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학사 元山學舍
|
1. 1883년에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학교 2. 1880년 원산이 개항하면서 일본인 상인의 침해가 커지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원산 주민들이 기존의 서당을 개편하여 운영한 것이 기초가 되었다. 3. 1883년 1월 정현석(鄭顯奭)이 덕원부사 겸 원산감리로 부임하자 근대적인 학교를 세울 것을 건의하였고, 당시 서북경략사였던 어윤중(魚允中), 원산항 통상담당의 통리기무아문 주사였던 정헌시(鄭憲時) 등이 지원함으로써 설립되었다. 4. 공식 적으로 정부의 인가를 받은 것은 그해 8월이었는데, 설립초기에는 문예반 50명, 무예반 200명을 정원으로 하여 운영되었다. 5. 입학대상 ⑴ 학교설립기금을 낸 사람의 자제만이 아니다. ⑵ 덕원?원산지방의 연소자로 재주가 있는 자 ⑶ 타지방 사람으로 입학금을 내는 자 ⑷ 무사로서 무예반에 들어오려는 자들에게 모두 개방하였다. 6. 교과목 ⑴ 공통과목 : 산수?격치(格致;물리)?농업?양잠 등 ⑵ 특수과목 : 경서와 병서 등 7. 발전 및 변화 : 이후 갑오개혁시기에는 소학교와 중학교로 분화되었고, 일제시대에는 원산보통학교, 원산제일국민학교 등으로 개편되어 1945년까지 지속되었다. |
원인 原因 cause
|
1. 변화?운동 혹은 행위를 가능하게 한 힘 2.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분류 ⑴ 사물의 발생을 본질적으로 결정하는 형식적(formal) 원인, ⑵ 사물의 자료가 되는 질료적(質料的, material) 원인 ⑶ 결과를 야기 시키는 힘을 의미하는 효율적(efficient) 원인 ⑷ 목적을 의미하는 궁극적(final) 원인 ⑸ 신(神)을 의미하는 제일의(first) 원인 3. 르네상스의 시기에는 원인을 존재하는 실체적 대상(object)으로 생각했으나, 오늘날에는 일반적으로 에너지나 행위의 형태로 이해한다. 뉴우튼은 "같은 결과에는 같은 원인이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밀(J. S. Mill)은 한 결과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다고 주장한다. 4.원인과 결과의 관계는 사건간의, 혹은 변화의 관계이며 논리적으로 독립된 두 개의 개념들로 표현될 때, 한 사건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충분조건으로서의 다른 한 사건이 원인이 된다. ? 결과, 인과론, 인과율 |
원점절목 圓點節目
|
1. 원점에 대한 시행 규칙 2. 원점이란 조선조 때 성균관과 사학(四學) 유생들의 출결석을 점검하기 위한 일종의 출석부로서 식당에 들어갈 때 도기(到記)에 찍었던 점으로 아침?저녁 두 끼를 1점으로 하고, 일정한 점에 이르면 과거(科擧)를 볼 자격을 부여하였다. |
위계 位階 hierarchy
|
1. 공식조직(公式組織)을 구성하는 구성원들 간에 상하의 등급(等級) 내지 계층을 상정하여 각 계층간에 권한과 책임을 배분하고 명령?복종?지휘감독 체계를 확립하는 것 2. 어떤 조직이든지 그 편성?운영을 담당하는 자는 부하에게 권한의 일부를 위임하게 되고, 그 부하는 자기의 권한보다 작은 권한을 바로 밑의 부하에게 위임하게 되는 등급화 과정을 거쳐 각 계층간의 명령?복종관계를 명확히 하고, 명령이 피라밋형 조직의 정점으로부터 최저변에 이르기까지 도달하는 체계를 확립한다. 3. 위계는 계층제?계서제(階序制)라고도 하는 데 이는 원래 가톨릭의 교권제도(敎權制度)에서 유래되었으나 오늘날의 대부분 조직의 기저를 이루고 있다. 4. 행정조직 흑은 관료제 조직은 수평적으로는 직무(職務)의 분업화에 의해서 각 부서 조직이 설치되는 동시에 하나의 부서가 하나의 활동 단위로서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직적인 계층제를 확립해야 한다. |
위계성 位階性 hierarchy
|
