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념 信念 belief
|
1. 판단?주장?의견 따위를 진리(眞理)라고 생각하는 마음의 상태 ⑴ 마음의 상태가 언어로 표현되지만, 언어적 표현 그 자체가 아니라 표현의 의미가 신념이다. ⑵ 신념에는 참[眞]인 것과 거짓[僞]인 것이 있으며, 참 신념 중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지식(知識)이라고 부르지만 참신념이라고 해서 다 지식은 아니다. ⑶ 또, 신념은 마음의 상태이지만, 그 상태는 언제나 의식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주의를 기울일 때에만 의식된다. ⑷ 예컨대 “어제 비가 왔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어도, 우리는 그것을 계속적으로 의식하지는 않는다. ⑸ 그래서 신념은 성향(性向)의 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한다. 2. 자기 생각을 굽히거나 의심하지 않으려는 의지(意志) 또는 정신적 태도. 여기에는 감정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며, 확신(確信, conviction)이라고도 한다. ?지식 |
신념체제 信念體制 belief system
|
1. 개별적인 신념들이 어떤 원리에 따라 서로 관련, 조직되어서 하나의 통일적 전체를 이루고 있는 상태 2. 인간은 누구나 신념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서 생각하고 행동한다 3. 따라서, 그것은 세상을 보는 지도(地圖)에 비유될 수 있다 4.. 한계 : 정밀한 측량과 일관된 원리에 의해서 제작된 것이 아니라, 마치 사물을 분류(分類)할 때 나타나는 유아(幼兒)의 사고(思考)처럼, 즉흥적이고 임의적인 원칙에 의해 제작된 오류 투성이 지도이다. 5. 그 속에는 서로 모순된 신념들이 공존(共存)하면서도, 그 신념들은 서로 다른 원칙들에 의해서 관련되어 있다. 6. 이 원칙들의 통일된 정도는 그 사람의 지성(知性)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일관성 있는 원칙에 의해 통합된 신념체제는 건전한 인격체(人格體)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조건이다. ?신념 |
신뢰도 信賴度 reliability
|
1. 한 검사의 신뢰도를 실제로 어떻게 추정하느냐에 따라 조작적인 견지에서 볼 때 여러 가지 다른 의미로 정의된다고 보겠으나,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그 검사가 얼마나 신뢰성 있게 또는 정확하게 측정해 주고 있느냐 하는 정도. 2. 한 검사점수가 일관성 없이 어제 측정한 결과와 오늘 측정한 결과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변화하여, 그 결과를 믿을 수 없다면 그 측정결과는 아무런 소용이 없을 것이다. 3. 한 검사가 어떤 목적으로 쓰이기 위해서는 우선 최소한의 신뢰도가 있어야 할 것이다. 4. 신뢰도란 여러 가지 오차의 근원, 즉 검사도구?피검사자 및 검사 실시 과정 등에서 오는 변산적 오차(變算的誤差)의 정도가 어느 정도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수가 된다. 5. 한 검사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신뢰도 계수는 관찰변량에 대한 오차 변량의 비로 정의되지만 실제의 진점수(眞點數)와 오차의 정확한 양은 알 수 없으므로 단지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하여 일종의 모수치(母數値)에 대한 추정치를 구하는 수밖에 없다.?앞에서 정의된 신뢰도란 하나의 기본 가정인 것이며, 어떻게 이를 추정하느냐에 따라 한 검사에는 여러 가지 신뢰도계수가 있을 수 있다. 7. 신뢰도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에는 검사-재검사 신뢰도, 동형검사 신뢰도, 반분신뢰도, 쿠더-리처드슨 신뢰도 방법이 주가 되며, 이외에도 호이트(Hoyt)?룰론(Rulon) 및 크론바하(L.J. Cronbach)의 신뢰도에 대한 개념과 그 추정방법이 있다. |
신마르크스주의 新―主義 neo-Marxism
|
