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주의 行動主義 behaviorism
|
1. 와트슨(J. B. Watson)이 제창한 심리학의 일파 2. 외적 행동을 심리학의 연구 주제로 하는 초기의 행동주의 심리학은 반사적 행동과 조건반사를 연구의 기본단위로 간주했다. 3. 와트슨의 행동주의 심리학은 1913년에 발표된 <행동주의자가 본 심리학>이라는 논문에서 비롯된다. ※ 이 논문에서 와트슨은 심리학이 자연과학의 객관적 실험적 분과이며, 그 목적은 행동의 예언과 통제에 있다고 주장하고 유기체가 유전적 습관기제로써 환경에 적응하는 관찰 가능한 사실을 대상으로 연구하며, 유기체는 자극에 따라 반응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4. 1913년 이후 와트슨의 이론 ⑴ 감각과정의 연구에 있어서 조건반사라는 객관적 방법의 발견 ⑵ 행동의 개체발생적 접근의 중요성의 강조 ⑶ 인간행동에 대한 유전적 영향력의 감소 등의 측면에서 수정되었다. 5. 1930년경에, 와트슨은 인간행동의 연구에 있어서 본능의 무용성을 주장하고 그 대신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6. 초기의 와트슨류의 행동주의는 관찰가능한 행동의 연구, 행동의 예언과 통제를 그 주요 내용으로 한다. 7. 현대의 행동주의심리학은 와트슨의 행동주의를 그 출발점으로 하였으나, 크게 변모되었다. ? 행동심리학, 신행동주의 |
향교 鄕校
|
1. 고려와 조선에 있었던 지방의 학교 2. 고려 인종 5(1127)년 3월에 지방 제주(諸州)에 학(學)을 세워 널리 도(道)를 가르치라는 조서(詔書)에 따라 후일 부?목?군?현(府牧群縣)에 설치된 국자감(國子監)을 축소한, 유현(儒賢)을 제사하는 문묘(文廟)의 동서양무(東西兩?)와 교학(敎學)하는 명륜당(明倫堂)의 동서양재(東西兩齋)가 있었다. 3. 조선시대는 고을의 규모에 따라 학생 정원과 기본재원으로 학전(學田)이 지급되었고, 수령(守令)은 향교 생도의 독서와 일과(日課)를 매월 관찰사에 보고하였으며, 수령의 치적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향학(鄕學)의 진흥에 크게 비중을 두었다. 4. 후일 향교는 제사[祀]의 기능이 강화된 반면 교학[齋]의 기능은 약화되어 서원(書院) 발흥의 계기가 되었다. |
향약 鄕約
|
1. 조선시대 중엽 이후 향촌(鄕村)의 자치규약 2. 중국 송(宋)의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본따서, 덕업상권(德業相勸)?과실상규(過失相規)?예속상교(禮俗相交)?환란상휼(患亂相恤)의 내용으로 각 지역의 풍습과 민정(民情)에 맞게 만들었다. 3. 태조 때의 풍패향 향헌(豊沛鄕鄕憲)을 비롯하여 예안 향약(禮安鄕約) 등으로, 규약?조직?운영이 발전하였으며 조선사회의 풍교(風敎)에 끼친 공적이 크다. |
향학사목 鄕學事目
|
1. 조선 초 양촌 권근(權近)이 태종에게 올린 학규(學規). 고려시대 사학(私學)의 교육적 성과를 참작해서 사학의 교원 학생을 관학(官學)으로 강제로 옮기는 일이 없도록 유념시킨 내용이다. 2. 고을 향교(鄕校) 스스로가 마련한 봉화군(奉化郡) 봉성향교(鳳城鄕校)의 향학 사목이 있다. 3. 효종 때 제주(祭酒) 송준길(宋浚吉)에 명하여 제정한 서당학규(書堂學規)를 향학지규(鄕學之規)로 부르기도 한다. |
헤게모니 hegemony
|
1. 사회 안에서 주요한 집단들의 적극적인 합의와 동의를 통해서 얻어진 지도력, 곧 도덕적이고 철학적인 지도력을 말한다. 2. 헤게모니의 개념은 그 원천은 막스(K. Marx)에 있지만, 그람시(A. Gramci)에 와서 주목을 받게 되었다. 3. 그람시 이전의 헤게모니는 단순히 정치적 지도력 또는 이론적 지도력을 의미했다. 4. 그람시는 헤게모니를 개념화하기 위해 사회구성체의 개념 가운데 경제, 국가, 시민사회를 구분한다. 5. 경제는 특정 순간에 어떤 한 지역에 있는 지배적인 생산양식을 의미하며, 생산의 기술적 수단과 사회적 관계로 구성된다. 6. 국가는 국가 재원에 터한 관료제 조직들-공공영역, 법제도, 복지제도, 교육제도 등-과 정해진 영토 안에서의 폭력 수단-경찰과 군대-으로 구성된다. 7. 