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인 周邊人 marginal man
|
1. 둘 또는 그 이상의 갈등적(葛藤的)?사회문화적 체계들 속에서 다양한 가치를 내면화시킴으로써 어느 한 가치에도 만족하지 못하는 사람 2. 주변성(marginality)이란 개념에서 파생 된 주변인은 팍(R. E. Park)이 처음으로 발전시킨 용어이다. 팍은 주변인을 문화적 잡종(cultural hybrid)으로서 현재의 당면문화와 전통 속의 어느 하나에도 통합하지 않는 사람이라고 했다. 위 개념에 대해서는 쿠버(J. R. Cuber)?쉬부타니(T. Shibutani)?로즈(A. Rose) 등 여러 사회학자들의 정의가 있다. 3. 주변인은 때로는 복잡한 성격구조를 갖고 있거나,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행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주변인은 모든 사회문화적 체계로부터 소외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주어진 상황에서 옳고 틀린 것을 판단하지 못하게 되기도 한다. |
주입식 교육 注入式敎育 indoctrination
|
1. 주입적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교육 2. 이 말은 원래 중세 가톨릭 교회에서 초 개인적(超個人的)인 교의(敎義)를 누구에게나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고 주입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3. 주입식 교육에는 두 가지 입장이 있다. ⑴ 절대주의적인 입장으로 개인을 전체의 한 부분으로 보고 비과학적이며 전체주의적인 교조(敎條)를 일방적으로 학생들에게 주입함으로써 학생의 이성의 작용을 억압하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듀이(J. Dewey)를 비롯한 진보주의자(進步主義者)들은 주입식 교육을 비교육적인 것으로 판단한다. ⑵ 면밀히 계통화된 과학과 기술의 기본을 아동에게 주입시키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 소련의 교육학자 오고르드니코프(I. J. Ogorodnikov)?카운츠(G. S. Counts) 등의 집단주의(集團主義, collectivism)가 이러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 주입 |
주제통각 검사 主題統覺檢査 thematic apperception test : TAT
|
1. 그림을 보고 만드는 공상적인 이야기를 통해서 의식적 및 무의식적인 경향을 알려는 목적으로 머레이(H. A. Murray)와 모간(C. D. Morgan)에 의해서 만들어진 검사방법 2. 그 그림 속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으며, 또 어떻게 되어 그렇게 되었으며, 또 결과는 어떻게 될지를 피험자에게 이야기하게 함으로써 그 피험자의 갈등?욕구?경험?감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사람들은 그 그림 장면 속에 자기를 투사시켜서, 주인공과 자기를 동일시하기 때문에 주인공으로 하여금 자기의 동기?경향?감정을 대신해서 나타내게 한다. TAT는 20매의 그림으로 되어 있고, 남녀?어른?아이 등이 각기 따로 쓰는 그림도 있다. 보통 임상에서 이 기법을 많이 사용한다. 로오르샤하(Rohrschach) 검사보다 한층 구체적 진단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주지주의 主知主義 intellectualism
|
1. 실재(實在, reality)는 명확한 표상(表象, idea)들로써 표현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학설. 모든 지식은 순수한 이성의 기능에서부터 나온다고 믿는다. 2. 지성(知性, intellect)을 모든 판단의 기본적인 원천으로 보고 그 가치를 존중하는 사상. 고도의 추상적?개념적 조작(操作)의 능력을 인간능력 지상의 것으로 생각하고 그 가치를 존중하는 학문과 교육의 사상을 통칭하여 주지주의라고 한다. ? 지성 |
주지주의 교육 主知主義敎育
|
1. 지식의 습득을 강조하는 교육 2. 종래에는 지육(智育)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덕육(德育)?체육(體育)과 더불어 교육의 한 측면으로 생각되어 왔다. 다른 경우에는 감정과 의지, 즉 정의(情意)의 교육과 대비하여 생각되기도 한다. 3. 지육은 학교에서의 교수-학습의 중심이 되는 것이며, 그러한 지육이 교육의 다른 측면과 유기적이고 구조적으로 전개될 때에 인간교육의 내실(內實)을 기할 수 있다. 종래에 지육의 방법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교과서에 기술된 지식이나 개념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오로지 학생들이 암기나 기억을 할 수 있도록 반복 연습이 강요되어, 사고력을 기르거나 정의적인 면에 대한 고려가 무시되었다. 그 점이 주지주의 교육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
준거 準據 criterion
|
1. 어떤 사물의 특성을 판단하는 논리적(論理的) 근거 2. 즉, 어떤 사물이 어떤 준거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그것은 그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만약 X가 Y의 준거라면 X는 논리적으로 Y의 준거가 된다. 이와 같이 준거는 정의(定義, definition)에 기초를 두는 결정적인 증거(decisive evidence)인 데 비하여 징후(徵候, symptom)는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되는 비본질적인 증거이다. |
