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교육령 朝鮮敎育令
|
1. 일제시대 조선의 교육에 관한 제반 사항을 규정한 법령 2. 전후 4차에 걸쳐 시행되었다.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조선인의 교육기회를 제한하고, 일본에 충성하는 인간을 기르는 목적은 계속되었다. 3. 제 1차 조선교육령 : 1911년 8월 22일에 반포되어, 「충량한 국민」의 육성이라는 목적을 제시하고, 조선인만을 대상으로 하여 저급한 수준의 보통 교육, 실업교육 및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4. 제 2차 조선교육령 : 이에 대해 조선인들이 차별교육 및 교육기회의 제한에 대한 비판을 제기하자 1922년 2월 4일 제 2차 조선교육령이 반포되었다. 이 조선교육령에는 이전과 달리 조선에 체류하는 일본인들에 대한 규정도 포함시켰으나, 여전히 일본인과 조선인에 대한 차별은 시정되지 않았고, 또 대학에 관한 조항을 신설하였지만 이것은 조선인의 고등교육에 대한 요구를 무마하기위한 것이었다. 3. 제3차 조선교육령 : 제 3차 조선교육령은 일본의 파시즘체제가 강화되면서 충성스러운「황국신민」을 키우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때부터 조선인과 일본인에 대한 차별규정은 사라졌지만, 내용상으로는 조선어 및 조선역사 등을 전면적으로 금지하여 일본에 충성하는 사람을 기른다는 성격은 보다 강화되었다. 4. 제4차 조선교육령 : 1943년 4월 1일에는 제 2차 세계대전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제 4차 조선교육령을 발표하여, 교육기관이 군사훈련소화 하는 등 교육의 기능은 실제적으로 마비되었다. |
조의선인 ?衣仙人
|
1. 고구려 때의 벼슬 2. 12등급의 하나로 국정을 맡아보았다. 3. 상고시대부터 있어온 무사(武士)를, 신라에서는 아름다운 용모를 중시하여 화랑(花郞)이라 하고 고구려에서는 조의, 즉 검은 비단옷을 입고 있었으므로 조의선인이라 했다. 이들은 평상시에는 도로와 하천 및 성곽의 개수 등 공공사업에 힘쓰고, 전시(戰時)에는 양식을 가지고 스스로 집단적으로 전투에 자진 참여했다. |
조작적 정의 操作的定義 operational definition
|
1. 어떤 술어를 정의하고자 할 때, 그 술어가 포함되는 명제의 진위(眞僞)를 판별할 수 있는 조건을 지시하여 정의하는 것. 2. 조작적 정의는 성향(性向, disposition)을 나타내는 말에 적용된다. 예컨대, 소금의「용해성」(溶解性)이라는 말을 정의하고자할 때, 그 말이 적용되는 "소금은 용해성을 가진다"라는 문장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해서 조작이 가해진다면, 그것은 소금을 물 속에 넣는 일이다. 소금의 「용해성」이라는 말은 "소금을 물 속에 넣으면, 그것은 녹는다"는 뜻이다. 3. 조작적 정의는 “-한 조건하에서” 식으로 조작의 사태를 제시하고 “~한다"는 식으로 관찰 가능한 사실을 표현한다. 통상적으로 하나의 성향개념은 조작방식에 따라서 여러 개의 조작적 정의를 갖는다. ? 조작주의 |
조작주의 操作主義 operationalism
|
1. 과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그것이 획득된 구체적 과정?대상 혹은 사상(事象)의 조작을 통하여 비로소 객관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는 주장 2. 본래 물리학자인 브리지만(P. W. Bridgman)이 1927년에 《현대 물리학의 논리》(The Logic of Modern Physics)에서 처음으로 「조작적 정의」라는 말을 사용한 데서 비롯된다. 3. 과학적 지식은 공적(公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반복 가능한 조작에 의해서 객관화되며, 술어 또는 명제는 그것이 표현하는 구체적 사태의 조작에 의해서 의미를 밝힐 수 있다는 것이다. 4. 조작주의는 종래 철학적-사변적 심리학의 내성적(內省的) 방법에 의한 의식(意識)의 연구에서 탈피한 행동주의(行動主義) 심리학의 기본적 전제가 되고 있다. |
조절 調節 accomodation
|
1. 사회적 과정(social process)에서 개인이나 집단이 서로 갈등적 또는 적대적 상황을 해결하지 않은 채 함께 생활하거나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상호간의 긴장과 갈등을 줄이려는 노력 ※ 조절은 실제적으로는 적대감정이나 서로 이질적인 요인을 갖고 있으면서도 함께 일을 하고 생활하는 것이므로 갈등완화(conflict-reducing) 기술의 하나이기도 하다. 조절의 예로서 부부가 싸움을 하면서도 별거나 이혼을 하지 않고 함께 생활하거나, 전쟁 당사자가 휴전을 하는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조절이 조화로운 상태로 발전하게 되면 양자의 관계는 통합되고 융합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사회생활 과정에서 협동을 무엇보다도 강조하게 되지만 이질적인 개인이나 집단의 협동관계는 처음부터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절단계를 거쳐야만 하는 것이다. 2. 