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교육 女性敎育 woman education
|
1. 여성을 대상으로 삼는 교육 2. 우리나라에서 여성교육이 제대로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초기였으며, 이는 기독교적 개화사상의 유입에 힘입은 바 크다 3. 19세기 말부터 여성 선구자들에 의해 부인회?장학회?교육회 등 많은 단체가 조직되고, 이화학당 등의 여성교육이 보편화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부터였다. 4. 1920년대에 학교교육이 비교적 보편화되고 자리가 잡히게 되자 사회교육 형태의 여성교육도 많이 생기게 되었다. 5. 해방 이후에는 1947년에 조직된 대한가정학회(大韓家政學會)를 위시하여 오늘날까지 수십 개의 여성단체가 설립되었으며, 그들은 부녀자 계몽, 각종 기술 강습은 물론 소비자보호, 가족계획 및 사회복지사업 등에 걸쳐 교육활동을 벌이고 있다. 6. 두드러진 단체로는 YWCA?주부교실?대한어머니회?한국부인회?한국복지부녀회 등이 있고, 1960년 여성단체협의회가 조직되었으나 아직도 모든 여성단체가 가입된 것은 아니다. |
역할기대 役割期待 role expectation
|
1. 집단이나 조직, 또는 다른 개인이 그에게 어떤 역할을 어떻게 수행해 줄 것을 기대하는 것 2. 개인은 집단이나 사회조직 속에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는 과정에 필수적으로 사회적 역할 또는 구실을 갖게 되어 있다. 3. 사람들은 역할기대가 충족되지 않으면 실망하거나 그 사람의 역할수행 능력을 의심하게 된다. 4.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여러 집단과 조직에 속하게 됨으로써 그에 따르는 역할기대를 충족시키기 어렵다. 5. 교사는 학생들과 그가 속해 있는 학교조직?동료?아내?자녀?형제 및 부모들이 그에게 기대하는 역할이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기대되는 행동, 즉 역할기대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나머지 역할갈등에 빠질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역할자이기도 하다. 6. 그러나 역할기대란 상대적인 개념이므로 요구되고 기대되는 역할능력 향상을 통해 역할기대에 따르는 갈등을 해소할 수도 있다. |
역할 놀이 役割― role playing
|
1. 어떤 가상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문제시되는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기법의 일종. 정서적 역할 놀이라고도 한다. 2. 예 : 재니스(Janis)와 만(Mann)은 여성흡연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하였는데, 그들에게 암환자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여 흡연량을 줄이게 한 사례를 들 수 있다. |
역할놀이 수업모형 役割―受業模型 role playing model
|
1. 학생들에게 특수한 상황이나 장면에 처해보도록 하거나 특정의 역할을 실행해보도록 함으로써 자신이나 타인이 지니고 있는 가치관 혹은 신념을 깊이 있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실천적 교수방안 2. 개발 : 이 모형은 파니 샤프텔(Fannie Shaftel)과 죠지 샤프텔(George Shaftel) 부부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들은 20여년 동안 학생들에게 「인간의 존엄성」, 「정의감」, 「애정」 등의 민주적 관념들을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가를 가르치기 위하여 이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3. 이점 : 역할놀이는 자신이나 타인들이 현재와 같이 행동하는 이유에 대한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특히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역할을 실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인간행동의 다양성과 유사성을 배우고 이것을 실제장면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4. 교사의 역할 ⑴ 적절한 역할놀이 장면을 제시하거나 선정하는 일을 돕는다. ⑵ 학생들이 당황하지 않고 "마치 ....인 것처럼" 행동하도록 하는 지원적인 분위기를 조성한다. ⑶ 자발성과 학습을 장려하는 역할놀이 장면을 꾸민다. ⑷ 학생들이 서로를 효과적으로 관찰하고 경험하며 그들이 보고 들은 바를 예리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찰과 경청기술을 가르친다. 5. 효과 ⑴ 자신의 견해를 자유로이 피력하고 다른 사람의 견해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⑵ 문제해결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제안 또는 탐구한다. ⑶ 역할놀이 활동에 열성적으로 임하게 된다. ⑷ 역할놀이 장면에서 보고 들은 바를 기술하고 해석하고 평가하고 또한 자신의생활과 관련을 지어본다. 6. 