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양식 認知樣式 cognitive style
|
1. 지각?기억?판단의 일반적 구조를 조직하는 양식 2. 특수한 과제나 문제해결에서 이에 접근하는 방식을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3. 가드너(R. W. Gardner)는 수평화-첨예화(leveling-sharpening) 차원 등으로 인지양식을 구분하고 위트킨(H. A. Witkin) 등은 장의존성-장독립성(field dependence-field independence) 등으로 구분하여 이들과 과제수행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
인지전략 認知戰略 cognitive strategies
|
1. 학습자 자신이 주의 집중하기, 학습하기, 기억하기, 사고하기 등의 내재적 정보처리과정을 조절함으로써 획득하게 되는 기능 2. 인지전략은 학습자 자신의 내재적 정보처리 과정을 통제하는 기능을 말하며 학습과 사고를 자율적으로 지배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환경 지향적인 지적 기능과는 구별된다. 3. 인간은 자신의 방식대로 기억하거나 사고하는 기능을 학습한다. 예를 들면, 어떤 학생은 교과서에 담긴 여러 가지 내용에 대하여 읽어가는 방법을 나름대로 터득하게 된다. 분명하게 서로 관련이 없는 많은 명칭들을 학습하게 될 때, 학습자는 우선적으로 명칭들 간의 「관계」나 혹은 이미 잘 알고 있는 다른 명칭들과의 「관계」를 파악해 보면서 새롭게 제시된 명칭들을 학습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학습자는 관찰한 장면의 세부적인 사항을 포착하거나 또는 그가 들었던 강의의 요점을 기억해 낼 수 있는 「독특한 기능」을 획득하게 된다. 4. 학습자는 사고의 기법, 문제의 분석방법, 문제해결의 접근 방법 등을 학습하게 된다. 이러한 기능들을 「인지전략」이라고 말한다. 5. 학자들의 견해 ⑴ 브루너(J. Bruner) : 인지전략이란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데 사용하는 정보처리과정들을 관련짓는 것이다. ⑵ 로쓰코프(E. Z. Rothkopf) : 의미정교화 활동(mathemagenic activities)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⑶ 스키너(B. F. Skinner) : 자기경영 행동(self-management behavior)이다. 6. 인지전략은 언어나 수와 같은 외재적 학습내용의 특수한 종류에 관심을 두고 있다기 보다는 오히려 내용과는 대체로 독립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모든 종류의 학습에 적용되는 것이다. 7. 만약에 학습자의 주의집중전략(인지전략의 한 가지 유형임)이 개선된다면, 이러한 전략은 특정의 교과내용과는 관계없이, 모든 교과내용의 학습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억하는 방략, 기억한 것의 탐색방략, 회상방략, 사고방략 등의 인지전략은 교과내용에 구애됨이 없이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8. 인지전략의 학습을 위한 내재적 조건으로는 학습자가 이미 학습한 바가 있거나 또는 활용을 위해서 회상가능한 유용한 범주들을 풍부하게 지니고 있어야만 된다는 것이다. 인지전략의 학습을 위한 외재적 조건으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으며, 다만 최적의 외재적 사태들을 구안해 내는 실제적 수단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새로운 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인지전략들의 활용을 연습해 보도록 고무시켜 주게 된다는 것이다. |
인카운터 집단 ―集團 encounter group, basic encounter group
|
1. 집단상담의 일종 2. 특징 ⑴ 친숙하고 의견과 감정 등을 서로 나누어 가짐으로써 자기 자신의 내적 성장을 도모한다. ⑵ 집단의 역동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개인의 성장에 관심을 둔다. |
일반교육 一般敎育 general education
|
1. 모든 사람에게 공통되는 경험을 내용으로 하는 교육 2. 모든 사람이 당면하는 개인적 및 사회적인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하는 데서 보람을 거두는 교육을 말한다. 3. 전문하는 분야가 무엇이건간에 교육받은 사람에 공통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
일반체제이론 一般體制理論 general systems theory
|
1. 여러 학문의 개념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려고(embody) 시도하는 이론 2. 경제학?심리학?화학?물리학 등의 학문은 그들 각각의 학문에서의 현상을 이해하려는 데 강조를 둔다. 3. 실세계(實世界)에서의 일반적인 관계를 기술하는 이론적인 구조를 개발하기 위한 모형 작성의 개념적 수준을 동원한다. 4. 특징 ⑴ 일반적인 접근, 즉 경험 세계 또는 실제세계의 현상 간의 일반적인 관계를 기술 분석하는 점 ⑵ 다른 학문간의 영역(interdisciplinary)에 강조를 두어 사이버네틱스?조직이론?경영과학 등을 동원한다는 점 ⑶ 처방적(prescriptive) 발달단계라고 하기보다는 기술적(descriptive) 단계라는 점 5. 이러한 일반체제이론의 출현은 경영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고 보겠는데 그것은 사회학?심리학?경제학?정치학?인류학 등을 포괄하는 서로 다른 전문분야 간의 학문이기 때문이다. |