1. 모든 사회적 현상을 생산양식과 생산관계로 설명하려는 경제결정론적인 고전적 마르크스주의의 사고에 한정하지 않고 인간의 주체적 인식과 해방적 의식을 강조하는 경향의 마르크스주의적 노선 2. 흔히 정통 마르크스주의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마르크스-레닌주의는 소련 공산주의의 지배적 이데올로기가 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나치즘과 파시즘에 대항하여 싸운 지식인들은 마르크스주의를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3.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한편으로는 계급투쟁이론을 특징적으로 부각시키고 교조적 마르크스주의를 내세워 독재체제를 이끌어 온 소련 공산주의의 왜곡된 이론을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적 자본주의의 체제에서 경험하는 인간소외를 극복하고 해방적 의식을 실현하려는 데 주된 관심을 바쳐 왔다. 4. 신마르크스주의는 하나의 독특한 사상적 노선이라기보다는 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나타난 다원적 노선의 공통된 경향을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신마르크스주의자들로는 루카치(G. Lucacs), 샤프(A. Shaff) 등과 같이 동구권의 학자들도 다소 있지만 대개가 공산국가가 아닌 지역의 학자들이다. 알뛰세(L. Althusser), 보울즈(S. Bowls), 진티스(H. Gintis) 등의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블로흐(E. Bloch) 등의 신비주의적 마르크스주의, 번스타인(E. Bernstein) 등의 경험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싸르뜨르(J. Sartre) 등의 실존주의적 마르크스주의, 메를로-뽕띠(M. merleau-Ponty), 프레이리(P. Freire) 등의 현상학적 마르크스주의, 호르크하이머(M. Horkheimer), 아도르노(T.W. Adorno), 마르쿠제(H. Marcuse), 프롬(E. Fromm), 하버마스(J. Habermas) 등의 비판이론적 마르크스주의, 그 외에 인본주의로 일컬어지는 여러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이 있다. 5.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주로 인본주의, 소외이론, 관료주의 비판, 자본주의적 산업사회의 비판, 혁명에 있어서의 지식인의 역할 등에 이론적 관심을 두고 있다. 6. 교육의 문제와 관련해서는 주로 자본주의적 사회체제에서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기능, 억압적 문화의 구조, 소외의 개념, 실증주의의 도구적 합리성 등의 분석, 그리고 해방적 이성의 실현을 위한 문제 등에 관심이 주어지고 있다. ?마르크스주의 |
신인본주의 新人本主義 neo-humanism
|
1. 18세기 유럽에서 일어났던 교육사조의 하나. 문예부흥(Renaissance) 이후 유럽을 풍미한 인문주의(humanism)보다도 훨씬 그리이스어의 습득을 강조했다. 2. 인본주의자들이 주로 라틴어에 관심을 기울여, 그리이스어는 자연히 라틴어보다는 덜 중요시되었고, 단지 그리이스어로 된 신약성서를 읽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데 불과했다. 3. 18세기에 들어와, 그리이스인들의 자유롭고 민주적인 생활양식이 이상적인 것으로 부각됨에 따라 그리이스어가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었다. 4. 신인본주의는 19세기 유럽의 교육 과정에 영향을 끼쳤던 것 같다 ※ 예 : 19세기 독일의 유명한 교육학자인 헤르바르트(J.F. Herbart)는 그리이스 시인인 호머(Homer)의 《오딧세이》(Odyssey)를 도덕 교육의 중요한 교재로 생각했다. ?인본주의, 실학주의 |
신자유주의 新自由主義 neo-liberalism
|
