 있다고 보았다. 7. 학교학습에서의 행동이란 헐(C. L. Hull)이 내세운 바와 같이 자극과 반응의 함수관계로 해석되는데, 그는 행동의 매개변수로서 동인(動因)?습관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8. 이 입장에서 보면 학습이란 습관적 행동의 획득으로 볼 수 있다. 9. 근래 교육분야에서는 학습행동에 관련하여 행동의 구분을 인지적(認知的) 행동, 정의적(情意的) 행동, 운동기능적(運動技能的) 행동으로 구분한다. |
행동목표 行動目標 behavioral objectives, performance objectives
|
1. 일반적으로 일정한 과목의 공부 또는 수업 단위가 끝날 때에 학습자에게 발생하거나 습득?성취되기를 기대하는 학습성과(學習成果)를 행동적 용어로 기술한 것 2. 행동목표는 학습성과를「안다」「이해한다」「감상한다」 등의 다의적(多義的)이고 묵시적(?示的)인 용어로 진술할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학습성과로서의 학생행동을 관찰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는 가시적(可視的)이고 명시적(明示的)인 용어, 즉 행동용어를 사용할 것을 촉구한다. 3. 이렇게 함으로써 수업목표는 수업방법과 평가로 연결되는 수업의 전과정에서 지휘자적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리라고 믿는 것이다. 4. 그리고 교육목표를 일반적인 목표와 특수목표(特殊目標, specific objectives)로 분류할 경우, 후자는 대체로 행동 목표로 진술된다. 5. 요컨대, 행동목표는 명시성과 세분성(細分性)을 그 특징으로 한다. 6. 행동목표는 학습촉진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믿어지고 또 연구결과가 이를 실증하고 있기도 하나, 한편 행동목표를 가지고 수업목표 전반을 대표할 수 있느냐의 여부에 관해서는 논란이 없지 않다. 7. 메이거(R. F Mager) 같은 사람은 수업목표의 진술에 있어서 행동 내지 행동징표(行動目標)와 이 행동이 나타나야 할 중요한 조건과 또 이 행동이 성공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기준(criterion) 등 세 가지 요건을 갖출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다. 8. 체계적인 수업설계 및 개발에서는 일반적인 수업목표의 설정 다음에 이같은 목표를 행동적으로 세분화하는 작업이 이어진다. |
행동수정 行動修正 behavior modification
|
1. 체계적인 실험을 토대로 한 일련의 행동변화 기법의 한 부류 ⑴ 정상행동과 이상행동을 포함하는 유기체의 모든 행동은 학습에 그 근원이 있다고 전제한다. ⑵ 주로 신경성 이상행동에 적용되는 상호제지법(相互制止法)을 포함하는 고전적 조건형성 계열과 학습과정을 통하여 획득된 정신병적 행동의 수정을 목표로 하는 작동조건 형성계열로 나누어진다. ⑶ 아동과 성인의 모든 부적응행동의 수정에 특히 유효한 방법으로 가정?학교?시설?기업체 등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2. 스키너(B. F. Skinner)의 강화이론을 근거로 하여 궁극적으로 바라는 행동을 학습시키기 위하여 강화를 조절함으로써 행동을 형성하는 기법 ※ 가상적인 정서적 요인을 행동으로 규정하여 수정한다. 따라서 이상행동은 학습결손 또는 외래의 강화에 의해 형성된 부적절한 행동으로 간주된다. 3. 행동요법과 동의어로서 학습이론의 원리를 사용하여 주로 신경성 이상행동을 치료하는 기법 ⑴ 신경성 행동의 치료는 부당하게 처벌되었을 때 그와 유사한 상황에서 불안을 야기시킨 후 불안해소를 위하여 소멸(消滅)과 역조건형성(逆條件形成)의 절차를 활용한다. ⑵ 월페(J. Wolpe)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