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교육 義務敎育
|
1. 모든 국민의 자녀들로 하여금 국가에서 정한 일정 기간의 교육을 받도록 강제하고 국가에서는 이에 필요한 교육조건을 정비하도록 의무화하는 국민기초교육 2. 의무교육의 기본 요건 ⑴ 법적인 취학의무 규정 ⑵ 국가의 수용시설 확충 ⑶ 적극적인 무상화의 추진 3. 의무교육은 원래 국민의 국가에 대한 봉사적 의미로서, 그리고 개인의 능력을 개발, 발전시키는 권리를 인정함으로써 제도화된 것이다. 4. 역사적으로는1794년 프러시아의 보통법에 규정되었고 루터(M. Luther)가 그 주창자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우리나라는 1949년 교육법이 공포됨에 따라 의무교육이 출범되었고, 헌법 제 27조에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명시하고 "모든 국민은 보호하는 어린이에게 초등교육을 받게 할 의무를 진다"고 밝히고 있다. 1980년도 이후 중학교까지 의무교육이 상향 연장되어 9년제 의무교육이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의무교육의 연한은 해당국가의 정치적 사회적?경제적 제 여건에 따라 다르며, 주요국가의경우 대부분 9~11년이 보통이다. ? 무상교육 |
의사결정 과정 意思決定過程 decision making process
|
1. 문제해결을 지향한 활동의 선택행위인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내리기 위해서 따라야 되는 과정 2. 단계 ⑴ 결정해야 되는 문제나 상황의 인식 : 실제로 결정을 내리기 전에 결정의 필요를 낳게 한 문제나 상황을 이해해야 된다. ⑵ 정보수집 및 분석단계 : 의사결정자는 문제가 생긴 원인이나 문제해결의 가능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해야 한다. ⑶ 문제해결을 위해서 가능한 여러 대안을 확인하는 단계 : 전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대안적(代案的)인 행동과정이 확인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창의성이나 경험 및 복잡한 정보를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⑷ 앞서 제시한 여러 대안을 평가하는 단계 : 결정의 시행과정에서 예상되는 결과를 서로 비교하고 장단점을 주의 깊게 고려하는 단계이다. ⑸ 최종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 : 제시된 여러 대안 중에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결정에 의해 영향을 받을 사람들에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단계이다. |
의사결정 이론 意思決定理論 decision making theory
|
1. 행정과정의 핵심적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내리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이론 2. 주요한 이론모형 ⑴ 합리적?종합적 모형 : 가능한 모든 정보와 지식을 동원하여 최적(最適)의 대안을 선택하고 목표의 극대화와 고도의 합리성을 추구하는 규범적?이상적 모형 ⑵ 만족화 모형 : 최적의 대안은 아니지만 대체로 만족할 만한 것이면 감수하는 의사결정자의 사회심리적 측면을 중시하는 현실적 모형 ⑶ 점증주의(漸增主義) 모형 : 의사결정자의 능력의 한계와 결정기술의 제약을 인식하여 현재의 대안과 이를 약간 변형시킨 제 2의 대안을 비교하여 보다 향상된 것을 추구하는 기술적?실증적 모형 ⑷ 합리적 모형과 점증적 모형 : 이용하고 기본적 방향이 설정된 후의 결정은 점증적 방법을 취하는 혼합모형 ⑸ 최적모형 : 만족화 모형과 점증모형에 대한 비판에서 나온 것으로 직관 판단 및 창의와 같은 초합리성을 통하여 최적의 결정을 얻으려는 이상적 모형 |
의사소통 意思疏通 communication
|
