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성 自律性 autonomy
|
1. 외부의 어떤 권위나 제재의 개입 없이 자기 결정에 의해서 생각하거나 행동하는 것 2. 칸트(I. Kant)는, 의지의 자율성은 의지 그 자체의 법칙을 의미하는 「정언적 명령」(定言的命令, categorical imperative)에 따르는 것이며, 이성적 의지 밖에 있는 권위나 목적에 따르는 것을 타율성(heteronomy)이라고 하였다. 3. 말하자면, 자신의 행위를 지배하는 원리?규범?규칙을 자신이 선택?결정하여 그것을 실행하는 자유가 곧 자율성이다. |
자율학습 自律學習
|
1. 전통적인 교수활동에서와 같이 교사의 사전(事前) 계획에 따라 교사가 학습을 통제하는 진행과정에서 일방적으로 받아들이는 학습이 아니라,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의 필요를 느끼고 학습문제를 발견하며 계획을 세워서 실행하는 학습 타율적인 학습과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자주적 학습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2. 수동적 학습에 대한 능동적인 학습, 소극적 학습에 대한 적극적 학습의 방향으로 발전하게 된다. 3. 이러한 가운데 학습자 자신의 자발성과 자율성, 그에 바탕한 창의성 등이 강조된다. 그러므로 누가 시켜서 이루어지는 학습이 아니라 스스로 자진해서 계획하고 실행한다. 4. 청소년들이 생활주변에서 야기되는 생활상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문제해결의 학습, 학생 자신이 구안(具案)하는 학습 등은 모두 자율학습이라 할 수 있다. |
작동적 조건형성 수업모형 作動的條件形成授業模型 operant conditioning(instructional) model
|
1. 스키너(B. F Skinner)의 작동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원리에 의해 학습(수업)현상을 설명하는 수업모형 2. 학생이 보이는 학습행동에 대해 강화(强化)나 보상(補償)을 제공하면 학생의 학습행동이 일어날 확률이 증가된다는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성립되는 수업모형이다. 3. 작동적이라 함은 학생으로부터 능동적(能動的) 행동이 일어나야만 강화가 주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학습행동이 잘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는 즉각적 강화, 간헐적(間歇的) 강화, 예기치 않게 강화를 제공하는 등 적절한 강화계획의 구성이 중요한 조건이 된다. 동시에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학습재료를 프로그램 수업의 형태로 쉽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의 능동적 참여를 자극하는 것도 한 조건이 된다. 4. 이 모형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혹은 능력수준이나 학습동기(學習動機) 수준이 낮은 학생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작동적 표현양식 作動的表現樣式 enactive representation
|
?표현양식 |
작동조건형성 作動條件形成 operant conditioning
|
1. 작동행동이 일어날 때, 또는 작동행동이 일어나는 바로 그 경우에만 강화자극을 제공하여 작동행동을 증강 또는 감소시키는 것 2. 여기서 작동행동은 자극에 의해서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자극이 주어질 수 있도록 자극의 제공을 유발하는 행동을 가리킨다. ? 수동조건형성, 조건형성 |
잠복기 潛伏期 latency, latent stage
|
1. 정신분석 이론에서 6세에서 12세 사이의 발달단계 2. 이 시기에는 본능이 행동의 동기 유발에서 극히 미미한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고 한다. |
잠재의식 潛在意識 subconscious
|
1. 어떤 경험을 의식적으로 한 후, 그 경험과 관련된 사물?사건?사람?동기 등과 같은 것이 일시적으로 기억?감지(感知)되지 못하고 있으나 그것이 필요하면 다시 기억 재생(記憶再生)할 수 있는 상태 2. 흔히 전의식(前意識, preconscious)이라고도 하며 무의식과 의식의 중간과정으로 간주한다. ? 무의식 |
잠재적 교육과정 潛在的敎育課程 latent curriculum
|
1. 학교의 물리적 조건, 지도 및 행정적 조직, 사회 및 심리적 상황을 통하여 학교에서는 의도하고 계획 세운 바 없으나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은연중에 가지게 되는 경험 2. 숨은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 구조화되지 않은 교육과정(unstructured curriculum), 계획되지 않은 교육 과정(unplanned curriculum), 비공식적 교육과정(unofficial curriculum), 내현적 교육과정(來現的敎育課程, covert curriculum), 비가시적 교육과정(非可視的敎育課程), 내적 교육과정(internal curriculum), 조직되지 않은 교육과정(unorganized curriculum), 기대되지 않은 교육과정(unexpected curriculum), 비형식적 교육과정(informal curriculum)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3. 이 개념이 나타난 것은 1970년대이며 종래의 교육과정 개념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4.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주로 학생들의 태도?가치관 신념과 관련되는 정의적 측면에 영향을 주며, 학교의 문화풍토, 교사의 인격적 감화를 중시하고 있다. 또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반복적?장기적으로 배우게 되므로 학습결과는 항구성을 지니게 된다. 5. 이러한 잠재적 교육과정은 교육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며 학교의 계획 활동과 갈등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 표면적 교육과정 |
