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자원개발 human resource development
|
1. 학습활동을 통하여 조직내의 인간자원을 현재의 과업을 위하여(교육훈련), 2. 미래에 주어지게 될 과업을 위하여(개발), 개인의 계발을 위하여(교육) 준비시키는 활동. 3. 여기에는 정규 학교의 교육은 포함되지 않는다. 「기업교육」이나 「산업교육」이 교육의 대상을 지정하는 명칭임에 비하여 「인간자원개발」은 조직에서의 교육의 기능을 중심으로 한 개념이다. 4. 인간자원개발의 대상 ⑴ 기업, 산업체, 정부(Business, Industry, Government; BIG)에 소속되어 있는 인적자원 ⑵ 그 이외의 사회단체나 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s)의 인적자원 |
인격 人格 character
|
1. 의미 : 개인의 지적 (知的)?정적(情的)?의지적 특징 등을 포괄하는 정신적 특성을 나타내는 말 2. 성격(personality)과의 비교 ⑴ 흔히 성격 혹은 개성(personality)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성격은 천성적 특징과 우연적으로 형성된 특징까지를 포함한 보다 넓은 범주의 말임에 비하여 인격은 개체의 노력 혹은 수양에 의해서 형성된 특징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말로서 이해되고 있다. ⑵ 성격은 도덕적 평가의 대상이 되지는 않으나 인격은 도덕적으로 평가를 받아 칭찬이나 비난에서 언급되는 대상이다. |
인격교육 人格敎育 character education
|
1. 좋은 인격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 2. 어떤 사람의 인격이 그 사람의 행동과 깊이 관련된다는 점에서, 도덕교육 내지는 의지교육(意志敎育)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3. 로크 (J. Locke) : 인격이란 "어떤 사람이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고, 자신의 기분을 거역하며, 오로지 이성이 최선의 것이라고 명령하는 바에 따르는 것"이다. 4. 정신의 도야 : 인격의 형성, 즉 정신의 도야(mental discipline)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통적으로 중요한 교육목적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다. 5. 형식도야 이론(formal discipline)은 인격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 유럽 중세의 기사교육, 한국의 선비교육, 일본의 무사교육, 그리고 영국의 신사교육 등은 바로 전형적인 인격교육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
인과론 因果論 causal theory
|
1.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이론 2. 원인의 개념이 결과의 개념에 대하여 어떤 논리적 관계와 특징을 가지며, 원인과 결과로 기술되는 실체(實體)나 사건은 어떤 개념으로 파악될 수 있는가에 관한 이론이다. |
인문 교육과정 人文敎育課程 humanities curriculum
|
1. 1950년대 후반부터 발달되어온 학문중심 교육과정(discipline-centered curriculum)이 주로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구조(構造)를 새로운 논리에 따라서 재조직하는 데 공헌할 수 있었으나, 「구조」라는 핵(核)으로 포섭하기 어려운, 소위 인문학으로 분류되는 여러 영역의 교과 또는 과목들을 주축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한 하위형태(下位形態) 2. 그 구성과 전개에서는 학구(學究)와 경험의 통합, 사고와 행위의 관련, 실제와 교육의 조화 및 과정의 계열화(系列化)를 중요시하는 특성을 지닌다. |
인문적 실학주의 人文的實學主義 humanistic realism
|