1. 어떤 사실이나 생각 그리고 정보(情報)의 전수(傳受) 또는 교환 2. 조직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협동체제이기 때문에 원활한 의사소통은 한 조직의 필수불가결한 요건이다. 조직의 구성원들이 수행하는 기능은 서로 다르지만 그 기능들은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한 상호관련된 활동이기 때문에 항상 이런 활동을 통합하고 조정해야 하는데, 이러한 통합과 조정은 의사소통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3. 의사 소통 유형 구분 ⑴ 종적(縱的) 의사소통 ① 하향적 의사소통 : 조직의 계층구조에서 볼 때 상위자가 하위자에게 주는 의사소통 형태로 대부분의 조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된다. ② 상향적 의사소통 : 조직의 효과를 평가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데, 적절한 의사소통의 경로가 마련되고 감정적인 거리감이 없을 때에만 가능하다. ⑵ 횡적 의사소통 : 조직원 간 또는 분과 간의 수평적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하향적 의사소통에서 생기는 결함을 극복하고 조직행위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의식화 意識化 conscientization
|
1. 한 개인 혹은 집단이 그가 처한 상황에 맹종하는 태도에서 자각을 통한 비판적 시각으로 현실적 제 모순(矛盾)에 대항해 그것을 극복하려는 태도로 변화하는 과정 또는 그러한 변화를 유도하는 작업 2. 프레이리(P. Freire) : "사회적?정치적?경제적 모순들을 인식하고, 현실의 억압적 요소들에 대항하여 행동을 취하게 되는 것" 3. 역사적으로 지배만 당한 대다수 민중은 그들에게 불리한 현실의 사회구조를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며, 감히 그것을 탈피하려는 생각을 갖지 못한다. 오히려 그들은 억압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대한 일종의 두려움조차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 사회모순들이 해결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민중의 의식이 변화해야 하며, 이때 필요한 것이 민중의 의식화이다. 4. 의식화의 내용 : 현실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주체적으로 만드는 것이며, 자기에게 불리한 여건은 누군가의 조작에 의한 것으로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는 그러한 모순에 대항하여 권리를 쟁취해야 된다는 의식적 자각 5. 이러한 자각은 지배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도 요구되며, 포괄적으로 의식화는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현실적 모순에 대항?극복하려는 모든 사람들의 의식적 자각이라 할 수도 있다. 6. 의식의 자각을 위한 교육이 의식화교육이다. |
의지 意志 will
|
1. 넓은 의미로는 자발적 활동을 촉발하는 과정을 언급하는 말로 이해되고, 좁은 의미로는 그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적 상황에서 결정 혹은 선택을 행사하는 정신적 행위를 뜻함 2. 스콜라 철학에서는, 오직 이성적 존재인 인간만이 의지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2. 다른 동물은 감각적 욕구에 의해서 행동하며 자연법칙을 따르지만 인간은 행위의 방향을 선택하고 결정하는 의지를 가진다. 그리고 인간의 자유는 바로 선택과 결정의 자유를 뜻하는 것이다. |
이데아 idea
|
1. 이념?관념이라는 말로 쓰이는 형이상학적 본체(本體) 2. 원래 그리스어로 모양, 또는 형상을 의미했으며, 플라톤에 이르러 원리(原理)?원형(原型)의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3. 플라톤은, 현상계는 생멸변화하고 불완전하며 그 배후에 있는 이데아만이 완전하고 영원불변한 실재라고 보았다. 4. 이데아는 비물질적이며 보이지 않는 형상으로 개개의 사물의 이상적 원형이고 본질인데, 그것은 감각적 인식의 대상이 아니라 이성에 의한 개념적 인식의 대상이다. 5. 중세(中世)에는 이데아가 종교적 관념의 견지에서 신의 정신내용으로 해석되었고, 근세에 이르러 데카르트(R. Descartes)?홉즈(T. Hobbes)?로크(J. Locke) 등에 의하여 점차 인간의 의식(意識)의 내용을 의미하는 말로 일반화되었다. |