잠재적 학습 潛在的學習 latent learning
|
1. 행동으로 드러나지 않는 학습 2. 예컨대 먹이를 충분하게 섭취한 쥐를 미로(迷路) 속에 넣고 10일간 탐색활동을 하게 하였다. 11일 째 되는 날에는 먹이를 주지 않고 미로의 종점을 바로 찾아가야만 먹이를 제공하였다 (즉, 먹이로 강화하였다). 하루 내지 이틀 사이에 이 쥐는 10일간 강화를 계속했던 통제집단의 쥐와 마찬가지로 정확하게 미로의 종점을 찾아가는 행동을 하였다. 쥐는 강화되지 않은 10일간 행동으로는 드러나지 않았지만 잠재적 학습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기호학습설 |
장기 기억 長期記憶 long term memory ; LTM
|
1. 감각통로를 통해 투입된 정보가 단기 기억의 과정을 거쳐 비교적 영속적으로 저장되는 기억의 과정 2. 2차적 기억(secondary memory)이라고도 하며, 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다시 재생?활용되고 반응으로 나타난다. 장기 기억은 그 수용능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비교적 영속적인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3. 한편 장기 기억에 저장된 정보는 조직적이고 체계화된 형태로 저장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기억, 단기 기억 |
장독립성 場獨立性 field independency
|
1. 어떤 지각대상을 에워싸고 있는 시각적 장(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지각하는 것 2. 이와 달리 장의 영향이 작용하는 양식으로 지각하는 것을 장의존성이라고 한다. |
장이론 場理論 field theory
|
1. 인간의 행동을 개인의 현재의 상황, 즉 장(場)과의 관계로 설명하려는 이론 2. 레빈(K. Lewin)과 그의 추종자들이 발전시킨 이론이다. 이 이론은 세 가지 원리에 관련된 사고를 반영하고 있다. ⑴ 상황의 여러 가지 상이한 측면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의존 ⑵ 행동과 현재의 장의 조직과의 관계 ⑶ 장을 개인의 경험 속에서 추상적이고 체계적으로 해석하고 설명할 필요성 등을 포함하고 있다. 3. 레빈은 물리학의 「힘의 장」(field of force)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개인의 어떤 순간의 행동이란 개인의 심리적 장 안에서 동시에 작용하고 있는 힘의 합성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태도?기대?감정?욕구 등은 내면적 힘을 이루고 있으며 이 내면적 힘은 외적 힘과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4. 따라서 개인의 심리적 장은 내면적 힘을 지닌 개인이 지각한 환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형태심리학의 발전과 연합하여 개인의 행동의 전체성과 지각의 대상, 즉 환경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하였다. |
장학 ?學 [영] supervision [독] Forderung
|
1. 학습지도의 개선을 위하여 제공되는 지도 조언(助言)을 비롯하여, 교육활동의 전반에 걸쳐 교육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전문적?기술적 봉사활동 내지 참모활동(參謀活動) 2. 장학은 교육활동의 계획연구?행정관리?학습지도?생활 지도를 포함하는 여러 영역에 걸친 일련의 봉사활동이며, 교사와 학생이 자기 성장을 이룩할 수 있도록 조장(助長)하고 유도하는 학교 행정 당국자들의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노력의 총체이다. 3. 장학은 본래 초기의 권위주의적 시학(視學)에 의한 장학단계로부터 출발하여, 20세기 초 인간관계 이론의 발달에 따라 점차 전문적인 기술적 지도?조언과 민주적?협동적 지도단계로 변천하여 왔다. 시학에 의한 장학단계에서는 장학을 비전문가들이 담당하였으나, 점차 교장?교육감?교육장?장학사 등이 장학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오늘날은 장학행정의 분화(分化)와 전문화과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장학방법과 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장학지도, 장학방침, 참여적 장학 |
장학사 ?學士 junior school supervisor
|
1. 현장교육 실천을 추진하기 위하여 교육목표?교재연구?학습지도법 등 교육에 관한 모든 조건과 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지도 조언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교육행정 직원 2. 교직의 특수성에 비추어 관리행정직과는 분리된 교육전문직으로서 중앙교육연구원, 시?군 교육청에 소속되어 있다. 3. 장학사는 지휘?명령?감독권은 가지고 있지 않다. 임명은 교육부장관이 하며 자격은 교육공무원법에 규정되어 있다. |
장학지도 ?學指導
|
1. 학습지도의 개선과 학생의 성장 발달을 돕기 위하여 조력하고 지도하는 장학담당자의 활동 2. 장학지도는 현대적 장학개념의 본질로서 지도조언에 중점을 두고 행하여지는 장학을 의미하며, 교사들의 교육활동에 대한 감독이 아니라, 문제해결력을 돕고 지도성?전문성 및 자기 성장을 돕기 위한 관여(關與)이며 노력봉사라고 할 수 있다. 3. 장학지도를 담당하는 전문직으로서는 장학관?장학사가 있으며, 실제로는 교육감?교육장?교장 등에게도 이와 같은 장학지도 활동이 요구된다. 4. 장학지도 담당자가 갖추어야 할 기술로서는 지도성?인간관계 기술?집단과정을 통한 의사 결정 기법 인사관리?평가기술 등을 들 수 있으며, 장학지도의 일반적 방법으로는 학교방문 또는 학사시찰(學事視察), 연구학교의 운영 및 연구수업?현직교육?회담?각종 연구집회?지역사회와의 관계 조정 등이 행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