시민사회는 경제와 국가라는 두 가지 주요한 영역 바깥에 있는 사람들이 지원하고 운영하는 비교적 영속적인 제도들인 사회구성체의 여타 조직들을 의미한다. 8. 그람시는 경제에 의해 사회구성체가 결정된다는 경제주의에 반대했으며, 따라서 국가와 시민사회, 특히 시민사회가 바로 헤게모니가 구성되는 지점이 된다. 9. 헤게모니 개념 ⑴ 도덕적, 철학적인 개념이며 특히 하나의 세계관으로서의 실천의 철학-막스주의-을 의미한다. ⑵ 특히 실천의 철학은 사회이론과의 관련 속에서 정치적 실천의 문제를 포괄하고 있다. 즉 특정한 가치들이 지배력을 갖게 되는 과정을 사회이론의 틀 안에서 헤게모니적 지배력을 갖는 과정으로 파악한다. 10. 라클라우와 무페(E. Laclau & C. Moufe)는 그람시의 헤게모니 개념을 발전시켜 사회에는 하나의 헤게모니 중심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소들의 접합에 의해 구성된다고 했다. 11. 이들은 기존의 헤게모니 개념에 상징적인 부분들-언어, 관습, 의례 등-을 포함시켰다. 12. 교육제도는 현존하는 지배문화의 중요한 전수자이다. 13. 이 전수의 과정은 문화적 활동임과 동시에 경제적 활동이다. 14. 이 양자는 동시에 일어나며,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즉 과거와 현재의 모든 의미와 실천 중에서 어떤 것은 선택되어 강조되고, 어떤 것은 무시되고 배제된다. 15. 또한 이들 의미 중에서 어떤 것들은 현존하는 지배문화 안의 다른 요소를 지지해주고, 지지해주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최소한 갈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재해석되고 약화되며 변형된다. 16. 헤게모니는 이 과정에서 작용하는 일상적인 의미와 가치의 체계이며, 이러한 현실적 과정을 통해 더욱 견고화된다. 17. 교육에서 지배적 헤게모니는 교육내용의 선정, 조직, 분배의 모든 과정에서 지배력을 행사한다. |
헤드 스타아트 Head Start
|
1. 1965년 미국 연방정부에서 경제적 문화적으로 불우한 아동들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개입하여 만든 유아교육(幼兒敎育) 프로그램 2. 주목적은 저소득층의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이전에 그의 가정환경과 발달에 있어서의 결손된 점을 보상하여 중?상류계급의 아동들과 동등하게 학교생활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3. 이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와 부모의 참여를 중심으로 하며 의료혜택?사회복지?영양적 혜택 등을 제공하는 저소득층을 위한 포괄적 프로그램이다. 4. 1967년 헤드 스타아트의 장기적인 효과를 꾀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저학년까지 계속적인 보강을 해주는 폴로우 스루(Follow Through) 프로그램이 첨가되었으며, 3세 이하의 자녀를 가진 부모를 위한 부모-아동 센터(Parent and Child Center)가 설립되기도 하였다. 5. 또한 부모개입 가정교육에 대한 강조점은 더욱 발전하여 아동의 가정(家庭)을 중심으로 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시켰다. ? 홈 스타아트, 폴로우 스루 프로그램 |
현상 現象 phenomena
|
1. 그 배후에 본체(本體)?본질 따위를 생각하지 않고 스스로를 숨김없이 나타내고 있는 사실 2. 철학자에 따라 그 의미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3. 플라톤(Platon)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이데아(Idea)의 세계에 대비되는 것으로 현실의 시간?공간상 제약에 따라 생성?소멸하는 것을 말한다. 4.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플라톤처럼 이데아와 구별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의 본체가 나타난 것을 말한다. 5. 