강조점 : 개인의 성장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모두 강조 7. 유의점 ⑴ 사회과나 문학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국민학교 3학년에서부터 중학교 2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⑵ 역할놀이 수업모형에서는 교사는 결단이 필요한 대인상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아동에게도 흥미가 있어야 하며 또한 아동의 경험세계에 속하는 것이어야 한다. ⑶ 수업모형을 선정함에 있어서 교사는 심리극(psycho-drama)이나 드라마(drama)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따라서 교사는 개인치료요법보다는 오히려 대인문제해결을 위한 논의나 활동에 집중해야 한다. |
역할이론 役割理論 role theory
|
1. 개인의 지위(position)와 역할(role)의 개념을 중심으로 지위와 역할, 역할과 역할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체제와 구조, 개인의 권리와 의무 등을 분명히 하려는 이론 2. 원래 역할이란 말은 극장 상황에서 빌려 왔다. : 특정한 연기자에게는 독특한 역할이 존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개인에게도 독특한 사회적 역할이 있는 것이다. 3. 사회생활을 하는 개인의 역할수행에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조직이 요구된다. ⑴ 자기역할을 정확하게 인식해야 한다. ⑵ 역할행위가 내면화되어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⑶ 역할행위에 대한 어느 정도의 해석과 평가가 따라야 한다. 4. 최근에 역할이론에 대해 재정립한 사람은 비들(B. J. Biddle)과 토머스(E. J. Thomas)이다. ? 역할 |
연구외 변인 硏究外變因 relevant variable
|
1. 연구자의 관심 중 독립변인이 아닌 변인으로서 종속변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 2. 이러한 변인들은 실험결과의 내적 타당도를 위협하는 것으로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과의 정확한 인과관계를 추리하는 데 방해요인이 되고 있다. 3. 실험설계에 있어서 이러한 변인이 어느 특정한 집단에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이를 통제해야 한다. 4. 통제방법 ⑴ 무선할당(randomization) : 종속변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의 영향이 무선적으로 각 실험집단에 배정하기 위한 방법 ⑵ 결합 표집(matched sample) : 각 변인을 중심으로 묶음으로써 각 집단의 실험 전의 동등성을 보장하는 방법 ⑶ 공변량 분석 : 통계적 방법의 하나로써 하나의 변인이 어떤 특정한 집단에 주는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 |
연역법 演繹法 deduction
|
1. 형식적 추리와 같은 뜻으로 귀납법(歸納法)에 대립되는 것. 형식논리학에서 삼단논법(三段論法)이 그 대표적인 것이다. 2. 보편적 법칙이나 일반적 주장에서 특수한 법칙이나 주장을 도출하는 사고의 방법 3. 형식논리학에서는 몇 개의 주어진 전제로부터 필연적으로 도출되는 결론을 성립시키는 과정을 뜻하고, 일반적인 의미로는 주어진 가정에서 어떤 명제 혹은 법칙을 결론으로 도출하는 행위를 뜻한다. ? 귀납법 |
연역적 사고 演繹的思考 deductive thinking
|
1. 확실한 근거가 있거나 가정(假定)된 일반적 지식?법칙?원리에서 특수한 사례?원리?결론 등을 이끌어 내는 사고과정 2. 연역적 사고는 귀납적(歸納的) 사고에 대립되는 것으로 삼단논법(三段論法)이 그 대표적 인 형식이다. 3. 대전제(大前提)를 일반적 원리라 한다면 얻어지는 결론은 항상 대전제의 한 부분에 해당된다. 4. 귀납법과 대립된다고는 하나 심리적인 과정에서 보면 연역적 사고와 귀납적 사고가 대립적 사고라기보다는 보완적이거나 상호관련적이라 할 수 있다. 5. 교육활동에 있어서 연역적 사고의 과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수업을 연역적 수업이라 하며, 흔히 연역적 설명식 수업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
열등감 劣等感 inferiority feeling, inferiority complex
|
1. 신체적?심리적?사회적, 또는 그 밖의 상태나 조건이 다른 사람보다 약하거나 낮거나 부족하다고 느끼고 생각하는 심리적 상태 2. 사람은 이 열등감을 극복하기 위해 완전성?우월성 또는 전체성을 추구하려는 경향이 있다. 3. 아들러(A. Adler)는 인간의 부적응 행동이나 이상심리의 원인이 열등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정신치료의 중점을 열등감의 극복에 두었다. |
열린 교육 ―敎育 open education
|