1. 인문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는 실학주의 2. 시세로주의(Ciceronianism)와 같은 극단적인 언어편중의 인문주의를 반대하나, 고대의 고전을 교재로 하는 초기 인문주의 교육을 지향하고, 그 내용을 실생활에 이용하며, 자연과 현실생활에 대한 지식을 중요시한 점에서 인문적 실학주의라고 부른다. 3. 비베스(J. L. Vives)?라블레(F. Rabelais)?밀턴(J. Milton) 등이 그 대표자이다. 4. 교육의 목적 : 고전을 통해 다방면에 걸친 과학적?역사적?사회적 지식과 실제사물에 대한 순수한 관념을 얻는 데 있다. 5. 교육의 내용 : 그리스와 로마의 고전을 높이 평가하고, 세계어로서의 라틴어?그리스어?헤브라이어와, 특히 모국어(母國語)를 중시하였다. 6. 의의 : 인문적 실학주의는 17세기의 극도로 타락한 인문주의에서 벗어나 실학주의의 선구적 역할을 한 사조(思潮)로서, 실제 학교교육에는 별로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감각적 실학주의를 촉진시킨 데 의의가 있다. |
인문주의 人文主義 humanism
|
1.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를 인정하고 인간을 모든 것의 중심으로 생각하는 사조 2. 보통 14세기 중반 이후 이탈리아의 단테(A. Dante), 페트라르카(F. Petrarca), 보카치오(G. Boccaccio) 등이 주장하기 시작하여 16세기까지 서구사상계를 풍미한 시대사조를 말한다. 3. 르네상스 : 이 사조는 중세의 신 중심적 사고를 배격하고 인간 중심적 사고를 고양한 것으로 그 전형적인 모범을 고대 그리스?로마시대에서 찾으려 했다는 점에서 르네상스라고 한다. 4. 교육에서의 인문주의 ⑴ 교육에 있어서의 인문주의는 르네상스의 시대정신에 따라 고대 그리스?로마의 고전을 이해함으로써 인간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는 교육 사조를 말한다. ⑵ 고대 그리스?로마의 고전은 철학?문학?역사 등의 인문학 위주로 되어 있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희랍어?라틴어를 필수적으로 학습하여야 했다. 5. 한계 : 경제적으로 여유 있고 지적으로 뛰어난 유한계급(有閑階級)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대중적인 문예사조나 교육사조가 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6. 구분 ⑴ 개인적 인문주의 : 글자 그대로 각개인의 특성과 교양의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사조로서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한 남부유럽에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사람으로서는 《조신(朝臣:courtier)의 책》을 쓴 카스틸리오네(B. Castiglione, 1478-1529)가 있다. ⑵ 사회적 인문주의 : 도덕적이며 사회의 공공복지에 기여하는 인간성의 실현을 목적으로 네덜란드를 중심으로 하여 중?북부 유럽에서 전개되었다. 대표적인 사람으로서는 「우신(愚神)예찬」과 「올바른 교수방법론」 등을 쓴 에라스무스(D. Erasmus, 1466-1536)가 있다. 그를 중심으로 한 사회적 인문주의자들은 도덕적이며 사회 개혁에 기여하는 인간성의 실현을 위하여 고대 그리스?로마의 고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성경의 학습도 강조했다. 성경의 학습은 신 중심적 사고의 결정체라는 점에서 인문주의의 근본정신과 일치하지 않는 면을 보여주고 있다. ③ 언어적 인문주의(키케로주의) : 16세기에 들어서면서 고전의 사상과 내용에 대한 이해보다는 고대 로마의 키케로가 사용한 글귀나 문장을 암송하는 형식에 치우친 일종의 구술주의(口述主義, verbalism)를 지칭한다. 7. 변화 : 키케로 주의로 변질된 인문주의는 17세기 자연과학의 발달과 함께 교육의 실용성을 강조하는 실학주의(實學主義, realism)에 의해 대체되어 나갔다. |
인본적 교육과정 人本的敎育課程 humanistic curriculum
|