환경에서 오는 도전을 받음으로써 유기체가 지적인 구조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 ※ 피아제(J. Piage)의 이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서 생물학에서 빌려온 것이다. 유기체(有機體)가 환경의 변화에서 살아남으려면 유기체 자신이 구조적 변화를 가져와야 한다. 보호색(保護色)이 그 예인데, 같은 기능이 인간에게도 있다. 예를 들어 빠는 행동은 처음에 무엇이든지 빤다. 그러나 어떤 것은 우유를 주고 어떤 것은 우유를 주지 않으므로 신생아는 무조건 아무것이나 빨아서는 안된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즉, 빨 것과 안 빨 것을 구별하는 지적인 망(網)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어떤 문제가 기존의 지식을 적용하여 해결이 안되면 이 기존 지식체계를 변화시키는 것 또한 조절작용이다. 피아제에 의하면 동화(同化, assimilation)와 함께 모든 지적기능에 내재하는 불변의 두 기능을 이룬다. |
조직풍토 기술 질문지 組織風土記述質問紙 organizational climate description questionnaire
|
1. 교사집단의 특징과 교장의 행동에 대해 교사들의 지각을 통해서 학교풍토(學校風土)를 기술하는 전문지 2. 핼핀(A. W. Halpin)은 학교조직 풍토 형성요인을 교사집단의 특징과 교장의 지도성 행동차원으로 구분하고 있다. 3. 교사집단의 특징 요인은 자유방임?장애(障碍)?사기(士氣)?친밀성 등의 요인이 하위개념으로 되어 있고, 교장의 행동특성 요인은 초월성?생산성?추진성?사려성 등의 요인이 그 하위개념으로 되어있다. 이상 8개 요인별로 한 척도에 따라 8개의 문항이 있다. 그들은 개방쪽에 있는 학교풍토는 민주적이고 발전적이라고 보고, 폐쇄쪽에 있는 풍토를 기능적으로 고착된 전제적(專制的) 풍토라고 해석하고 있다. 4. 그들은 점수에 따라 학교조직 풍토를 자율적 풍토?개방적 풍토?통제적 풍토?친교적 풍토?간섭적 풍토?폐쇄적 풍토 등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있다. |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 組織化―無秩序組織 organized anarchy
|
1. 조직의 목표, 테크놀로지 그리고 참여자 등의 요소들이 불분명하고 유동적인 상태에 있는 조직을 말함 2. 코헨, 마취 및 올센(Cohen, March and Olsen)에 의해서 개념화되었다. 이들은 특히 교육 조직에 고전적인 조직 이론의 개념들을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조직화된 무질서조직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이들은 교육 조직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파악하였다. 3. 교육 조직은 목표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분명하지도 않고 서로간에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교육 조직 구성원들은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4. 교육 조직에서 사용되는 테크놀로지는 불확실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교육 조직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유동적이고 이들의 참여 또한 가변적이다. 즉 학생들의 드나듬이 심하고, 교사와 행정가들이 오고 가며,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참여도 변화가 심하다. 5. 코헨, 마취와 올센은 이런 특징을 가진 조직을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이라 명명하고 전통적인 고전적 조직 이론가들이 상정하는 조직과 구별하였다. 조직화된 무질서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 결정은 합리적이거나 체계적인 것이 아니라 시행착오와 우연적인 결과로 이루어진다. 목표가 불분명하고, 테크놀로지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며, 참여자들도 유동적인 상황에서는 문제의 해결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방법과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6. 쓰레기통모델 : 이렇게 불명료한 상황 속에서 합리적이지 못한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 의사 결정의 모델이 코헨, 마취 그리고 올센의 이른바「쓰레기통(garbage can) 모델」이다. 이 모델은 대학에서의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에 기초하여, 조직을 관료적이고 합리적인 체제로 보는 고전적 조직 이론의 한계점을 지적한다. |