준거점수 準據點數 cut-off score
|
1. 목표지향검사(criterion-related test)에서 달성해야 할 목표를 어느 정도 성취해야 목표를 달성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는지 그 수준을 나타내는 검사점수 2. 검사결과를 상대적인 의미에서가 아니라 절대적인 의미에서 해석하는 목표지향검사는 종종 피검사자들을 목표달성 및 미달성의 2개 유목(예를 들면, 전문적인 기술자격인정시험에서의 합격 또는 불합격)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이 경우에는 우선 합격과 불합격을 결정할 수 있는 성취수준을 나타내는 준거점수(cut-off score)를 정하고 그 준거점수에 근거해 피험자들을 분류하게 된다. 3. 이때 준거점수를 어느 수준으로 정하느냐에 따라 사실상 성취수준에 이른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 흑은 성취수준 미달의 사람이 성취수준에 이른 사람으로 판정되기도 한다. 준거점수의 설정은 판정되는 개인들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준거점수를 설정하는 사람은 합격과 불합격 분류 시 생길 수 있는 오류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고려해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4. 타당한 준거점수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⑴ 내용전문가들이 검사나 문항들의 내용을 검토하여 필수적인 학습수준을 결정 ⑵ 피검사자들의 반응을 기초로 통계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검사에 의한 판정 적중률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준거점수를 모색하는 방법 5. 그러나 누구나 타당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준거점수를 결정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며 어떻게 결정되든지 어느 정도의 임의성은 항상 존재하게 된다. |
준거집단 準據集團 reference group
|
1. 한 개인이 자신의 신념?태도?가치 및 행동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준거기준으로 삼고 있는 사회집단 2. 누구나 각자의 준거집단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정체감(正體感)을 가지고는 있지만 반드시 그 집단의 성원(成員)은 아닐 수도 있으며, 또 그렇게 되기를 원하지 않을 수도 있다. 3. 적극적 준거집단은 준거집단과 같은 의미이며, 소극적 준거집단은 거부나 반대의 준거기준으로 삼는 집단을 말한다. |
준거타당도 準據妥當度 criterion-related validity
|
1. 한 검사가 주어진 기준변인과의 관계 또는 기준변인을 예언하는 정도 2. 준거타당도는 예언타당도와 공인타당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3. 공통점 : 둘 다 준거변인과의 관계라는 점 4. 기준변인 : 예언타당도에서는 기준변인이 미래에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서는 현재에 있다. 즉, 예언타당도의 경우에는 검사를 실시한 후 얼마간 기간이 지난 후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서는 검사실시와 동시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따지게 된다. 따라서 예언타당도에 있어서는 검사와 기준변인 간의 시간적 간격이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는 이것이 없다. 5. 예언타당도는 성공적인 직업을 예언하기 위하여 흥미검사를 사용한다든가 또는 자동차사고를 낼 가능성이 많은 사람을 미리 예언한다든가와 같이 미래의 어떤 행동을 예언하는 데 관심이 집중된다. 반면에 공인타당도에 있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드는 개인용 지능검사와 간단한 집단용 지능검사와의 관계를 알아서 기준변인인 개인용 지능검사 대신에 집단용 지능검사를 사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6. 이와 같이 예언타당도는 검사로써 미래의 기준변인을 예언하는 데 관심이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는 현재의 기준변인을 한 검사로써 대신하는 데 관심이 집중된다. ? 예언타당도, 공인타당도 |
중개변인 仲介變人 intervening variable
|
1. 환경적인 자극에 대한 유기체 반응의 다양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가설적인 변인 2. 어떤 중개변인은 대뇌상태(大腦狀態)의 변화에 의해서 기억현상을 설명하는 경우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들의 존재가 확실한 것으로 가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중개변인은 신체적인 구인(構因)이라기보다는 적절한 검사와 기법에 의해서 정의되거나 측정되는 심리적인 과정이다. ? 변인 |
중앙치 中央置 median
|