이데올로기 [영] ideology [독] Ideologie
|
1. 인간들이 자신과 주위의 자연이나 사회를 전체적으로 포착하기 위한 그 시대의 사회적인 의식형태. 관념체계 또는 의식형태라고 번역된다. 2. 프랑스 철학자 트라시(A. L. C. Tracy)에 의해 사용된 용어로서 원래는 관념학의 뜻이었으나 후에 만하임(K. Mannheim)과 마르크스(K. Marx)에 의하여 두 가지 입장에서 쓰이게 되었다. ⑴ 마르크스 ① 정치?법률?도덕?예술?철학?과학 등의 사회적 의식형태를 가리키는 말 ② 이들은 물질적?현실적 생활과정을 토대로 하여 발생하고, 그 토대에 의해 제약?결정되면서 동시에 그 속의 불가결한 계기로 내재한다는 것이다. ③ 유물사관(唯物史觀)에서는 이데올로기의 진정한 토대(substructure)는 인간의 사회적 존재를 규정하는 일정한 역사적인 사회의 경제구조라고 한다. ④ 모든 이데올로기는 상대적 독립성을 갖고 서로 영향을 주면서 일정 한 한도 내에서 반작용함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현실의 토대에 의해서 결정되고 현실에 필연적인 연관을 가지고 변증법적(辨證法的) 자기운동에 의해서 변동한다. ⑤ 따라서 그것은 현실의 반영인 동시에 그 반영의 방법에 있어서 역사적?사회적 존재의 표현이며 계급사회에서는 계급성을 갖는다. ⑥ 한 시대의 지배적 사상은 지배계급의 사상이며 계급투쟁은 이데올로기적 투쟁을 하나의 계기로 삼는다. ⑵ 만하임 : 이데올로기를 특수적인 것과 일반적인 것의 둘로 구분 ① 특수적인 것은 특수한 정치적 당파의 입장에서 세워진 이데올로기의 개념으로 자기의 파와 대립하는 파의 사상?학문 등의 당파성?허위성을 폭로 배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② 일반적인 것은 초당파적인 지식사회학의 입장에서의 이데올로기 개념으로 폭로?배격이 목적이 아니라, 다만 사상?학문 등이 일정한 사회적 존재에 구속 제약되는 것을 지적하고, 이것을 존재의 기능으로 반영하는 상황을 총괄적?동적?변증법적으로 전개하면서 상관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현대의 이데올로기는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재편성의 국면에 서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있다. 더욱이 이데올로기는 하부구조에 의해서 일방적이며 전면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의 상대적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거꾸로 하부구조에 반작용을 미치는 것이므로 이데올로기를 짊어질 사람들의 주체성이 문제가 된다. |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的 國家機構 ideological state apparatus
|
1. 자본주의적 생산관계를 효율적으로 재생산하기 위하여 이데올로기적 기능을 수행하는 국가기구. 2. 알뛰세(L. Altusser) ⑴ 생산의 결정적 조건은 생산조건의 재생산이며, 생산조건의 재생산은 생산력의 재생산과 생산관계의 재생산으로 구분한다. ⑵ 그는 건축물의 비유를 통해 생산관계의 재생산은 경제적 토대에 의한 최종심급에서의 상부구조의 결정에 의한다고 하며, 이 때 상부구조의 대표적인 형태가 국가기구라고 본다. 3. 마르크스주의 국가이론의 고전 ⑴ 국가란 억압적인 국가기구이다. ⑵ 국가권력과 국가기구는 구분해야 한다. ⑶ 계급투쟁의 목표는 국가권력, 즉 국가권력을 장악한 계급에 의한 국가기구의 사용이다. ⑷ 프롤레타리아트가 현존의 부르조아 국가기구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국가권력을 장악해야 한다. 4. 