조화평균 調和平均 harmonic mean
|
1. 주어진 집단의 측정결과에 대한 대표치의 하나로서 개별점수의 역(逆)의 산술평균의 역(逆) 2. 각 개인별 측정치를이 라고 하고 전체 사례수를 N, 그리고 조화평균을 H라고 하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3. 조화평균은 특별한 유형의 대표치로서 그 사용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4. 그러나 어떤 특정한 자료를 요약하는 데 대표치로서 다른 대표치보다 우수하고 대표치로서 오차를 피할 수 있게 해준다. 5. 예 : 시간비율의 평균 또는 특정한 물가계산에 적합하다. 또 통계에 있어서 평균의 표준오차는 사례 수 N에 역비례하므로 평균의 표준오차의 통합에도 사용된다. 6.일반적으로 조화평균은 산술평균이 갖는 편견성(偏見性)에 역(逆)으로 관계되고 있다. |
종속변인 從俗變人 dependent variable
|
1. 독립변인의 조작결과(操作結果)에 의존하며 이의 효과를 판단하는 준거가 되는 변인 2. 실험의 기본적인 형태는 어떤 변인이 다른 어떤 변인에 어떠한 영향, 즉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예컨대 X변인을 교수방법, Y변인을 학생의 학업성적이라고 한다면, 실험자는 X변인을 다른 요인들과는 독립하여 체계적으로 조작시켜 보고 이러한 조작에 의존하고 종속되어서 Y변인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코자 할 것이다. 이때 X를 독립변인, Y를 종속변인이라고 한다. 이 변인은 독립변인의 조작결과에 의존하며, 거기에서 투출(投出)된 것이고, 거기에 반응된 것이며, 그리고 독립변인의 효과여부를 판단하는 준거가 되기 때문에 투출변인?반응변인?준거변인이라고도 한다. 3. 성취도?태도 등이 예이지만 무엇이 종속변인인가는 물론 실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또한 대개 실험에서는 하나를 취하지만 하나 이상의 종속변인을 취할 수도 있다. ? 독립변인, 변인 |
종속이론 從屬理論 depenedency theory
|
1. 제3세계 국가의 저발전은 한 국가 내의 재화나 용역 등의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체제 속에서 중심부와 주변부의 세계적 수준의 분업에 기인하며, 주변부의 국가는 중심부의 국가에 의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종속상태에 있다는 이론 2. 종속이론은 근대화이론과 발전이론에 대한 대안적 패러다임으로 등장했다. 제3세계 국가의 저발전 현상을 서구세계의 발전과 분리시켜 설명할 수 없으며, 오히려 제3세계의 저발전은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서구세계의 국제적 팽창과정 속에서 제3세계 국가가 식민지로 편입된 결과로 파악한다. 3. 종속이론은 자본주의 세계체제의 발전을 중추-위성 관계(metropolis-satelite)로 파악하는 프랭크(A. G. Frank)와 중심부-주변부(center-periphery)로 구조화한 아민(S. Amin), 핵심부-주변부-반주변부(semi-periphery)로 파악한 월러슈타인(I. Wallerstein)에 의해 제기되었다. 4. 교육에서 종속이론은 주로 문화적 측면에서 제기된다. 세계체제 속의 한 국가라는 상황은 교육의 발전과 저발전에 대한 세계적 수준의 경제, 정치, 사회문화적 요인을 조건지으며, 이는 주변부에 대한 중심부의 언어-교과서, 교육과정, 기술의 사용 등-가 계속적으로 지배적인 위치를 갖고 있음을 설명해 준다. 즉 교육원조, 고등교육체제, 지식의 생산과 보급의 세계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중심부는 주변부에 대한 지배력을 계속적으로 유지한다. 특히 카노이(M. Carnoy)는 제3세계 국가의 교육팽창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로 서구 자본주의국가의 문화적 지배를 들고 있다. |
종학 宗學
|
1. 조선조 때 왕족의 자제 교육을 위하여 세운 왕족학교 2. 《국조보감》(國朝寶鑑)에 "세종 11년(1429)에 처음으로 종학을 세우고 문행(文行)과 학덕이 높은 사람을 가려 박사를 삼고 종친들을 가르치니, 이로써 예도가 서고 질서가 바로잡히다" 한 것을 본다면 종학으로써 비로소 왕족통을 세우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이 종학은 연산군 때 일시 폐지되었다가 중종 때 다시 부활되어 그 이후에는 쇠퇴하기에 이르렀다. 중국의 경우도 명대(明代)에 종학을 두어 청대(淸代)에까지 있었다. |
종합고등학교 綜合高等學校
|