칸트(I. Kant)는 우리가 인식할 수 없는 사물 그 자체(Ding an sich)와는 달리, 우리의 오성(悟性)에 의해 인식된 사물의 표상을 말한다. 6. 헤겔(G. W. F. Hegel)은 절대정신이 현실세계에 나타난 것을 말한다. 7. 그리하여 그의 현상학(現象學)이란, 절대정신의 발전을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8. 후설(E. Husserl)에서는 인간의식의 순수한 세계를 가리키며, 그의 현상학이란 인간의식의 순수한 세계를 그대로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 현상론 |
현상론 現象論 phenomenalism
|
1.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오직 현상뿐이라는 주장 2. 현상(phenomenon)이란 본체(noumenon)에 대립되는 말이다. 3. 사물은 우리가 어떤 조건 하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우리에게 이렇게도 나타나고 저렇게도 나타난다. 이렇게 우리에게 나타난 것이 현상이고 이런 현상의 원인으로 상정되는 것이 본체이다. 4. 여기에 현상계의 배후에 본체계를 인정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서 두 가지 견해로 나누어진다. 5. 칸트(I. Kant)는 물자체(物自體)를 인정하기는 하나 다만 인간으로서는 인식이 불가능하다고 한다. 6. 여기에 대해서 버클리 (G. Berkeley)는 "있다 함은 지각되어 있음을 말한다(esse est percipi)"고 주장한다. 7. 지각에서 우리는 관념을 갖는다. 그리하여 무엇이 있다 함은 관념으로서 있다는 뜻이요, 다시 말해서 사물이란 관념의 다발(多發)을 말한다는 뜻이다. |
현상학 現象學 phenomenology
|
1. 대상(對象)을 직접 문제 삼지 않고, 그 대상을 형성하는 주관 작용을 되물어 들어가는 것을 근본적 특징으로 하는 철학 2. 후설(E. Husserl)에서 시작한 사조로서, 모든 진리의 궁극적인 근원을 주관, 의식작용에서 찾았다. 3. 특히 후설은 초기의 기술적(記述的) 심리학을 거쳐 중기의 선험적 관념론에서 이 궁극적 근원을, 대상을 구성하는 선험적 주관에서 찾는다. 4. 이 고전적(古典的) 현상학에 대해 후설의 유고(遺稿)를 중심으로 전개된 후기사상에서는 그 궁극적 근원을 생활세계에서 찾는다. 5. 대상 구성에 있어서 주관의 능동적인 구성작용에 제공되는 질료(質料)에 치중할 때 후기의 생활세계적 현상학이 나온다. 6. 후설 이후에 현상학은 실존주의와 결합하여 실존적 현상학의 형태를 취한다 하이데거(M. Heidegger)?사르트르(J. P. Sartre), 그리고 특히 메를로 퐁티(Merleau-Ponti)에서 그렇다. 7. 미국에는 「현상학 및 실존철학협회」(1962년 창립)도 있다. 이런 범세계적인 현상학적 운동에서 현상학이라고 하는 것은 주로 후설의 후기 사상의 흐름을 따른 것이다. |
현실원리 現實原理 reality principle
|
1. 정신분석 이론에서 도덕의 원리나 쾌락의 원리와 대비되는 것으로 자아(自我)의 기능을 지배하는 심리적 과정을 가리키는 개념 2. 본능의 쾌락을 즉각적으로 추구하려는 경향이나 초자아의 도덕적 이상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현실적 조건에 비추어서 조절하고, 현실적 조건을 비교하고 검토하며 판단하는 사실적 지각과 사고의 기능을 포괄한다. ? 도덕원리, 쾌락원리 |
현장 교육과정 現場敎育課程 field curriculum
|
1. 교육적 의미를 지니는 현장을 중심으로 조직된 교육과정 2. 그러나 모든 현장이 이의 대상이 될 수는 없으며, 특수대상이나 혹은 사건이 일어나고 그런 것이 상호작용하여 하나의 장면?상황 또는 효과적인 환경을 이룩하며, 그런 상황 혹은 환경 속에서 특수대상이나 사건을 인지하게 되는 현장만이 그 대상이 되는 것이다. 3. 이것은 철저한 사전계획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전계획이 전혀 없는 생성 교육과정과는 다르다. 4. 간접경험 중심의 교내 교실수업보다 실제장면에 의한 직접경험이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것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있다. ? 생성 교육과정 |