1. 학습과제의 내용이나 행동적 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했을 때, 어떤 특정 내용요소나 행동적 특성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내용요소나 행동적 특성을 선행(先行)해서 학습해야 하는 것과 같은 내용요소간의 상호관계 2. 위계성을 내용적 체계에 따라 설명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학습을 위해 요구되는 행동적 특성에 따라 설명하는 사람도 있다. 3. 오수벨(D. P. Ausubel)은 학습과제를 내용적 측면에 따라 그 위계성을 설명하는가 하면, 가녜(R.M. Gagne)는 행동적 측면과 내용의 측면이 복합된 방식으로 설명하고 있다. 4. 설명 중 널리 알려진 것은 지적 기능(知的技能) 영역에 관련하여 가녜가 설명하고 있는 방식이다. ? 학습위계, 지적 기능 |
유물론 唯物論 materialism
|
1. 우주의 근본적인 실재(實在)를 물질이라고 보아, 물질 및 그 운동이 세계원리이며, 의식이나 정신도 물질적 진행의 소산이라고 하는 견해 2. 유물론의 기원은 철학의 기원과 때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철학의 시초가 유물론적 자연학으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3.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Demokritos)는 우주의 궁극적 실재를 원자(atom)로 보고, 일체의 생성변화는 원자의 기계적 운동과 결합의 소산이라고 하여 인간의 정신현상까지도 원자의 기계적 운동으로 환원시켰다. 4. 유물론에는, 이와 같이 세계의 모든 현상을 물질과 그 운동의 법칙에 의하여 설명하려는 기계론적(mechanical) 유물론과, 19세기 중엽 이후 마르크스(K. Marx)와 엥겔스(F. Engels)에 의해 확립된 변증법적(dialectical) 유물론이 있다. ⑴ 변증법적 유물론은, 기계론적 유물론에서와 같은 불변적인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양(量)에서 질(質)로, 질에서 양으로 부단히 이행하는 영원한 운동과정 속에서 물질을 파악하였다. ⑵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이 견해를 자연현상뿐만 아니라 사회와 역사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세계의 역사를 대립되는 경제적 집단간의 끊임없는 충돌을 통한 정립?반정립?종합의 변증법적 전개과정으로 보는 유물사관(唯物史觀)을 확립했고, 이는 공산주의의 기본철학이 되었다. |
유아학교 幼兒學敎 infant school
|
1. 만 5세부터 7, 8세에 이르는 어린이를 위한 영국의 교육기관. 한국의 유치원, 프랑스의 에콜 마텔넬(Ecoles Maternelles)과 같이 어린이를 위한 교육기관이다. 2. 영국의 오웬(R. Owen)이 1816년과 1824년 사이에 뉴라나크(New Lanark)의 방직공장에 세운 성격형성(性格形成) 학원을 그 시초로 보고 있다. 그 후 오웬의 뜻을 받든 후원자들이 런던을 비롯한 각지에 유아학교를 설립하였다. 3. 그러나 그후 영국의 월더스핀(S. Wilderspin)이나 스토우(D. Stow)가 주축이 되어 유아학교의 교육이념이 주입식?암기식 교육으로 바뀌게 되었다. 4. 프뢰벨(F. W. A. Frobel)의 유치원 교육철학이 영국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서 영국 유아학교의 교육은 다시 아동 중심 교육으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아동 심리 및 진보주의 교육은 그러한 변화에 박차를 가하게 하였다. 5. 현재 영국 유아학교는 놀이 및 활동 중심이며,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미국의 개방식 교육운동에 영향을 끼쳤다. |
유의미학습 有意味學習 meaningful reception learning
|