알뛰세는 국가론을 진전시키기 위해서 국가권력과 국가기구 사이의 구별뿐만 아니라 억압적 국가기구와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를 구별한다. ⑴ 억압적 국가기구 : 정부, 군대, 경찰, 감옥 등을 포함하는데 억압으로서 대량으로 그리고 주요하게 기능하는 한편, 부차적으로는 이데올로기로서 기능한다. ⑵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 종교, 교육, 가족, 법, 정치, 노동조합, 커뮤니케이션, 문화 등을 포함하는데 이데올로기로서 대량으로 그리고 주요하게 기능하지만, 부차적으로는 억압으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⑶ 억압적 국가기구는 하나로 존재하며 전적으로 공적 영역에 속해 있으나,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는 복수로 존재하며 대부분 사적 영역의 일부를 구성한다. ⑷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의 대표적인 형태는 중세에는 종교(교회)였으며, 근대 이후에는 학교가 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⑸ 학교는 학령기에 처한 모든 계급의 아동들을 수용하여 상당량의 지식(국어, 산수, 박물학, 과학, 문학) 혹은 순수한 상태의 지배 이데올로기(도덕, 시민교양, 철학)를 되풀이 주입한다. 16세쯤 되면 이들의 대부분은 생산에 투입되어 노동자 계급을 형성하고, 일부는 어느 정도 공부를 진행하다가 하급 또는 중급관리, 정신노동자, 중급 기술자가 되어 모든 종류의 소 부르조아의 직급을 채우며, 나머지는 정상에 도달하여 지식인, 착취 행위자(자본가, 경영자), 억압행위자(군인, 정치가, 행정관리)가 된다. ⑹ 결국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서의 학교는 생산관계의 재생산을 자연스럽게 진행시킨다. |
이론적 타당도 理論的妥當度 theoretical validity
|
1. 경험적 타당도에 대립되는 말로서 한 검사가 논리적인 견지에서 얼마나 타당한가를 따지는 타당도 확인과정의 한 측면 2. 검사가 논리적으로 얼마나 타당한가를 따지는 문제는 주로 내용타당도와 관련되어 있다. 3. 주어진 검사의 내용이 전문가의 입장에서 볼 때 측정하고자 하는 전집(全集)과 논리적으로 관계가 있는가를 따짐으로써 검사의 타당도를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
이신론 理神論 [영] deism [독] Deismus [프] deisme
|
1. 신(神)을 세계의 창조자로 인정하지만, 이를 세상 일에 관여하거나 계시(啓示)하는 인격적인 존재로는 인정하지 않고, 기적 또는 계시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성적(理性的)인 종교관. 라틴어 deus(신)에서 온 말이다. 2. 이신론은 기독교 신학과는 대립적으로 계시신앙에 기초하지 않으며, 이론적?과학적 신 해명을 추구한다. 3. 이와 같은 신앙의 추종자를 이신론자(deist) 또는 자연신론자라고 한다. 콜린즈(J. A. Collins)의 《자유사색 논고》(A Discourse on Free Thinking) 속에서 이들은 주로 자유사상가라고 칭하여졌다. 영국의 톨랜드(J. Toland)?틴달(M. Tindal)?샤프츠버리(E. of Shaftsbury). 프랑스의 볼테르(Voltaire)?루소(J. J. Rousseau), 독일의 라이마루스(H. S. Reimarus)?레싱(G. E. Lessing) 등이 대표자들이다. ? 유신론, 다신론, 일신론 |
이원분류표 二元分類表 table of specification
|
1. 측정하고자 하는 행동과 교과내용의 상호관계를 각각 종렬과 횡렬의 이원적 관계로 나타내는 표 2. 검사문항 작성 계획의 한 좋은 방안이다. 3. 행동과 내용의 이원분류표를 작성할 때에는 흔히 행동목표를 종렬에 열거하고 내용은 횡렬에 열거한다. 다음에 각 행동목표와 내용은 흔히 학습에 보낸 시간 등의 상대적인 중요성에 비추어서 검사문항의 수를 결정하여 각 내용과 행동이 교차하는 칸에 필요한 문항 수를 적어 넣는다. 아래의 표는 기후도에 관한 단원의 이원분류표이다. 4. "기본술어를 안다"라는 처음에 제시된 목표에 14개의 문항이 할당되어있다. 이 중에 각 2개의 문항은 기압?기온?습도와 강우 및 바람에 배당되고 구름과 불연속선에는 각 3문항이 배당되었다. 5. 아래의 표는 일반 교수목표와 일반 교과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으나 원칙적으로 각 일반목표에 해당되는 명세적 목표와, 보다 상세화된 교과 내용으로 세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질학급 편성 異質學級編成 heterogeneous class grouping
