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심리학 性格心理學 personality psychology
|
1. 성격을 기술?설명하고 성격의 형성과정, 성격의 분류?진단?측정방법 등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 2. 성격에 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다. 3. 대표적인 성격이론들은 유형론(類型論), 특성론, 성격의 정신역학, 성격의 장이론(場理論), 성격의 역할이론 등이다. 4. 성격심리학의 주된 관심영역 : 성격구조?성격역동?성격발달 등인데 성격구조나 성격역동은 방법론이 제대로 발전되어 있지 않아서 별 진전이 없는 데 비해서 성격발달은 아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
성격형성학원 性格形成學院 Institution for the Formation of Character
|
1. 영국의 오웬(R. Owen)이 스코틀랜드의 뉴라나크(New Lanark)의 방직공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자녀를 위해 1816년에 창설한 유아학교(幼兒學校)의 이름 2. 뉴라나크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작업과 생활상태를 개선해 주기 위해 창설된 이 성격형성학원의 주목표는 「어린이들에게 좋은 일상생활 습관을 길러주는 것」이었고, 그 외에 읽기?쓰기?산수?지리?현대사?고대사?박물학?율동?음악 등을 가르쳤다. 이 성격형성학원이 오늘날 영국 유아학교(infant school)의 기초가 되었다. ?유아학교 |
성균관 成均館
|
1. 고려?조선조 때 있었던 유학교육의 최고학부 2. 신라시대는 국학(國學), 고려시대는 국자감(國子監) 등으로 불리었다. 조선조 시대에는 태조 7(1398)년에 숭교방(崇敎坊; 明倫洞)에 창설되었다. 3. 공자를 비롯한 성현을 제사하는 문묘(文廟)와 유학을 가르치는 명륜당(明倫堂), 그리고 유생들의 기숙사인 동서 양재(東西兩齋) 및 부속 건물의 총칭이다. 4. 문묘의 정전(正殿)인 대성전(大成殿)에는 공자를 비롯하여 중국의 유학자(94명)와 우리나라 유학자(18명)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5. 성균관의 관원으로는 지관사(知館事; 弘文館?藝文館大提學)을 두고 전임관원으로 대사성(大司成) 1명, 제주(祭酒) 2명, 사성(司成) 1명, 사예(司藝) 2명, 사업(司業) 1명, 직강(直講) 4명, 전적(典籍) 13명, 박사(博士) 3명, 학정(學正) 3명, 학록(學錄) 3명, 학유(學諭) 3명이 있었다. 6. 박사 이하는 정원 외에 봉상시(奉常侍)의 관원과 사학(四學)의 훈도(訓導)가 겸직하였다. 7. 성균관 유생의 정원[額]은 200명으로 생원(生員)?진사(進士)만 들어갈 수 있었으나 부족할 경우에는 사학의 생도 가운데서 보충하였다. 뒤에 경비부족으로 120명, 말기에는 100명으로 감축되었다. 8. 구한말인 1895년에는 성균관 경학과(經學科)를 부설하여 근대식 유학교육을 교수하였으며, 일제시대에는 문묘 향사의 기능만이 유지되다가 경학원(經學院)이 설치되기도 하였다. 이는 명륜전문학교에서 성균관대학교로 발전되었다. |
성년의식 成年儀式 initiation?성년식
|
1. 원시사회에서 일정한 연령에 도달한 소년 혹은 소녀에게 그 사회의 일원으로서 필요한 규범?가치?부족(部族)의 역사?생활에 필요한 기술과 지식 등을 가르치고 성인(成人)이 됨을 축하하기 위해 행해지던 의식(儀式) 2. 성년식은 반드시 성년이 되는 과정에서만이 아니라, 어떤 특정한 사회의 성원이 된다든가, 어떤 작업집단에 속하게 되는 과정에서도 행하여진다. 3. 성년식의 목적은 소년기에 종지부를 찍고 신체적?정신적 성숙을 축하하며, 가족의 일원임을 벗어나 사회의 일원으로서 재생시켜 교육받을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데 있다. 4. 주로 남자에게 행해졌으며, 부족단위의 큰 행사로 그 기간도 며칠씩 걸리는 경우가 많았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형식으로 남아 있을 뿐이다. 5. 성년식에 참여할 수 있는 연령과 의식의 절차는 부족마다 달랐으나, 대개 10세에서 18세 사이에 각 부족의 종교적 의식을 빌어 실시되었다. 교육적 입장에서 볼 때 성년식은 소년으로 하여금 가정교육의 테두리를 벗어나 여러 가지 사회생활에 필요한 것들을 배우고 당당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다. 6. 영국의 교육 철학자 피터스(R.S. Peters)는 교육을 성년식에 비유하여 설명하였다. ?피터스에 따르면 교육은 새로운 세대에서 기성(旣成) 문화체제에 입문케 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성리학 性理學 neo-Confucianism