1. 민주적인 사회구조의 틀 속에서 개인의 발전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2. 인본적인 교육과정의 내용은 인간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사회적인 상황과 인간적인 관점 및 그와 유사한 문제들이 교육과정 조직의 중심이 되는 것을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있다. 3. 모든 학문은 학생들이 다루고자 하는 문제를 공부하는 데 있어 자원이 된다. 그러나 학생이 어느 특정한 학문에 흥미를 느끼면 그러한 방향으로 깊이 연구하도록 허용이 된다. 4. 인본적인 교육 과정의 학습활동은 인간 경험의 지적(知的)인 면과 정의적(情意的)인 면과 사회 생활에 있어 인간관계의 면들을 주로 고려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
인본주의 人本主義 humanitarianism
|
1. 인간의 가치를 주된 관심사로 삼는 사상 2. 구분 ⑴ 인간의 고통을 극소화하고 복지를 증진시키려는 모든 도덕적?사회적 운동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다. ⑵ 신이나 자연이 숭배의 대상이 아니라, 오직 인간성(humanity)만이 존귀(尊貴)하다고 믿는 실증주의적 인간성 숭배의 사상을 일컫는 경우도 있다. ⑶ 예수그리스도의 신성(神性)을 부인하고 그 인격성(人格性)만을 주장하는 신학사상을 일컫는 말로도 사용된다. |
인본주의심리학 人本主義心理學 humanistic psychology
|
1. 행동주의적(行動主義的)이며 자연과학적 방법을 존중하는 연합주의(聯合主義)와 인간을 지나치게 분석적?결정론적으로 보는 입장에 반대하는 학자들의 심리학적 조류 2. 연합주의와 정신분석학은 주로 동물이나 비정상인을 대상으로 인간을 반응객체(反應客體)로 보고 인간현상을 기술하려 했음에 반하여, 인본주의 심리학은 건전한 인간자체를 대상으로 삼았으며 인간을 능동적인 성장가능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주체로 보았다. 3. 인간은 보다 자기조절적?자기통어적(自己統御的)이며 자기선택적(self-choice)이기 때문에 강요와 통제를 지양하고 그보다는 자발성과 자율성을 더욱 강조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4. 인간의 본성은 프로이드(S. Freud)의 주장처럼 생물학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인 데 있다고 주장하는 신(新) 프로이드 학파, 인간은 환경을 능동적으로 조작하고 이에 따라 경험이 구성되며 행동이 결정되고 이해될 수 있다는 게쉬탈트(Gestalt) 학파 및 장이론학자(場理論學者), 개개인의 전인적 의의를 강조하는 오가니즈믹(Organismic) 학자, 그리고 실존주의심리학자(實存主義心理學者)들이 모두 인본주의심리학자에 포함된다. |
인사 人事 staffing
|
1. 조직에 필요한 인원을 확보하여 적절한 자리에 배치하고 보충하는 일 2. 한 조직의 운영을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직책이 있는 바 학교의 경우를 보면 전문직으로서의 교육행정가와 교사직, 그리고 비전문직으로서의 사무직을 들 수 있다. 3. 학교조직 목표로서의 교육활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직무분석(職務分析)을 통한 인원의 적절한 구성과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
인사행정 人事行政 personnel administration
|
1. 조직의 목표활동에 필요한 인적 자원의 확보?배치 활용, 질적 향상 또는 근무조건의 확립 등, 일체의 행정활동 2. 경영의 3요소, 즉 돈?물자?사람 중에서도 인적요소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인식됨에 따라 인사 행정은 조직의 성공을 기약할 수 있는 최대의 관건으로, 거의 경영의 전부라고까지 일컬어지고 있다. 3. 인사행정은 조직의 구성원의 채용(採用)에서 퇴직에 이르기까지 조직에 있어서의 모든 「사람」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인 만큼 인사행정이 포함하는 영역은 넓고 다양하다. 4. 그것은 조직구성원의 신분과 자격, 선발과 임명, 승진과 전직(轉職), 부담과 휴가, 보수와 후생, 신분보장?징계?해고, 교육과 훈련, 근무평정?인간관계?사기(士氣) 노사관계(勞使關係) 등 광범한 영역을 포함한다. |
인적 자본 이론 人的資本理論 human capital theory
|
