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교육 環境敎育 environment education
|
1. 환경에 관한(about), 환경 내의(in) 또는 환경을 통한(through), 환경을 위한(for) 교육 2. 즉, 개인이나 집단이 인류의 생존과 삶의 질의 개선을 위하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인식하고 이해하며, 환경보존과 사회정의를 위한 가치와 태도를 개발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실천기술을 함양하는 교육 활동이다. 3. 환경교육의 시급성과 실천을 위한 국제적 합의가 이루어지게 된 것은 1968년 유엔총회에서 발의되어 1972년 6월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국제환경회의」를 통해서 이며, 그 후 1975년 「국제환경교육 워크샵」(유고의 벨그라드), 1977년 「국제환경교육회의」 (구 소련, 트리빌 시), 1987년 「환경교육 및 훈련에 관한 국제회의」 (구 소련, 모스크바), 1992년 「환경과 개발을 위한 지구 정상 회담」 (브라질, 리우) 등 환경문제와 교육에 관한 일련의 국제적 모임이 개최되었다. 4. 이러한 회의결과, 스톡홀름 회의에서는 ① 6월 5일을 세계환경의 날로 제정하고 ② 세계 환경문제의 담당기구로 유엔환경계획(UNDP)이 결성되고 ③ 인간 환경권의 선언 및 환경문제 극복을 위한 109개 조항의 실천계획이 채택되었다. 5. 트리빌 시 회의에서는 환경교육선언이 채택되었으며, 그 후 UNESCO와 UNDP의 주도하에 환경교육의 실시를 위한 여러 권의 모듈들이 개발되었다. 6. 환경교육은 다학문적인 접근을 통하여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을 도모하는데, 그 과정은 평생교육의 과정이며 미래지향적인 성격을 갖는다. 7. 특히 이러한 과정에서 환경교육은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관점간, 지식과 실천간, 전문성과 일반성간, 현실과 이상간의 균형적 개념이 수반되지 않으면, 그 목적을 올바로 달성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
활동중심 교육과정 活動中心敎育課程 activity-oriented curriculum
|
1. 협동적인 집단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을 북돋워 주려고 하는 교수형태 2. 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협동적으로 계획하고, 조사하고, 평가하는 데 요구되는 태도와 기능을 집단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기르는 동시에, 사회적으로 효율적인 시민이 되게 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3.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은 민주적인 생활의 기본원칙을 설정하고 실천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학습활동을 계획하고 전개하는 데에 참여하는 일이다. 4. 활동중심 교육과정은 한마디로 말해서 아동중심 교육을 뜻하는 것이다. 5. 그리하여 전통적인 교과를 초월하여 경험을 통한 어린이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회피-회피갈등 回避回避葛藤 avoidance-avoidance conflict
|
둘 또는 셋 이상의 동기나 목표가 모두 부정적 유인가(誘引價)를 지니고 있을 때 그 중에서 어떤 하나를 선택할 필요가 있으나 선택할 수 없음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상태 ? 접근-접근갈등, 접 근-회피갈등 |
후광효과 後光效果 halo effect
|
1. 평정자(評定者)가 피평정자(被評定者)나 학생의 어떤 특성에 관해서 평정할 때 학생이 주는 일반적인 인상이 평정에 주는 영향 2. 이러한 영향은 얻어진 평정결과를 사실 이상으로 과대 또는 과소평가하게 된다. 3. 예 : ⑴ 학생의 어떤 특성에 대해 평정하고자 할 때 그 학생의 용모가 단정하거나 또는 사교적이라면 이러한 인상이 주어진 특성에 대한 평정에 부당하게 좋은 평정점수를 줄 수 있다. ⑵ 논문식 시험에서 학생의 글씨가 깨끗하지 않은 경우에 이것이 점수에 나쁜 영향을 줄 수가 있다. 4.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특성을 재어준다고 생각되는 평정척(評定尺)간에 지나치게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면 일단 이러한 후광효과의 여부를 의심해야 할 것이다. 5. 