일원론 一元論 monism
|
1. 일반적으로 어떤 사물이나 세계를 하나의 원리로 설명하려는 입장 2. 형이상학적 일원론은 세계의 부분이나 전체를 하나의 궁극적인 실체로 설명하려는 입장 3. 인식론적 일원론은 인식의 대상 그 자체와 인식의 과정에서 얻어진 표상(表象, idea)이 하나일 수 있다는 주장 4. 심신일원론은, 정신과 신체는 궁극적으로 하나로 설명 혹은 환원될 수 있다는 주장 |
일화기록법 逸話記錄法 anecdotal records
|
1. 한 개인의 행동에 관해 제 3자의 입장에서 관찰?기록하는 것 2. 한 학생의 특정한 행동을 그 행동이 있을 때마다 이를 상세히 종단적으로 관찰?기록하는 것 3. 이 방법은 주로 학생의 정의적 학습과 사회적 적응의 평가에 사용되나 일반 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도 이용 될 수 있다. 4. 이 방법은 특정한 학생의 문제행동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 하나의 문제행동을 해결하는 데는 그것이 어떠한 발달과 변화과정을 거쳐왔는가에 관한 과거의 지식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5. 특징 ⑴ 어떤 행동이 언제, 어떤 조건하에서 발생되었는가의 사실적 기술이 있어야 한다. ⑵ 이러한 행동에 대한 해석과 처리방안이 각각 따로 분리되어 기록 제시되어야 한다. ⑶ 하나의 일화기록은 하나의 사건의 기록이 되어야 하며 여러 시기의 사건을 총괄하여 종합적으로 기록해서는 안된다. ⑷ 하나의 기록된 사건은 그 학생의 발달과 성장을 이해하는 데 의의 있는 것이 되어야 한다. 6. 이 방법은 다른 관찰방법보다 일반적으로 비공식적이며, 그 체계성이 적다. 7. 또한 시기에 따른 체계적인 시간표집이 되는 것이 아니라 그때그때 사건이 생길 때마다 기록되므로 다른 관찰방법보다 덜 신뢰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
입학도설 入學圖說
|
1. 고려 말 양촌(陽村) 권 근(權近)이 공양왕 2(1390)년에 초학자를 위해 저술한 한국 최초의 도설 2. 입학도설은 책 이름이 말하여 주듯, 당시 학문의 길에 뜻을 둔 젊은이들이 우선적으로 알아야 할 기본적 지식, 예를 들면 《대학》《중용》 또는 《천인심성합일설》(天人心性合一說) 따위를 도설로써 알기 쉽게 풀이한 것이다. 4. 그 작성요령은 주로 주돈이(周敦?)의 《태극도설》을 근본으로 하고, 주자의 《중용장구》(中庸章句)를 참고로 하여 그림을 만들고, 그밖에 선현들의 설을 취하여 해설을 붙인 것이다. 5. 우리나라의 유학은 도설이 많기로 유명한데, 특히 양촌의 입학도설은 오늘날 전하는 도설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서, 그것이 후세에 나오는 도설과 학문에 끼친 영향을 대단히 크다. 6. 양촌의 도설과 사상을 직접 이어받은 것으로는 김 반(金泮)의 《속(續) 입학도설》과 권 채(權採)의 《작성도》(作聖圖) 및 《작성도론》(作聖圖論)을 들 수 있으며, 그밖에 추만(秋巒) 정지운(鄭之雲)의 《천명신구도》(天命新舊圖)와 퇴계의 《성학십도》(聖學十圖)도 전적으로 양촌의 영향을 입은 것이다. |
자극 刺戟 stimulus
|
1. 기본 생리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비교적 가공되지 않은 물리적 에너지의 형태 ⑴ 이러한 자극의 예로는 빛?음파?온도 등 생리적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모든 물리적 자극을 들 수 있다. ⑵ 생리학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서 감각 시스템이나 운동 시스템에 전해지는 단순한 물리적 에너지를 말한다. 2. 자극-반응이론에서, 유기체가 반응하는 대상이 되는 것 ⑴ 이러한 자극은 유기체의 행동을 통제하거나 촉진하는 기능이 강조된다는 점에서 물리적 자극과 구별된다. ⑵ 이 자극은 그 성격에 따라 조건 자극-무조건 자극, 혐오적 자극-강화적 자극 등으로 구분되며 특정한 자극은 특정한 행동과 일관된 양식으로 결합된다고 믿어지고 있다. 3. 한 연구의 독립변인 혹은 실험을 장치하는 방식 |
자극-반응학습 刺戟-反應學習 stimulus-response learning ; S-R learning
|
1 특정 자극에 대해서 학습자가 특정 반응을 함으로써 어떤 자극과 반응이 결합되는 학습 2. 고전적 조건 형성, 도구적 조건 형성 등이 자극-반응 학습의 대표적인 유형이다. 3. 이 유형의 학습은 기계적인 학습이며, 따라서 가장 기초적인 학습이다. ? 조건 형성 |
자기주도학습 self-directed learning
|
1.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의 참여 여부에서부터 목표 설정 및 교육 프로그램의 선정과 교육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전 과정을 자발적 의사에 따라 선택하고 결정하여 행하게 되는 학습형태 2. 자기주도학습은 특히 사회 교육이나 성인학습의 특징적 방법으로 많이 활용된다. 3. 