|
1. 주자(周子)와 정자(程子) 등이 그들의 천리사상(天理思想)을 선진(先秦) 때부터 논의되기 시작한 유가(儒家)들의 성론(性論)과 노장사상(老莊思想)과 불교의 영향을 받아 이론적으로 심화시킨 철학적 체제 2. 유교의 심지(深旨)가 되는 천도(天道)와 인도(人道)가 합일되는 근거를 천명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주자학(朱子學)?정주학(程朱學)?송학(宋學)?도학(道學)이라고도 한다. 3. 성리학이라는 명칭은 주돈이(周敦?)의 제자 정호(程顥)가 천리(天理), 정이(程?)가 성즉리(性卽理)라고 말한 데서 기인한다. 그 후 주자가 주돈이?장횡거(長橫渠)?정명도(程明道)?정이천(程伊川)?나종언(羅從彦) 등의 학설을 계승하여 대성했다. 4. 성리학은 대체로 태극론(太極論)?이기론(理氣論)?심성론(心性論)?성경론(誠敬論)으로 구분된다. 태극론과 이기론은 자연의 존재법칙을 연구하는 우주론이고, 심성론과 성경론은 당위(當爲)를 문제삼는 실천 윤리로서 인사(人事)를 문제의 대상으로 삼는다. 5.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안향(安珦)이 최초로 받아들였고, 정몽주(鄭夢周)?이색(李穡)?길재(吉再)를 거쳐 조선조에 이르러 크게 발달하였으며, 조선 중기에는 이황(李滉)?이이(李珥)에 이르러 그 전성시대를 이루었다. |
성선설 性善說
|
1. 인간의 타고난 성품은 본래 선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설. 2. 맹자(孟子)에 의하면, 인간의 성(性)은 측은(惻隱)?수오(羞惡)?사양(辭讓)?시비(是非)의 마음을 본래 가지고 있으며, 그 각각이 인(仁)?의(義)?예(禮)?지(智)의 4단(四端)이라고 하였다. ?성악설 |
성숙-미성숙 이론 成熟-未成熟理論 maturity-immaturity theory
|
1. 완전한 성숙에 이른 사람은 거의 없고 성숙한 인간의 속성은 그가 속한 문화나 개성의 규범에 의해 억제되기 때문에 완전한 형태로 표현되지 않는 한 연령이 많아짐에 따라 인간은 성숙 쪽으로 발달하게 된다고 보는 이론 2. 아지리스(Chris Argyris)는 작업현장 내에서의 관리방식이 인간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해 연구했다. ⑴ 어떤 조직에서는 구성원을 미숙한 상태로 묶어 놓으려 하고, 또 어떤 조직에서는 구성원을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격려하고 지원한다. ⑵ 연구의 결론은 구성원을 미성숙에 묶어두지 않고 성숙으로 향한 길을 마련해 주어 책임을 많이 부여하고, 신의와 존경을 바탕으로 하며, 직무를 단조롭게 하는 분업을 지양함으로써 각자가 성숙한 인간임을 인정할 때, 조직의 효과성도 높아진다는 것이다. ⑶ 그러나 공식조직은 대부분 인간이 미성숙한 행동을 하도록 하는 속성이 있다. ⑷ 한 사람이 조직에 들어갈 경우, 그 조직에서 활용되고 있는 관리방식에 의해 그 사람의 성숙이 영향을 받는다. ⑸ 성숙을 억제하는 조직에서 개인은 자신의 환경에 대하여 최소한의 영향력밖에 행사할 수 없게 되며 수동적이고 의존적이며 종속적인 행동이 유발된다. 즉, 미성숙한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⑹ 아지리스는 인간을 완전히 실현될 수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지닌 존재로 파악하였다. 이 점에서 Y이론과 유사하다. 3. 개인의 미성숙과 성숙은 연속적인 발달과정으로 성숙으로의 발전이란 능동적 행위, 독립심, 다양성, 깊고 강한 관심, 장기적 전망, 대등하거나 우월한 위치, 자아의식과 자기통제로의 전환을 말한다. 4. 조직 구성원이 미숙에서 성숙으로 변화하는 것은 개인은 물론 조직의 목적달성에도 유익하다. 따라서 구성원이 창의성, 자율성 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직을 운영함으로써 개인의 성숙을 도와야 한다. 5. 아지리스의 연구는 조직풍토와 개인의 발전과의 관계를 중시한 것으로 조직풍토 연구, 조직발전 등에 관한 연구에 영향을 주었다. |