1. 제도교육이 시간을 두고 그 관행을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역기능 즉, 교육의 규격화?획일화?형식화?비인간화 경향에 주목하여 학교 제도, 교육 내용에 대한 결정, 수업 방법, 교수 조직, 교육 기관과 사회와의 관계 등 여러 측면에서 보다 자유롭고 다양하게 선택 가능한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인간 교육의 가치 실현에 보다 충실하고, 자유로운 인간 정신의 계발과 창의를 북돋우어 자아실현과 사회에 대한 교육의 적합성을 높이고자 하는 교육 2. 국내에서는 학교교육이 획일?경직된 방식으로 정답형의 답습적 인간을 양성하고 있다는 비판 아래 창의적이고 주체성 있는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열린교육을 지향해야 한다는 주장이 80년대에 강하게 제기되었다. 3. 주장의 요지 : 학습 내용을 고정된 것으로 학습하도록 되어 있는 교육내용관, 교재관, 평가관을 개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를 격려하도록 하여 창의형(사고형) 인간교육으로 나가야 된다고 하는 점이 역설되었다. 즉 정답형 인간을 양성하는 기존 교육제도는 그 주요 원인이 관주도적 교육정책 결정방식, 폐쇄?획일적인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등에 있다고 지적하고 다양한 생각과 시도가 교육의 실제에 수용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문제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의 획일?경직된 제도를 개방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열린교육을 주장해 왔다. 4. 실시형태 : 1980년대 말 이후 학교 수업의 실제에서 권위주의적, 규격화된 일제 수업, 획일적 암기 교육 방식을 탈피하기 위한 대안으로 소규모 학생 집단 구성하기, 교실벽 트기, 탄력적 수업 시간 운영, 학부모를 수업 자원인사로 활용하기, 자기 평가 방식 등을 도입하여 학교 학습에 학생들이 보다 자유롭고 흥미있게 갖도록 하기 위한 대안들이 초등학교 교육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운동으로 시도되고 있다. 또한 열린교육은 학교시설, 교육프로그램을 일반 사회에 개방하여 제때에 정규 교육을 이수하지 못한 성인들이 정규 또는 비정규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하여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과 같은 것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5. 외국의 열린교육 : 이러한 차원에서 열린교육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영국의 개방대학이 꼽힌다. 이밖에 미국과 영국을 위시한 외국에서 1970년대에 기존 학교교육 질서를 반대하고 나섰던 소위 대안적 학교 운동도 열린교육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6. 열린교육에 대한 평가 및 전망 : 이 운동은 그 후 지속성을 가지고 성공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피교육자에게 의미있는 학습의 목표 추구를 허용하고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시간, 장소, 방법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는 열린교육의 시도는 기존의 제도교육에 대한 보완적 역할로서 또는 대안으로서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영가설 零假說 null hypothesis
|
1. 전집치 간에 차가 없다는 것을 원가설(原假說)로 설정한 가설검증의 한 방법 2. 과거의 연구결과나 어떤 논리적 근거에 의하여 전집치가 어떤 값을 가졌다고 가정하거나 두 전집 또는 그 이상의 전집치 간에 차가 없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렇게 가정된 전집에서 현재의 표집치를 얻을 가능성이 얼마나 있는가를 따지고, 가정된 전집치와 표집치 간의 차이가 단순한 표집오차에 의한 우연적이라고 볼 수 있는지 그렇지 않다고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따지는 과정이 가설검증이 된다. 3. 영가설이란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집치간에 차가 없다고 원가설를 설정하는 경우를 말한다. 4. 어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통계적 가설을 설정할 때는 흔히 두 전집치 간에 차가 없다는 영가설을 세우게된다. 예를 들어 두 가지 교수방법 간에 차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원가설로 차가 없다는 가설를 세우고 이러한 가정하에 전집분포를 규정하여 현재의 표집치가 이러한 영가설하에서 얻을 가능성이 얼마인가를 따져서 이러한 기준 이하로 얻을 가능성이 적을 때는 원가설인 영가설을 부정하고 상대적 가설을 받아들이게 된다. 5. 차가 없다는 영가설이 사실일 때 이를 부정하는 기준, 즉 α수준은 흔히 1% 또는 5% 수준을 정하고 있다. 영가설은 흔히 : =, : = 또는 : == 등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전집치가 서로 같다. 즉, 차가 없다는 원가설로 제시된다. 6. 그러나 때로는 : - =5 라든가와 같이 차가 없다는 영가설이 아닌 그 차가 일정한 값을 갖는다는 가설로도 원가설이 설정되기도 한다. |
영재성 英材性 giftedness
|