이유 ⑴ 학교교육의 경우는 통상적으로 정형적 교육(formal education)의 성격상 표준화된 교육과정에 의해, 교사의 주도하에, 타율적인 교육이 실시되나 이와 달리 사회교육에서는 상대적으로 학습자에 의한 자율적 교육의 선택 폭이 넓은 비정형적이고 자율적이며 이질적이고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⑵ 사회교육의 주 대상이 되는 성인학습자는 아동 및 청소년 학습자와는 달리 자아개념이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성숙하게 되므로 자기 주도학습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이러한 자율적 학습이 보다 효과적인 교육방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능동적 존재로서의 학습자 ⑴ 자기 주도학습에서 학습자는 단순히 수직적이고 위계적인 학습 풍토 하에서 수동적으로 학습에 임하는 객체가 아니다. ⑵ 학습자는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활동의 전과정에 보다 적극적으로 그리고 자율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교수자와 학습자는 상호 대등한 수평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5. 자기 주도적 학습의 전제조건 ⑴ 자신의 학습필요와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진단하고 있어야 한다. ⑵ 학습의 참여 여부와 참여 시기 등을 자율적으로 필요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해야 한다. ⑶ 학습목표를 선정함에 있어 추상적이고 막연한 학습 목표의 설정이 아니라 자신의 학습 욕구와 필요에 따라 적정의 학습 목표를 명확하게 선정해야 한다. ⑷ 학습내용 및 방법의 선정에 있어 이러한 학습 욕구 및 학습 필요에 기초하여 어떠한 내용의 학습프로그램이 적합할 것이며 그 방법은 어떠해야 할 것인지를 자율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이때 혼자서 독립적인 학습을 통해 이러한 학습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사회교육 기관이나 시설, 학교, 특정의 학습집단에 참여함으로써 집단학습 형태를 통한 자기주도학습을 행할 것인지 또는 개별학습계획을 수립하여 자율적으로 독립적 학습에 의해 자기주도학습을 행할 것인지 등을 결정해야 한다. ⑸ 교육성취 결과를 평가함에 있어서도 외부의 객관적 평가나 교사 및 전문가에 의한 평가에 앞서 학습자 스스로의 주관적인 평가가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자율적 자기 판단과 자기 평가가 오히려 더 중시되어야 한다. 6. 오늘날 이와 같은 자기주도학습은 많은 사회교육의 장과 성인학습에 매우 중요한 교육의 기본 원리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자기주도학습은 참여 학습이나 자율학습, 자기학습, 독립학습 등의 개념과 관련된다. |
자기통제 自己統制 self-control
|
1.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외부로부터의 강화나 벌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자기 스스로 내적 강화나 벌을 부가함으로써 특정의 행동을 하게 되는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 2. 조직의 상급자와 구성원이 서로 목표를 합의한 후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스스로 중간 점검을 하고 반성하며 시정하여 전체 조직의 운영 효과를 높이고 원래의 목표에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활동 3. 자기통제의 개념은 조직의 구성원들이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더라도 그러한 공헌(貢獻)들이 모두 공동의 목표달성을 위해 기여토록 조직의 운영을 개선하여 능력주의적 실적중심을 하자는 목표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 내지 기본적인 원리라 하겠다. |
자기통제 기법 自己統制技法 self-control technique
|
1. 행동수정 이론에서 즉각적인 외부의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자기 스스로 유발(誘發)한 자극에 의해서 특정의 행동이 발생될 확률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기법 2. 자기평가, 선행자극(先行刺戟)의 통제, 후속결과의 통제, 자기강화 등의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
자기 활동 自己活動 self-activity
|
1. 자기 자신의 흥미(interest)에 의해서 결정하며, 자기 자신의 힘(power)에 의해서 지속하며, 다른 사람의 개입 없이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어떤 결론을 이끌어 내는 학습활동 2. 이러한 어린이들의 자기 활동을 교육원리로 제창한 사람은 페스탈로찌(J. H. Pestalozzi)?프뢰벨(F. W. A. Frobel)?듀이(J. Dewey) 등이다. |
자동교육 自動敎育 auto education
|
1. 아동 스스로 자료를 다루는 가운데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교육 2. 아동에게 준비된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고 자유를 허락하면 스스로를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3. 이는 몬테소리(M. Montessori) 유아교육의 중심 개념으로, 아동은 자기 스스로 정정(訂正)해가며 교육할 수 있는 자력(自力)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회를 제공하면 실제 필요한 능력을 스스로 터득한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