현직교육 現職敎育 in-service teacher training
|
1. 현직교원의 전문적 자질향상을 위하여 실시되는 교육활동 또는 교원 자신의 자기 연수활동(硏修活動) 2. 교원양성이 훌륭하게 이루어졌다고 하여도 현대사회와 같이 급격히 변천하고, 지식량이 폭증하는 사회에는 직전교육(職前敎育)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 3. 그러므로 교원은 특히 전문직으로서의 자기 직업에 대한 지식과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부단한 탐구와 수양을 쌓기 위하여 현직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 4. 이러한 필요에 따라 국가에서는 교원에 대해 재교육과 연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재교육과 연수의 실적은 교원 인사관리에 반영되고 있다. 5. 교원의 연수는 일반연수와 자격연수로 대분되는데, 일반연수는 변천하는 시대에 적응하고 교사의 자질을 높이기 위한 것인 데 반해, 자격연수는 교장?교감 등의 자격을 획득할 때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연마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협동 놀이 協同― cooperative play
|
1. 한 가지 목표를 위해 여러 명의 어린이가 일하는 사회적 놀이 형태 2. 각 어린이는 다른 어린이들의 견해나 욕구를 고려해 가면서 놀이에 참여한다. 3. 예를 들면 두 세 명의 어린이가 함께 적목(積木)으로 건물을 만드는 놀이를 한다면 이때 아이들 상호간에 어떤 종류의 건물을 지을지, 각자 무엇을 만들지에 대한 상호 의견교환이 있어야 하며 함께 놀이 기구를 나누어 쓸 수 있어야 한다. |
협동학습 協同學習 cooperative learning
|
1. 한 학급 전체 또는 5, 6명으로 구성된 분단이 공동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협력적으로 하는 학습 2. 공동학습(共同學習)이라고도 한다. 3. 탐구학습(探究學習)의 과정에서 개별적인 탐구를 지양하여 분단원끼리 공동적인 사고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도함으로써 학생들 간의 협력심을 높이는 데 공헌할 수 있는 것이다. 4. 협력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단원을 이질적(異質的)으로 편성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5. 협력 학습의 형태는 특수한 학습형태라고 하기보다는 수업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수시로도 입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협동작업?토의?보고?관찰 등의 학습형태가 이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
형성 形成 shaping
|
1. 강화를 받은 모든 행동이 모이게 되면 바람직한 행동을 이룩하게 되는 것 2. 행동의 형성이란 실험자 또는 치료자가 원하는 방향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반응들만을 강화하므로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습득하도록 하고 원하지 않는 방향의 행동에 대하여는 전혀 강화를 받지 못하도록 하여 결국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리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