1. 인간 개성의 자유로운 신장을 중시하는 자유주의의 전통적 이념을 유지하면서 고전적 자유주의의 원자론적, 방임적 개인주의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사상적 경향 2. 19세기의 후반부터 영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나타난 진보적 사상가들 중에는 전통적 자유주의가 의존해 온 자연권의 사상, 사유재산권의 원칙, 경제적 자유, 무한적 경쟁, 최소정부의 이론, 원자론적 개인주의, 고전적 실증주의 등을 공격의 대상으로 삼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3. 그들은 한편으로 빈곤, 실업, 질병 등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 자유주의의 형식과 정신과 전통 그 자체에 매이지 않고 사회주의를 포함한 광범한 시대적 사상체계들을 종합하는 데 열중하였다. 4. 신자유주의자들은 로크(J. Locke)에서부터 밀(J.S. Mill)에 이르는 동안 형성된 몇 가지의 자유주의적 기본원리를 결합시키고자 하였다. 즉, 개체로서의 인간이 지닌 합리성에 대한 신념, 진보와 발전의 개념과 점진적 개혁을 지향하는 인간능력에 대한 신뢰, 경험적 차원에서의 자유의 개념, 법 체제 속에서 개인의 기능을 다할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책임있는 대의정치의 권력을 허용하는 입헌적, 제도적 질서 등이 그것이다. 5. 사상가 : 헤겔학파에 속하는 관념주의자인 그린(T.H. Green), 브래들리(F.H. Bradley) 등, 진화론의 영향을 받아 사회적 유기체론에 의존한 홉하우스(L.T. Hobhouse), 리치(D.G. Ritchie), 홉손(J.A. Hobson), 로버트손(J.M. Robertson) 등, 그리고 미국의 프래그마티즘의 계열에 속하는 듀이(J. Dewey), 미이드(G.H. Mead) 등 6. 신자유주의자들은 대개 사회를 방임적 자유를 허용해야 하는 원자적 개체들의 조직이라고 보기보다는 오히려 개체들의 자유로운 참여에 의해서 이루어진 유기체적 공동체로 보려고 한다. 7. 개인의 존엄성은 개인이 고정된, 그리고 이미 결정된 실체이기 때문이 아니라, 문화적, 자연적 조건과 더불어 신장하면서 자신의 목적과 특성을 스스로 성취해 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주어지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자유주의의 의미는 역사적 상대성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이 어떤 개인이며 자유는 어떤 모습의 자유이냐의 질문에 대한 답은 시대에 따라서 다르다는 것이다. 8. 듀이는 당대의 자유주의적 과제를 언급하면서 종전의 자유주의는 과거의 관습과 타성에 의존하던 것에서 탈피하는 데 역점을 두었으나, 신자유주의는 인간이 자신의 지력에 의해서 옛 습관, 관습, 제도, 신념을 새로운 현실적 조건에 연결시키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자유주의 |
신체발달 身體發達 physical development
|
1. 신체가 외형적으로 커지고 질적으로 성숙해 가는 것 2. 신체발달에는 급속한 성장기, 완만한 성장기, 성장이 안정되는 성숙기가 있다. 3. 출생 후 6개월까지, 사춘기부터 15, 6세까지 급속한 성장을 하며 그 사이에는 완만하게 성장한다. 4. 20세 전후부터는 성장이나 체중의 성장이 중지되고 노년기에 접어들면 쇠퇴의 경향을 나타낸다. 5. 신체발달은 행동 면에서는 미분화된 행동에서 분화된 행동으로, 형태면 에서는 두부(頭部)에서 각부(脚部)로, 몸의 중추에서 말초부로, 기능 면에서는 일반적인 것에서 특수한 것으로 발달한다. 6. 신체발달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특수한 요인으로는 지리적 여건이나 기후?풍토?문화 등의 영향도 받는다. 7. 신체발달에는 개인차가 있지만 아동기에는 비교적 일반적인 규칙성을 갖고 있다. ?성격발달 |
실물교수 實物敎授 object lesson
|
1. 페스탈로찌(J. Pestalozzi)가 추상적이고도 언어중심적인 전통적 교육 방법에 반대하면서 내세운, 직접적이고도 즉각적인 감각 경험(sensory experience)을 중시하는, 개념 형성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 2. 대상이 되는 실물(대상: object)을 사용하여 그 형태를 추론하고, 수를 세고, 이름을 붙이는 등의 직접적 경험을 통하여 학습자는 사물을 효과적으로 개념화하고 그것과 관련된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는 인식론적 신념에 기초하고 있다. 3. 페스탈로찌의 낭만주의적, 자연주의적, 실재론적 교육철학을 잘 반영하고 있는 교육 방법이라 할 수 있다. 4. 이후에 진보주의의 시청각 교육 이론 및 몬테소리(M. Montessori)의 아동교육 원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실물투사기 實物投射機 opaque projector
|