1. 새로이 배워야 할 내용들은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기존의 인지구조와 관련지어 질 때 학습자에게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게 되어 학습이 유의미하게된다는 것으로 오수벨(D. P. Ausubel)이 사용한 개념 2. 학교 학습이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구조화된 지식의 본체를 조직해 나가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발견학습을 주장한 브루너(J. Bruner)와 공통된다. 3. 그러나 브루너가 학생 나름대로 지식을 구조화하도록 하는 것과는 반대로 오수벨은 교사의 임무는 전달하고자 하는 새로운 지식을 이미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과 연관지어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사실과 원리들을 무선적으로 암기하게 하기보다는 더 의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4. 유의미 학습은 암기식 학습 보다 더 오랫동안 기억되고 다른 지식과 더 잘 통합되며 전이 또는 적용을 위해 쉽게 활용된다. 5. 오수벨은 교사들이 효과적인 설명식 강의를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유의미 학습이 가능하도록 내용을 구조화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주력하였다. |
유인 誘因 incentive
|
1. 어떤 목표활동을 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자극으로서 실제적 목표가 될 수 있는 어떤 대상 2. 넓은 의미로 사용될 때에는 목표와 같은 뜻을 가진다. |
유추 類推 analogy
|
1. 간접 추리의 한 종류로서,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갖는 두 개의 특정한 사건이나 사물이 있을 때, 어느 한 쪽의 특성이 다른 쪽에도 존재할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 2. 가령 A와 B가 모두 열대성 다우지역(多雨地域)일 때, "A에서 x라는 식물이 번성하므로 B에도 x가 번성할 것이다"라는 식의 추리가 유추의 한 예이다. 3. 유추에 의한 결론은 개연적(蓋然的)이며, 유비(類比)?유비추리, 혹은 비론(比論)이라고도 한다. |
유층표집 類層標集 stratified sampling
|
1. 확률적 표집방법의 하나 2. 연구하고자 하는 변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사전에 고려하여 하위전집(subpopulation)으로 구분하여 각 하위 전집, 또는 하위유층에서 표집함으로써 표집오차를 줄이기 위한 표집방법 3. 예를 : 수학 학력조사에서 학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성별 및 학군(學群)에 따라 상당히 학력변산이 크다고 할 때, 이를 남녀와 학군별로 구분하여 각 하위유층으로 구분하여 각 유층 내에서 무선적으로 표집 하는 것이 단순 무선표집보다는 그 표집오차가 적어지므로 보다 대표적 표집이 될 가능성이 많게 된다. 4. 특히 각 유층 내에서 표집의 크기를 전집의 구성비율과 같게 무선표집 할 때 이를 비율적 유층표집(比率的類層標集)이라고 한다. |
유치원 幼稚園 [영] kindergarten [독] Kindergarten
|
1. 학령전기 어린이를 위한 유아교육 기관 2. 최초의 유치원에서는 만 2세 이후의 학령전기 어린이들을 교육하였으나 현재는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1~2년 동안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기관으로 특징지어져 있다. 3. 프뢰벨(F. W. A. Frobel)은 세계 최초로 유치원 교육을 놀이 중심?활동중심으로 이끌었으며, 지금은 그러한 개념이 더욱 발전?확대되었다. 4. 전세계적으로 유치원은 공교육화되어 가고 있다. 5.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 유치원은 1909년에 설립된 함경북도의 「나남(羅南) 유치원」이다. |