|
1. 학습 또는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측면에서 서로 성질이 다른 학생들을 한 학급으로 편성하는 방법. 혼성적(混成的) 학급편성이라고도 한다. 2.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지능?성숙?선행학습?수준?흥미?가정환경?연령 등의 하나 또는 여럿의 측면에서 동질적인 학생들로 학급을 편성하지 않고 성질이 다른 학생을 혼성시켜 학급을 편성하는 방법이다. 3. 어느 한 요인을 중심으로 동질학급 편성을 했다 해도 다른 요인의 측면에서는 이질학급이 되므로 거의 모든 학급은 어떤 의미에서 이질성을 띠고 있다. 4. 우리나라의 교육제도는 학년제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초등학교의 경우 각 학년별 연령수준은 아주 동질적이지만, 그 외의 특성에서는 아주 이질적인 학급편성을 하고 있는 점이 그 한 예가 된다. 5. 이질적 학급과 동질적 학급 간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성적 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6. 정의적 측면에서는 이질적 학급이 협력하는 풍토의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7. 그러나 학급 편성의 효과는 학급의 크기와 관련지워 연구될 때 보다 타당한 결론을 얻게 될 것이다. |
이해력 理解力 [영] comprehension, understanding [독] Verstehen
|
1. 자료의 의미를 파악?적용?분석?관계지우는 능력 2. 이러한 능력은 자료의 형태를 달리하여 해석하도록 하거나 의미를 표현하게 하거나, 주어진 자료의 의미 이상으로 더 확장하도록 하는 검사문항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3.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해력이란, 경험을 개념화한 지식을 단순히 교과서에 나온 말이나 교사가 가르쳐준 대로 기억하는 데 머물지 않고 그것을 개인의 기능 속에 체계화하는 것을 말한다. 4. 그러므로 기억한 지식을 그대로 재생시키는 것이 아니며, 그 지식의 의미를 다른 말로 번역?해석하고 외연(外延)에 의해서 추리해 내는 능력이 그 하위능력으로 포함된다. |
인간관계론 人間關係論 human relations
|
1. 종업원의 개성이나 사회관계가 기업의 생산 과정의 단순업무 성과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생산량의 중대는 기술(技術)의 조직보다 오히려 인간관계 조직에 힘입고 있다는 이론 2. 인간관계론이 성립되게 된 배경은 과학적 관리법에서의 인간의 비인간적 합리성과 기계적 도구관(道具觀)에 대한 반발과, 사회?경제적 변동과 기업 경영 및 인간관리의 민주화 등을 들 수 있다. 3. 인간관계론이 성립되면서 조직을 개인?비공식 집단 및 집단 상호간의 관계로 되는 사회체제로 인식하게 되었고, 조직내의 인간적 요인이 조직의 주요 관심사로 등장하게 되어 조직 속의 인간을 보는 관점은 일대 변화를 겪게 되었다. 4. 이 이론은 미국의 하버드 대학 교수였던 메이요(A. Mayo)와 뢰슬리스버거(R. J. Roethlisberger)가 시카고 교외에 있는 서부전기회사의 호오손 공장에서 행한 호오손 실험(Hawthorne experiments) 연구를 통하여 성립되었다. 5. 이 연구는 조직 연구에 있어서 행동과학적(行動科學的) 연구의 기초를 닦았고, 조직구성원의 행동과 영향, 동기(動機)의 원천, 지도성의 본질 등을 규명하여 조직관리의 발전에 크게 공헌하였다. 6. 전통적인 관리자들은 기술적 내지 구조적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한 데 반하여 인간관계론자들은 사회심리적 측면에 지나치게 집착하였다. 7. 인간관계론의 기본적 가정은 인간관리에 있어 근로자에게 직무만족감(職務滿足感)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는데 최근의 연구에서는 행복한 노동자가 생산적 노동자라는 개념은 퇴색하고 있다. ? 호오손 실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