1. 인간이 교육과 훈련을 통하여 몸속에 축적시킨 지식?기술?창의력 등은 마치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동등한 역할을 하는데, 이 때 물적 자본인 기계가 가진 생산력과 비슷하게 인간의 몸에 갖추어진 생산력이 있다는 이론 2. 교육을 통해서 축적된 생산력은 결국 노동소득과 연결된다는 측면에서 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의 투자적 효과를 강조하고 있다. 3. 이러한 인적자본에 대한 중요성은 성서의 기록으로부터 16~17세기의 월리암 피티(William Petty)와 아담 스미스(Adam Smith) 시대를 거치면서 미약하나마 경제 분석에 도입되기 시작하였지만, 인적자본의 개념은 슐츠(Schultz)가 교육경제학이라는 학문과 연관시키면서 경제 분석에 본격적으로 도입 사용되기 시작한 1950년대 말부터 비로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4. 인적자본에 대한 이론들의 초기의 설명은 교육과 훈련이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그들에게 유용한 지식과 기술을 나누어 줌으로써 그들의 평생소득을 증가시킨다는 것이었다. 5. 그 시기에 인적자본의 개념은 교육경제학에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고, 노동시장의 분석, 임금결정, 그리고 다른 경제학 분야(예를 들면, 경제 성장분석, 건강지출비용분석, 이주(移住)인구 연구 등)에 강한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6. 인적자본과 교육투자의 개념은 주로 슐츠와 베커(Schultz & Becker)의 노력에 의하여 교육에 대한 경제적 사고에 있어 견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인적 자본에 대한 생각은 인간이 소유한 기술, 지식, 태도가 자원이며, 이러한 인적자본은 사회의 전체 가용자원 중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아이디어에 근거를 두고 있다. 7. 인적자본에의 투자를 회수율로 측정한 여러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교육에서의 회수율은 모든 나라에서 매우 높았고, 대학수준에서의 사적 회수율은 사회적 회수율을 초과하며, 교육에 대한 모든 투자회수율은 물적 자본에 대한 투자회수율보다 높고, 저개발국가에서의 교육투자회수율은 선진국에서의 회수율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8. 인적자본에의 투자는 현장훈련(on-the-job-training), 현장경험, 직업탐색의 과정, 이주, 연수 등의 다른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9. 그러나 교육은 인적자본형성의 과정이며, 국민소득을 증가시킨다고 하는 인적자본론에 대한 일부의 비판도 있다. 즉 교육은 노동자들의 생산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들의 생산능력을 만들어 내는 타고난 고도의 능력과 개인 특성을 가진 각 개인들을 걸러내는 선발장치(screen device)로 활동할 뿐이라는 비판이 있다. |
인지구조 認知構造 cognitive structure
|
1. 지각하는 현상을 믿음?태도 및 기대의 통합적이며 위계적인 형태로 조직한 것 2. S-R 이론이 학습을 시행착오의 반복을 통하여 고정되는 습관이라고 간주하는 데 반대하여 형태심리학에서는 학습을 통찰(洞察)에 의한 인지구조의 변화라고 주장했다. 3. 이때의 인지구조는 부분들의 단순한 산술적 총합이 아니라 조직된 전체라는 뜻을 갖게 된다. 4. 형태심리학은 지각(知覺)을 먼저 원자적인 감각으로 분석하고 다시금 종합하려고 했던 연합주의적(聯合主義的) 심리학에 반대하여 지각은 처음부터 조직된 전체로 주어진다는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학습 역시 이러한 전체적인 인지구조의 변화라고 주장하게 되었다. |
인지심리학 認知心理學 cognitive psychology
|
1. 톨맨(E. C. Tolman)의 기호학습 이론에서 출발하여 1960년대에 그 세력이 확대된 미국의 심리학의 한 분파. 2. 인간의 행동을 자극과 반응의 기계적인 연결에 의하여 설명하려고 하는 S-R 이론에 반대하여 인지활동을 강조한다. 3. 주로 전자계산기의 정보처리를 모형으로 택하여 주의(注意)?기억?사고 등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