육영공원 育英公院
|
1. 구한말(舊韓末) 고종 23(1886)년 9월, 관리 양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세운 최초의 신식 교육기관 2. 좌원(左院)과 우원(右院)의 2개 반을 두어, 좌원에는 젊은 문무관리 중에서, 우원에는 15세에서 20세 사이의 양반자제 중에서 골라 입학시켰다. 3. 한국 최초의 신식학칙(新式學則)이라고 할 수 있는 육영공원 설학절목(育英公院說學節目)에 의하면 수업연한은 3년으로 되어 있으나 교사들은 7년으로 잡고 처음 3년은 예과, 나머지 4년은 대학과정의 본과로 하려고 했던 것 같다. 4. 교과내용은 학습차제(學習次第)라 하고 책 읽기 [讀書]?글쓰기[習學]?외국어(外國語)?수학?자연 과학?지리?역사?정치학?국제법 경제학 등을 교수하려 했으나 그 중 일부분은 실현되지 못했다. 5. 강의는 영어로 했으며 교과서도 영어로 된 것을 채용하였다. 학생수는 1886년에는 35명, 1887년에는 20명, 1889년에는 50명이었다. 6. 교사는 미국인인 헐버트(H. B. Hulbert)?벙커(D. A. Bunker)?길모어(G. W. Gilmore) 등이 초빙되었고, 이들 중 길모어가 귀국한 뒤, 기포드(D. L. Gifford) 목사가 얼마동안 이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7. 1894년, 「영어학교」로 교명을 바꿀 때까지 육영공원은 한국교육이 근대적인 신교육으로 전환?발전하는 과정에서 교량적 역할을 한 최초의 관립학교였다. 설립 당시에는 서울 정동(貞洞)에 있다가 1891년 전동(?洞)으로 이전했다. |
은물 恩物 [영] gifts [독] Gabe
|
1. 보고, 만지고, 느끼며 노는 동안 수개념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일종의 계획된 장난감 2. 예컨대 프뢰벨(F. W. A. Frobel)의 은물은 단계적으로 주어야 하는데, 그 종류 및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⑴ 첫째 은물 : 직경이 6cm인 빨강?노랑?파랑?주황?초록?보라색의 색 공 ⑵ 둘째 은물 : 지름이 6cm인 공, 지름이 6cm, 높이 6cm인 원통, 한 변이 6cm인 정육면체 및 이 세 가지의 중심을 꿰뚫어 함께 매달 수 있는 대. 이 세 가지를 빙빙 돌리면서 놀게 된다. ⑶ 셋째 은물 : 8개의 2.5cm의 정육면체가 들어 있는 상자 ⑷ 넷째 은물 : 5cm×2.5cm×l.25cm 크기의 직육면체 8개가 들어 있는 5cm의 입방체 상자. ⑸ 다섯째 은물 : 2.5cm의 입방체 21개, 2.5cm의 입방체 3개를 각각 이등분한 삼각주 6개, 2.5cm의 입방체 3개를 각각 사등분한 작은 삼각주 12개, 이모든 것이 들어갈 수 있는 7.5cm의 정육면체 상자. ⑹ 여섯째 은물 : 1.25cm×2.5cm×5cm인 직육면체 18개, 2.5cm×2.5cm×l.25cm의 직육면체 12개, 1.25cm×1.25cm×5cm의 직육면체 6개인 도합 36개의 조각이 들어갈 수 있는 7.5cm의 정육면체 상자 등이다. |
음서 蔭敍
|
1. 인재등용의 길인 과거를 통하지 않고 부조(父祖)의 국가에 대한 공에 따라 그 후예들을 관리로 채용하던 관리임용방식 2. 이러한 방법은 고려조에서 시작되어 조선조까지 계속되었다. 3. 고려조에서는 귀족의 자제들이 부조(父祖)의 공음(功蔭)으로 출세하는 음사(蔭仕)?음보(蔭補)가 있었고, 조선조에서는 공신의 자손이나 궁정(宮廷)의 친척관계 등으로 특서(特敍)하는 문음(門蔭)과 학덕이 뛰어나 재조(在朝) 고관이나 지방관 또는 지방민의 추천으로 특서하는 천거(薦擧)가 있었다. 4. 조선조에서는 음자제(蔭子弟)의 등용시험을 매년 정월에 행했고, 공신과 2품 이상인 자의 아들?손자?사위?아우?조카와 3품인 자의 아들?손자, 이조?병조?도총부(都摠部)?사헌부?사간원?홍문관?부장(部將) 및 선전관 등의 음직(蔭職)을 역임한 자의 아들로서 20세 이상인 자는 간단한 시험으로 실직(實職)에 임용하되 녹사(綠事)가 되려는 자도 또한 허가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