후광효과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평정하고자 하는 각 특성에 대해서 각기 다른 평정자를 사용하고 피평정자에 대해서 일반적인 사전정보를 갖지 않은 외부의 평정자를 활용한다. 6. 또한, 막연히 일반적인 「지도성」의 평정보다는 주어진 특성을 보다 세분하여, 집단토의에서의 주도적 역할, 주어진 문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의 제시, 동료가 그의 조언을 구하는 정도 등의 영역으로 나누어 평정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 인상에 의한 평정보다 더 정밀하고 객관적인 평정이 될 수 있다. ? 평정법 |
훈고학 訓?學
|
1. 고어(古語)의 해석을 다루는 고전문헌학 2. 훈고(訓?)?고훈(?訓)이라고도 한다. 3. 고전 해석상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학문적으로 정착된 것은 중국의 한(漢)나라 때부터이다. 후한(後漢) 때, 정 현(鄭玄)에 의하여 대부분의 경서(經書)에 대한 훈고가 집성되었는데 당(唐)나라의 오경정의(五經正義)가 성립될 때까지 훈고학의 학풍은 계속되었다. 청(淸) 나라 때에 이르러 학풍이 일신되어 종래의 고어에 대한 자구(字句) 해석에만 만족하지 않고 고대언어 연구의 비판적인 새로운 방법론을 전개시켰다. 이리하여 청대(淸代)의 학문을 고증학(考證學)이라고 부르는 데 대하여 한(漢)?당(唐)의 그것을 훈고학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게 되었다. |
훈장 訓長
|
1. 서당(書堂)의 스승 2. 학식의 표준은 일정하지 않아 강독(講讀)으로는 경사(經史)?백가(百家)를 통하는 실력 있는 훈장은 드물었고, 주석(註釋)과 언해(諺解)를 참고하여 가며 겨우 경서의 문장 뜻이나 해득할 정도가 많았다. 3. 벽촌의 훈장은 한문자의 활용조차 제대로 할 줄 모르는 저열한 훈장도 많았으며, 제술(製述)로는 표(表)?책(策)?기(記)?명(銘)의 글을 짓고, 시(詩)?율(律)의 골수를 아는 이가 드물었다. 4. 사율(四律)이나 짓고 십팔구시(十八句詩)나 읊는 것이 보통이었으며, 궁한 고을의 훈장은 제술을 모르는 자가 많았다. |
흥미 興味 interest
|
1. 어떤 대상 활동?경험 등에 대해서 계속적으로 그것에 몰두하거나 아니면 그것을 그만두려고 하는 행동 경향 2. 이는 그 강도(强度)가 사람마다 제각기 다른 것이 특징이다. 3. 학습이나 작업 등은 그에 대한 개인의 흥미가 있을 때에 자발적 동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흥미가 없을 때에는 학습이나 작업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연구의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4. 흥미는 그 대상에 따라서 음악?미술?정치?경제?기술?자연과학?종교 등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흥미를 측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심리검사가 발달되어 있다. |
흥미 코너 興味― interest corner
|
1. 어린이의 흥미에 따라 장난감?교구?학습 자료를 기능적으로 분류해 놓는 장소를 통틀어 일컫는 말 2. 유아교육(幼兒敎育)에서 이러한 코너는 주로 적목(積木) 코너?장난감 코너?독서 코너?음악 코너?소꿉놀이 코너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코너들은 융통성 있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늘 매력적이고 질서 있게 꾸며진다.까지 훈고학의 학풍은 계속되었다. 청(淸) 나라 때에 이르러 학풍이 일신되어 종래의 고어에 대한 자구(字句) 해석에만 만족하지 않고 고대언어 연구의 비판적인 새로운 방법론을 전개시켰다. 이리하여 청대(淸代)의 학문을 고증학(考證學)이라고 부르는 데 대하여 한?당(漢唐)의 그것을 훈고학이라고 구별하여 부르게 되었다. |
干城 (간성)
|
방패와 성벽, 나라를 지키는 군인 |
綱領 (강령)
|
일의 으뜸이 되는 줄거리 |
更張 (경장)
|
새롭게 고침 |
鷄肋 (계륵)
|
닭의 갈빗대라는 뜻으로, 먹기에는 너무 맛이 없고 버리기에는 아까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편(形便) |
光陰 (광음)
|
시간이나 세월 |
乖離 (괴리)
|
서로 어긋나고 간격이 생김 |
乖愎 (괴퍅)
|
괴팍이 표준어임. 성미가 까다롭고 별나서 붙임성이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