성악설 性惡說
|
1. 인간의 성품은 본래 악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설 2. 순자(荀子)에 의하면, 사람의 성(性)은 선천적으로 악한 것이므로 배움과 수양을 통하여 선하게 바로잡아야 된다고 했다. ↔성선설 |
성인교육 成人敎育 adult education
|
1. 청년이나 성인기의 개인이 사회적 역할을 보다 잘 수행하고 개인적 성장을 추구하기 위하여 지식, 기술, 태도의 변화를 지향하는 학습 활동 과정 2. 성인교육은 연령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으로, 학교나 대학에서의 조직적인 교육과 여가활동 등의 비체계적 활동 등은 그 범주에서 제외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3. 유네스코(UNESCO)를 비롯한 국제 기구들의 성인교육에 관한 주장을 종합해 보면 성인교육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 영역의 교육을 포함하고 있다. 기초교육(fundamental education), 교양문화교육(cultural education), 그리고 직업교육(vocational education)이 그것이다. ⑴ 기초교육 : 주로 개발도상국가의 성인교육에서 중시되는 영역으로 문맹퇴치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과 농촌개발 등 지역사회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⑵ 교양문화교육 : 보다 발전된 국가의 성인교육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변화에 부응하는 교육과정 운영, 여가선용을 위한 교육실시, 고등교육 기회의 확대 등이 중시된다. ⑶ 직업교육 : 성인교육을 경제발전과 밀접하게 연결시켰을 때 중시됨?청년과 성인을 위한 직업 준비 훈련과정, 직업인에 대한 재훈련 과정, 혁신적 기술과 변화하는 지식에 관한 훈련과정 등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성인교육의 중요한 영역인 것이다.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과학과 테크놀로지가 발달함에 따라 학교를 졸업한 이후의 계속교육, 즉 성인교육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4. 이제 성인교육은 그 교육영역은 물론 교육방법도 다양화되어 현대의 발달한 매체를 통한 개방된 교육환경 속에서 전문교육으로서의 위치를 정립해가고 있으며, 학문적 가치 탐색의 중요한 분야로 발전하고 있다. |
성장 成長 growth
|
1. 유기체(有機體)가 단세포(單細胞)의 집합자(集合子)로부터 성인이 되기까지의 질적?양적 변화과정 ⑴ 성장을 양적 변화, 발달(development)을 질적 변화로 보는 학자도 있으나 두 어휘를 서로 바꾸어 써도 크게 무리는 없다. ⑵ 예 : 신체적 성장은 신체적 발달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⑶ 경우에 따라서는 성장이라는 말이 어색할 대도 있다. 예컨대 성격발달을 성격 성장이라고 말하는 경우는 드물다. 2. 인간의 성품, 능력, 신념, 태도, 지력 등이 자연적?문화적 환경에 적응하는 힘이 향상되고 내적으로 통합을 성취하면서 재구성되는 과정. 듀이(Dewey)는 교육에 의한 인간의 성장을 경험의 재구성으로 설명한다. ?경험의 재구성 |
성적 발달 性的發達 sexual development
|
1. 아동 후기가 끝나기 직전에서부터 아동의 신체적 발달상에 성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것. 즉, 사춘기의 두드러진 신체적 변화를 말한다. 2. 성적 발달시기에는 성기관(性器官)에 1차적 성 특징의 발달이 현저해져서 성호르몬의 분비가 시작되고 체형(體型)이 변화되어 남자는 남자다워지고 여자는 여성다워지게 된다. 3. 2차 성 특징은 남자의 경우 변성(變聲), 음모(陰毛) 발생, 골격구조와 근육이 단단해지고 수염이 생기는 등의 특징을 볼 수 있으며, 여자의 경우는 월경 개시, 유방의 융기, 음모의 발생, 골반의 확대, 피부의 광택, 곡선적 체형 등 여성적 특징이 나타나게 된다. |
성취동기 成就動機 achievement motivation
|
?어떤 것을 할 때 그것의 수월성 또는 탁월성의 기준에 도달하기 위해 가치가 있거나 중요한 일을 이룩하려는 사회적 동기. |