1. 집중경향치의 하나로서 한 집단의 점수분포에서 전체 사례를 상위반과 하위반, 즉 상하 50%로 나누는 점 2. 이 중앙치를 중심으로 전체 사례의 반이 이 점의 상위에, 나머지 반이 이 점의 하위에 있게 된다. 예를 들어 12, 13, 16, 19, 20과 같이 5개의 사례가 순서로 나열되어있는 경우에는 이것이 홀수의 사례수를 갖고 있으므로, 그 중앙에 위치한 16이 중앙치가 된다. 이 때에 22라는 사례가 하나 더 있는 짝수의 사례수를 가진 경우에는 (16+19)/2, 즉 17.5가 중앙치가 된다. 일정한 급간으로 묶은 자료에서는 중앙치의 정의에 의하여 유도된 다음 계산공식에 의해서 계산된다. : 중앙치 L : 중앙치가 포함되는 급간의 정확하한계(正確下限界) F : L까지의 누가빈도(累加頻度) : 중앙치를 포함하는 급간의 빈도 N : 총 사례 수 i : 급간의 크기 3. 중앙치는 그 계산이 비교적 간편하고 해석이 용이하며 극단한 점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표집에 따른 변화가 비교적 크며 다른 통계치와 관련되어 해석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극단한 점수가 있거나 점수분포의 양극단이 개방급간(開放級間) 또는 점수분포의 어느 쪽 일단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중앙치의 사용이 적절한 경우가 된다. ? 집중경향 |
중층구조 重層構造
|
1. 학교조직(學校組織)이 단층구조(單層構造)가 아닌 여러 개의 계층을 가지고 있다는 이론 2. 학교조직 구조의 특징에 관한 논쟁은 일본에서 오래 계속되었다. 특히 학교 중층구조론은 기업(企業)의 경영조직 이론을 학교경영에 도입하여 학교경영을 합리화하려는 이론으로 학교의 계층을 경영층?관리층?작업층으로 나누는 것과 같은 중층구조로 보고 직제(職制)를 강화하려는 데 그 뜻이 있다. 3. 이 학교계층론에 의하면 교장?교감은 경영층에 속하고, 각종의 주임교사는 관리층에 속하며, 보통의 교사는 작업층에 속하게 된다. 이렇게 학교조직을 계층화함으로써 조직의 능률적 통솔은 물론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4. 한편 학교조직이 교장?교감과 교사라는 관계 속에서 학교경영을 수행함으로써 그 조직적 특징은 단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는 입장이 있다. 이는 학교조직이 수평조직(水平組織, horizontal organization)의 특색을 갖는다고 보는 입장이다. 학교의 규모가 적고 교사의 자율성이 높은 학교조직에서는 단층구조론의 입장이 강하다. 학교 중층구조론에도 문제는 없지 않다. 교육은 기본적으로 교사의 자율성에 의하며 이루어진다. 그런데 학교의 계층을 강화함으로써 교사의 자율성이 제한당하기 쉽다. 계층에 따른 업무의 분화도 교육과정관리라는 면에서 볼 때 분명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점이 있다. |
중핵 교육과정 中核敎育課程 core curriculum
|
1. 선택과정에 대한 필수과정, 분과(分科) 교육과정에 대한 통합(統合) 교육과정의 두 가지 뜻을 가진 교육과정 2. 중핵 교육과정에서의 중핵(core)이란 사물의 중심을 뜻한다. 따라서 중심학습(core course)이 있는 교육과정의 전체 계획을 말한다. 그 구성면에서 보면, 종합적인 중심과정과 분화된 종래의 교과에 의해 형성되는 주변과정이 동심원적(同心圓的)으로 결합되어 전체구조를 이루게 된다. 3. 중핵 교육과정의 목표 ⑴ 일정한 중심에 의해 교육내용의 융합을 도모 ⑵ 융합된 교육내용에 의해 개인의 인격적인 통일을 의도 ⑶ 통일된 인격체로서 개인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회를 실현 4. 따라서 중핵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구성에서 교육내용의 중심통합, 개인의 인격적인 통합이라는 요구를 기본으로 생각한다. |
지각 知覺 perception
|
1. 순수한 의미로는 외계(外界)에 존재하는 어떤 대상물(object)이 감각에 나타나는 것 2. 현대의 심리학과 인식론에서는 일상적인 감각적 대상이 어떤 자극에 의해서 포착되는 것을 뜻한다. 3. 지각은 대상물이 개별적으로 감각에 나타나는 것을 뜻하는 감각작용(sensation)과 구별되며, 또한 상상(想像)?추리(推理, resoning) 등의 관념적(ideational) 작용과도 구별된다. 4. 감각작용이 일종의 생리적 현상이라면 지각은 심리적 현상이다. 관념적 과정(ideational process)은 일차적으로 형식(form)에 관한 것이지만 지각의 과정은 일차적으로 감각적 내용에 관한 것이다. |
지능 知能 intelligence
|
1. 문제해결 및 인지적 반응을 나타내는 개체의 총체적 능력 2. 지능이란 용어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나, 지능을 연구하는 학자들 간에도 지능의 의미와 구조에 대하여 완전히 견해의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지능을 조작적으로 「지능검사에 의해 측정된 득점」으로 정의하는 학자도 있으나 지능의 정의방법이나 입장과 측정 내용과 방법은 실로 다양하다. 3. 지능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나 이를 대별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⑴ 개인의 생활 내지 전체 환경에 대한 일반적인 정신적 적응능력으로서의 지능의 적응적 성격을 강조하는 입장 ⑵ 개인의 학습능력으로서 추상적 사고력을 강조하는 입장 ⑶ 지능이란 추상을 학습하여 구체적 사실과 관련시키는 능력이라는 입장 ⑷ 이들을 종합적으로 포괄해서 지능은 목적을 향해 행동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환경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개인의 총체적 능력이라고 보는 입장 4. 따라서 지능은 단일의 순수능력으로 생각되기 쉬우나 실제는 다양한 능력의 복합체로 생각되며, 지능검사가 측정하는 능력의 내용도 다양하다. 5. 이와 같이 지능의 구성요소와 조직과 구조를 밝히려는 입장과는 달리, 근자에는 적응과정이나 정보처리 과정과 같이 지적(知的)인 과정 그 자체의 본질로서 지능을 정의하고 접근하려는 시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지능요인, 지능구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