1. 실물을 그대로 화면에 비추어 볼 수 있는 교육공학적(敎育工學的) 매체의 하나 2. 그림?신문?잡지?책 등 입체실물은 무엇이나 실물투사기에 걸어서 많은 학습자에게 동시에 제시할 수 있다. 3. 실물투사기는 자료제시판?영사용 전구?반사경?냉각장치?영사 렌즈 등으로 대별할 수가 있다. 자료제시판의 크기는 사방 약 25cm 크기의 자료를 보여줄 수 있는 정도이며, 영사전구는 교실의 암도와 화면의 선명도를 생각한다면 1kw 정도는 되어야 한다. 반사경은 광원(光源)을 자료에 골고루 보내기 위해서 오목 반사경과 화면의 좌우?상하를 정확한 위치에 보이게 하기 위해 평면 반사경을 3개소에 더 가지고 있다. 냉각장치는 광원의 강한 열작용 때문에 제시자료가 과열해서 타거나 손실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1/30마력 정도의 송풍기를 달아 놓고 있다. |
실사구시 實事求是
|
1. 사실에 토대를 두고 그 진상을 탐구하는 일 2. 《한서》(漢書) 경십삼왕전(景十三王傳)의 하간헌왕전(河間獻王傳)에서 나온 말로 공론(空論)만을 일삼는 양명학(陽明學)에 대한 반박으로, 청(淸)나라 고증학파(考證學波)가 내세운 학풍이다. 3. 고증학의 태도는 첫째로 그 예증(例證)이나 자료를 구함에 급급하며, 널리 한서(漢書)의 섭렵을 통한 방증에 노력하여, 급기야는 거기에 독창적인 새 견해를 세워 학문적 신 분야까지도 개척하려는 것이다. 환언하면 문헌적인 고증의 정확성을 존중하는 과학적 및 객관주의적인 학문태도를 말한다. 4. 우리나라에서도 이 같은 청나라의 고증학파에서 영향을 받아 이조 말의 실학파들의 태도로 이를 표방하였다. ? 실학사상 |
실용주의 實用主義 pragmatism
|
1. 미국사회에서 19세기말과 20세기초에 시작되어 전개된 현대철학의 사조 2.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이란 말은 퍼어스(C.S. Peirce)의 논문 에서 최초로 사용되었고 1907년 제임스(W. James)의 저서 《Pragmatism》에 의하여 이 사상의 전모가 드러나게 되었다. 3. pragmatism은 그리이스어인 pragma로부터 나온 말이며 어원적으로 pragma는 praxeis와 같다. praxeis는 행위 또는 행동을 뜻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실용주의(實用主義)라 번역한다 4.. 실용주의는 두 가지 일반적 특징이 있는데 첫째는, 행동적?실천적인 면에서 볼 때 어떤 사상이 진리를 갖고 있는지 아닌지는 그 사상 자체에 의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상을 만들어 낸 행위의 결과에 의해서 결정된다. 둘째, 동적?과정적(課程的)인 면에서 볼 때 행위?실천을 중시함으로써 진리를 동적(動的)?과정적으로 파악한다. 즉, 진리는 이미 있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며 선천적 이유, 고정된 원리, 폐쇄된 체계, 모든 절대자를 배척한다. 5. 퍼어스에 의하면 이론(理論)이란 머리 속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실험의 조작을 규정하고 지정하는 동시에 그 결과에 의해서 실증되는 것이며 실험행위에 의해 증명되지 아니하는 관념은 무의미한 것이라고 한다. 6. 제임스는 퍼어스의 생각에 동조하여 1907년 《Pragmatism》을 저술하여 미국 철학계에서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는 종래의 독일 관념론에 반대하여 진리의 근거를 실제적 효과에 두려고 함으로써 끝없는 형이상학적 논의를 종결시키고자 하였으며, 실용적 가치, 실천적 성과를 중시하여 미국인의 개척정신을 철학적으로 승화시켰다. 7. 제임스의 실용주의 철학에 접한 쉴러(F.C.S. Schiller)는 가치문제를 중심으로 실용주의에 접근했다. 즉, 순수한 이론적 가치의 존재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모든 가치는 실천적 가치이며 선(善)은 일체의 가치원형이라고 했다. 한편 듀이(J. Dewey)에 이르러 실용주의는 교육학?철학?윤리학?심리학?미학?논리학 등에 확산, 응용되어 도구주의(instrumentalism) 또는 실험주의(experimentalism)로 발전되었다. 그의 교육론은 20세기초에 형성?전개된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조와 관련하여 현대교육의 사상적 흐름에 영향을 준 바가 크다.?진보주의 |
실재 實在 reality
|