1. 보통과정과 직업과정을 함께 설치(設置)한 고등학교. 우리나라의 종합고등학교는 1956년 평택고등학교를 시범?실험학교로 지정하고 운영한 것이 효시(嚆矢)이다. 2. 평택고등학교를 종합고교로 개편할 때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을 OEC/ICA의 교육책임자였던 문교부의 교육 고문인 우드(Wood) 박사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종합고교는 미국의 종합고교의 형태를 도입 한 것이라 볼 수 있다. 3. 기존 고교들이 종합고교로 개편하게 된 동기는 학교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다. 대체로 ① 일정지역 내 동일 학과만이 설치된 학교가 많아서, ② 기존 고교가 학생들의 적성이나 진로(進路)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③ 지역사회의 특수성 또는 요구에 맞는 교육이 곤란하므로, ④ 정원미달로 인한 학교의 유지?경영이 어려워서 등을 들 수 있다. 이 동기가 말해 주듯, 우리나라의 종합고교는 매우 이상적인 제도로 등장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인문 숭상(人文崇尙)의 오랜 전통과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로 의도한 바대로 운영을 못하고 변칙적으로 운영되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4. 즉, 종합 고교의 특색인 학생의 능력?적성?흥미에 맞는, 또는 지역사회의 필요에 의한 과정을 설치하기보다는 재정적(財政的) 수요가 적은 과정을 중심으로 설치 운영되어 왔다. 1973년에 213개 교의 종합고교가 설치되어 전성을 이루었으나 그 후 점차 감소되었으며, 근래 종합고교의 개념을 더욱 발전시켜 통합고교 제도안(統合高敎制度案)이 대두되고 있다. ? 통합고등학교 |
종합력 綜合力 synthesis
|
1. 전에 없었던 어떤 전제를 구성하도록 요소와 부분을 함께 모으는 능력 2. 이 과정에서는 장면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상당한 창의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종합력에는 새로운 생각을 짜내고 조직하는 창의력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객관형 검사로 재기는 어렵다. 따라서 종합력을 재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하도록 문제 장면을 선정하고 제시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이 종합력에는 하위구조로 의사전달 자료의 생산능력, 오퍼레이션(operation)의 계획 및 절차의 창안, 추상적 관계의 유도 등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 아이디어를 남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말이나 문장으로 쓰거나, 그림이나 조각 도표 등으로 만들어 내는 힘도 종합력에 들어가며, 계획을 세우고 새로운 가설?이론?법칙 등을 만들어내는 힘도 이에 속한다. |
주관성 主觀性 subjectivity
|
1. 개인의 독특한 사적(私的) 경험을 반영하는 성질 2. 타인이 확인할 수 없는 개인의 경험을 의미하기도 해서 편파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뜻으로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3. 주관적 경험도 여러 개인 사이에 일치를 보게 되면 문화적으로 객관성을 띠게 된다. 사회적으로 합의(合意)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진리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사회적으로는 그것이 진실인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 객관성 |
주관주의 主觀主義 subjectivism
|
1. 사물의 인식이나 실천상의 원리를 주관에 기초하여 생각하는 관점 2. 주관은 인식의 주체나 실천의 당사자가 감각적?감정적?의지적 상태에 의존하여 관점을 취한 것을 뜻한다. 3. 인식론에서의 주관주의자는, 외계(外界, external world)에 대한 인식은 인식자의 감각?감정?의지 등 개인적 심리상태에 의해서 좌우되며 그것에서 추리된 결과라고 생각한다. 4. 가치론에서의 주관주의자는 도덕적-미적 가치는 주관적인 감정과 개인적 반응에 불과하며, 그 이외의 어떤 또 다른 것이 객관적으로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5. 말하자면, 주관주의는 인식의 내용이나 실천의 원리가 인간의 심리적 과정 밖에 별도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주관주의자들에게 있어서의 객관주의는 오직 주관적 주장들의 공통된 일치에 불과하다. ? 객관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