성학십도 聖學十圖
|
1. 조선시대의 유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1568년(선조 1년) 선조에게 올린 일종의 상소문 형태인 차자(箚子). 전 1책. 목판본. 2. 퇴계는 《성학십도》를 만든 이유가 「덕을 쌓는 기초」(積德之基)를 밝히는데 있음을 강조한다. 즉 선조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실현하여 줄 것을 기대하면서, 도(道)에 관한 학문의 요체를 도식과 함께 실었다. 3. 퇴계는 유학을 성학(聖學)이라 표현하고, 유학의 핵심을 10개의 도표와 그 해설로서 드러내었다. 도표는 태극도(太極圖), 서명도(西銘圖), 소학도(小學圖), 대학도(大學圖), 백록동규도(白鹿洞規圖),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 인설도(仁設圖), 심학도(心學圖), 경재잠도(敬齋箴圖), 숙흥야매잠도(夙興夜昧箴圖) 등이다. 4. 내용 서술은 도표와 함께 반드시 앞부분에 경서(經書)와 여러 성현들의 글 가운데 적절한 내용을 인용한 뒤 저자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⑴ 10개의 도표 가운데 7개의도표는 옛 성현들이 작성한 것 중에서 가려 뽑아 이를 퇴계가 부분적으로 보완한 것이고, 나머지 3개의 도표는 퇴계 스스로가 작성한 것이다. ⑵ 퇴계 자신이 작성한 것은 소학도, 백록동규도, 숙흥야매장도 등이다. ⑶ 제 1도에서 제 5도까지는 천도(天道)에 근원하여 유학을 설명한 것이고, 제 6도부터 제 10도까지는 심성(心性)에 근원을 두고 유학을 설명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⑷ 퇴계의 성학십도를 일관하는 사상은 경(敬)이다. 그는 경(敬)의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곧 생각과 배움을 겸하고, 동(動)과 정(靜)을 일관하고, 마음과 행동을 합치시키고, 드러난 것과 숨은 것을 한 가지 되게 하는 도리라고 하여, 경(敬)이 유학자가 지녀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임을 강조하고 있다. 즉 경(敬)은 언제나 마음을 「깨어있는 상태」(惺惺)로 두게 하고, 욕심과 사념(邪念)을 없게 하여 사물의 본질을 헤아릴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원문은 『퇴계집』에 실려 있다. |
성학집요 聖學輯要
|
1. 조선조 14대 선조 8(1575)년에 홍문관 부제학으로 있던 율곡(栗谷)의 본지(本旨)에 의거하여, 성현의 말을 인용하여 설명한 책이다. 2. 13권 7책으로 된 이 책의 편차(編次)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권 총설(總說), 2권 수기(修己) 상, 3권 수기 중, 4권 수기 하, 5권 정가(正家), 6권 위정(爲政) 상, 7권 위정 하, 별책 성현도통(聖賢道統)으로 되어 있다. |
세사미 스트리트 Sesame Street
|
1. 미국에서 1969년에 처음 방영(放映)이 시작된 3, 4, 5세 유아(幼兒)를 위한 텔레비젼 프로그램 2. 미국의 CTW(Children's Television Workshop)에서 그 기획 및 제작을 맡고 있으며 CPB(Corporation for Public Broadcasting)와 교육국(U.S. Office of Education)에서 제작비를 담당하고 있다. 3. 유아교육 기회를 가질 수 없는 문화정도가 낮은 환경에 있는 유아들에게 학령전기(學齡前期)에 충분한 자극과 동기를 유발해 주기 위한 보충적 프로그램으로 인지적(認知的) 기술 특히 언어적 기술에 강조를 두었다. 4. 사전?사후 평가결과 이 프로그램을 자주 시청하는 아동은 글자?수, 기하학적 형태와 같은 상징적 표상, 문제해결, 이유말하기 등 제작목표에서 의도한 기술 습득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5. 처음 시작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저소득층 유아의 환경을 자극하여 중산층 유아와의 문화적 차이를 없애주어 학교에 들어가 바람직한 적응을 하도록 기획된 것이나, UHF로 방영되기 때문에 저소득층에서는 UHF채널이 달린 TV를 구입할 재정적 능력이 없어 저소득층과 중산층 유아의 문화차이를 보다 크게 해주고 있다는 비평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