1. 궁극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실재를 무엇으로 보느냐는 철학적 입장에 따라 다르며, 철학에서 실재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영역을 형이상학이라 한다. 2. 우리의 지각작용에 나타나는 현상과는 달리 사물 그 자체를 실재라고도 하고(Kant), 우리가 경험하는 바의 내용 그것을 실재라고도 한다. 3. 「실재」라는 말은 때때로 경험이나 사유의 내용을 존재케 하는 질서, 법칙, 원리를 일컫기도 한다. ?실재론 |
실재론 實在論 realism
|
1. 인식(認識)의 대상이 인식작용의 의식(意識)이나 주관(主觀)에서 독립하여 존재한다고 보며, 그에 대한 객관적 파악에 의해서만 참다운 인식이 성립한다고 보는 입장 2. 실재론의 분류 : 어떤 대상이 우리의 주관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이 독자적으로 객관적 실재로서 존재한다는 견해와, 그와는 달리 관념적이라고 보는 견해가 성립될 수 있으므로, 실재론은 그 실재를 보는 견해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⑴ 소박한 실재론(naive realism) ⑵ 과학적 실재론 ⑶ 관념론적 실재론 ⑷ 신실재론(新實在論) ⑸ 비판적(批判的) 실재론 |
실조이론 失調理論 deprivation theory
|
1. 발달에 필요한 요소의 결핍에서 일어나는 발달상의 장애를 다루는 이론 2. 인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는 생물적인 영양만이 아니라 심리적인 영양도 필요로 한다. 원만한 성격이 형성되기 위해서 어머니의 사랑을 필요로 하는 것, 지능이 제대로 발달되기 위해서 풍부한 감각적 자극을 필요로 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3. 사회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 그 사회가 요구하는 문화유형(文化類型)을 습득하는 일도 발달을 위한 필수 조건이다. 4.사회가 요구하는 문화유형을 습득하는 것과 같이 심리적인 영양이 제때에 주어지지 못하면 자연 발달상의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발달상에 필요한 심리적 요소가 무엇이며 그것이 결핍될 때 어떤 장애가 일어나는가를 체계화한 것이 실조이론이다. 5. 이러한 실조이론에 의해서 감각실조(感覺失調)?모성실조(母性失調)?문화실조(文化失調)의 개념이 사용된다. 그리고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발견되는 장애의 상당부분은 이러한 실조이론에 의해서 설명될 수 있다는 전망이 있기 때문에 교육심리학과 발달심리학의 중요한 관심분야가 되고 있다. |
실존주의 實存主義 existentialism
|
1. 존재 혹은 실존(existence)의 의미와 기능을 밝히려는 철학적 입장 2. 19세기의 합리주의적 관념주의와 실증주의에 도전하면서 형성되고 발전된 철학사조(哲學思潮)로서 분석철학(分析哲學)과 함께 현대철학의 2대 조류를 이루어 왔다. 3. 실존주의의 유형과 관심은 매우 다양하여 일반적 특징을 추출하기는 어려우나, 대체적으로 존재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강조하고 실존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강조하고 있다. 4. 사르트르(J.P. Sartre)는 “실존은 본질(essence)에 앞선다”고 하면서 객관적으로 주어진 것으로 판단하던 본질에 대한 전통적 철학의 경향에 도전하였다. 본질은 주어진 것이 아니라, 실존하는 인간이 스스로 선택하거나 결정할 성질의 것이다. 그리고 실존은 단순한 객관적 존재가 아니라, 행동하는 주체적 존재, 즉 자기의 존재에 대하여 질문하고 지각하며 자유를 행사하고 그것에 책임을 지는 존재이다. 5. 실존주의자들은 종교적?예술적?형이상학적?도덕적?정치적 관심을 포함하는 다양한 관심의 세계를 접하고 있다. 그것은 아우그스티누스(St. Augustinus)의 내심의 세계, 니체(F.W. Nietzsche)의 디오니소스적인 낭만주의, 도스토예프스키(F.M. Dostoevskii)의 허무주의 등의 광범한 사상적 배경에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6. 실존주의 철학자들로는 키에르케고르(S. Kierkegaard)?야스퍼스(K. Jaspers)?마르셀(G. Marcel)?사르트르?하이데거(M. Heidegger)?메를로-퐁티(M. Merleau-Ponty)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