1. 영재성에 관하여 가장 많이 인용되는 정의들 중 미국문부성(USOE)의 정의는 "전문가에 의하여 타고난 능력이 우수하여 뛰어난 성취를 보이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으로서 이들이 자신과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잠재능력을 계발시키려면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일반 교육 이상의 변별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서비스가 필요한 자"이다. 2. 뛰어난 성취가 나타날 수 있는 분야는 일반 지적 능력, 특정 학문 적성, 창의적 또는 생산적 사고, 지도자적 능력, 시각적 무대예술, 정신운동 능력 등이다. 3. 문제점 : 이 정의의 문제점은 대부분의 뛰어난 영재들이 공통적으로 보이는 「높은 동기」를 간과하였고, 여섯 분야가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여섯 분야에 대한 언급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자들로 하여금 지능이나 성적만을 선발의 기준으로 정하게 하는 오류가 있다. 4. 렌줄리의 삼원모델 ⑴ 렌줄리(J. Renzulli)는 "사회에 가치 있는 기여를 한 사람들이 갖는 결정적인 세 가지 특징은 높은 창의성, 높은 과제 집착력(동기), 평균 이상의 지적 능력"이라는 삼원모델(Three-Ring model)을 주장하였다. ⑵ 단점 : 이 정의는 능력과 창의성은 우수하나 동기는 낮은 학습부진 영재(gifted under achievers)를 포함시키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5. 실제로는 각 프로그램이 수용한 정의에 따라 영재 판별도구와 절차가 결정되고 또, 각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도구와 기준이 영재교육을 받을 사람과 그렇지 않을 사람을 결정하게 된다. |
영재 판별 英材判別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nd the talented
|
1. 영재의 타고난 잠재력을 최대한 계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받을 사람과 그렇지 않을 사람을 가려내기 위한 작업. 영재 판별은 영재의 정의 및 프로그램의 목적과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2. 판별의 기본 원칙 ⑴ 판별의 시기는 어릴수록 좋다. ⑵ 지능이라는 단일한 기준보다는 다양한 도구와 절차를 활용한다. ⑶ 일회적인 판별보다는 지속적인 판별을 한다. ⑷ 취학 전 및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 아동들의 경우, 판별의 정확도를 기하기 어려우므로 더 많은 비율의 아이들을 선발한다. 3. 판별의 방법 : 다차원적 다단계 접근 방법 ⑴ 의미 : 객관적 주관적인 평가 자료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다차원적으로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방법 ⑵ 제1단계 : 교사, 학부모, 친구, 또는 자기 자신에 의한 추천 ⑶ 제2단계 : 지능검사, 성취도 검사, 창의성 검사, 인성 검사 등의 표준화 검사의 실시 ⑷ 제3단계 : 실험 실습, 연주 등의 실연검사(performance test) 실시 ⑸ 제4단계 : 교육 프로그램에의 배치 후 관찰 과정을 모두 거치면서 선발 학생 수를 점차적으로 줄여나간다. ⑹ 유의점 : 판별의 준거는 충분히 객관적이고 합리적이어야 하지만, 각 학생 개개인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 의견도 충분히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예언타당도 豫言妥當度 predictive validity
|
1. 한 검사로서 미래의 어떤 기준변인을 얼마만큼 예언하느냐 하는 정도 2. 준거타당도의 하나로서 미래의 어떤 기준, 예를 들면 대학이나 전문학교에서의 성공을 예언하기 위하여 학업 적성검사를 사용한다든가 또는 누가 정신병적 부적응을 나타낼 것인가 등을 예언하기 위하여 성격검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 검사가 예언하고자 하는 기준과 상관의 정도를 말한다. 3. 이와 같은 경우에 검사의 기능은 검사와는 질적으로 다른 어떤 행동을 나타내는 변인을 예언하는 데 있다. 4. 예언타당도는 기준변인의 자료가 미래에 있을 때, 즉 검사를 실시한 후 얼마 간 기간이 지난 후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 준거타당도 |
오단계 교수설 五段階敎授設 [독] Formale Stufe des Unterrichts
|
1. 헤르바르트(J. F. Herbart)파의 칠러(T. Ziller)의 제자인 라인(W. Rein)이 처음 주장한 형식적인 교수단계 2. 모든 단원은 다음과 같은 5단계에 의해 교수된다. ⑴ 예비단계 :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려는 학생의 마음을 준비시킨다. ⑵ 제시단계 : 새로운 것에 대한 여러 가지 사실을 가르친다. ⑶ 비교단계 : 새로운 관념을 이미 학생의 마음속에 있는 관념과 관련시킨다. ⑷ 개괄단계 : 구체적인 개개 사실에서 일반적인 것을 추출해서 일반적인 원칙을 만들고 이것을 이미 알고 있는 지식에 연관시킨다. ⑸ 응용단계 : 일반적인 원칙을 실제장면에 적용해서 이미 체득한 지식을 활용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