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적 가치 情意的價値 affective value
|
1. 정의적 영역에 관련된 가치 2. 정의를 인지(認知)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볼 때, 정의적 가치는 지적(知的) 가치에 대비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정의적 영역에 속하는 태도?기질?정서?가치관?동기 등에 관련되는 가치를 말한다. 3.정의적 가치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은, ⑴ 감각적으로 쾌락을 얻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정서적 가치 ⑵ 아름다움을 경험할 때 경험되는 심미적(審美的) 가치 ⑶ 의(義)와 선(善)에 대한 관념에 따라서 경험하게 되는 도덕적 가치 등이 있다. ? 정의 |
정의적 수업목표 情意的授業目標 affective objectives
|
1. 수업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정의적 영역에서의 교육목표.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태도, 흥미, 정서, 의지 및 가치관 등의 형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2. 그러나 인간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 자체가 매우 어렵고 따라서 별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정의적 영역에 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지식은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3. 그러므로 인지적 수업목표의 설정 및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나 과정 등에 대하여 시사 받을 수 있는 연구의 결과들은 상당히 많으나 정의적 수업목표의 종류나 내용, 그 목표들을 성취하기 위한 방법론을 시사 받을 만한 연구는 매우 희귀한 편이다. 4. 현재까지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 분류와 관련되어 수행된 연구 중에서 유일하게 의미 있는 연구로 공인되고 있는 것이 크라트홀(Krathwohl)의 연구이다. 5. 정의적 영역의 교육목표를 그는 정의적 영역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 것이 아니라 태도, 흥미, 가치 등 정의적 특성들을 개인이 내면화하는 수준이나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기는 식으로 정의적 교육(수업) 목표를 분류하였다. 그의 분류는 우선 ① 감수(感受) ② 반응(反應) ③ 가치화(價値化) ④ 조직화(組織化) ⑤ 인격화(人格化)의 다섯 가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감수는 다시 ① 감지(感知) ② 자진감수 ③ 선택적 주의 집중의 3단계로, 반응은 ① 묵종반응 ② 자진반응 ③ 반응후의 만족의 3단계로, 가치화는 ① 가치수용 ② 가치선택 ③ 가치 신념화의 3단계로, 그리고 조직화는 ① 가치의 개념화와 ② 가치체계(가치관)의 조직 단계로, 마지막으로 인격화는 ① 일반화된 행동체계와 ② 인격화의 2단계로 분류되어 그의 분류는 모두 13개의세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는 이들 각각의 단계가 바로 정의적 교육(또는 수업)의 목표가 된다고 보고 있다. |
정의적 영역 情意的領域 affective domain
|
1. 인간의 흥미?태도?감상?가치관?감정?신념 등에 관련되는 교육목표의 영역 2. 이 영역은 어떤 일에 단순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에서부터 복잡하면서도 내면적으로 일관성 있는 인격?양심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 걸쳐 있다. 3. 블룸(B. S. Bloom) 등은 정서적 영역이 목표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⑴.1.0 감수(感受, receiving) ; 학습자가 현상과 자극을 받아들이려고 하거나 또는 그것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관심을 두는 것을 말하며 감지(感知)?자진감수(自進感受)?주의집중이 이에 속한다. ⑵.2.0 반응(反應, responding) ; 단순히 주의를 기울이는 것 이상의 반응을 말하며 묵종반응(?從反應)?자진반응(自進反應)?만족이 이에 속한다. ⑶.3.0 가치화(價値化, valuing) ; 통상적인 의미의 가치와 같은 뜻으로 쓰인다 즉, 한 사물?현상, 또는 행동이 가치가 있다는 의미로 쓰이며, 가치수용(價値受容)?가치채택?확신이 이에 속한다. ⑷.4.0 조직화(組織化, organization) ; 학습자가 여러 가치를 내면화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가치가 관련되는 사태에 당면하게 될 때 여러 가치를 하나의 가치로 체계화?조직화하고 상호관계를 살피며 지배적 가치를 정하는 것을 말하며, 가치의 개념화, 가치체계의 조직이 이에 속한다. ⑸.5.0 가치 또는 가치복합에 의한 인격화(characterization by a value or value complex) ; 가치가 내면화되어 일관적으로 행동하게 하는 영역이며, 일반화된 행동태세와 인격화가 이에 속한다. ? 지적 영역, 교육목표 분류학 |
정적 강화 正的强化 positive reinforcement
|
1. 어떤 반응 또는 행동에 대하여 그 행동의 빈도나 강도를 증가시키는 자극을 제공하는 것 2. 정적 강화는 정적 자극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정적 자극이란 어떤 행동에 대하여 후속하는 자극이 선행의 행동을 증강시키게 되는 것을 가리킨다. 3. 칭찬이나 보수와 같은 것이 흔히 정적 자극이 되나, 어떤 자극이 정적 자극이 되느냐 하는 것은 개인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서 각기 다르기 때문에 경험적으로만 알 수 있다. ?부적 강화 |
정적 상관 正的相關 positive correlation
|
1. 두 변인이 동시적으로 증가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 2. 한 변인의 값이 커질 때 다른 변인의 값도 따라서 커지면 이 관계는 「+」의 정적인 상관계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학교학습 사태에서 지능과 학교성적은 대개 r=+.50의 값을 갖게 되는데 이는 지능이 높으면 학교성적도 높아지는 정적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두 변인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산포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부적상관 |
정치활동 定置活動 placement service
|
1. 취업(就業)?진학?진급?선택과목의 선정, 특별활동의 결정 등과 같이 개인 또는 집단이 어떤 선택적 결정을 내리게 될 때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고 또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이나 조정과 협조를 하는 활동 2. 정치활동을 일반교사나 상담실의 카운슬러에 의해서 이루어지기도 하나 미국의 대학에서는 이를 위한 정치(定置) 센터(placement center) 같은 것을 설치하여 이 문제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도록 하고 있다. |
제강절목 製鋼節目
|
1. 조선조 영조(英祖) 18(1742)년에 제정한 성균관의 학생 정원에 관한 규정 2. 내용 ⑴ 거재(居齋)유생의 정원은 기재(寄齋) 외에 100인으로 하고, 돌아가면서 기재하되 늘 100인에 차게 하고 50점을 기준으로 함 ⑵ 기정한 100인 외에는 1인이라도 초과하지 못함 ⑶ 결원 보충에 인원수는 제한이 있고, 응입자가 많을 때는 방(榜 : 과거연도)으로 차례를 정하고 방차(榜次)가 같으면 연치로 차례를 정하여 허입(許入)함 ⑷ 장의(掌議) 2인과 색장(色掌) 4인도 또한 정식대로 100인 이외에 따로 거재하게 함 ⑸ 헌작례(獻酌禮)와 춘추 석채(釋菜)와 청재(淸齋)에 들 때는 생원?진사의 인원수는 제한이 없다. |
제왕교육 帝王敎育
|
1. 중국 고대 선진(先秦) 시대에 제왕, 또는 천하의 지배자가 될 유덕한 사람을 기르기 위해 베풀던 교육 2. 중국의 주대(周代)의 학제를 보면 그 교육대상이 순전히 왕실 일가의 태자?세자에 국한하고, 장래 천하의 지배자가 될 준덕(俊德)을 밝혀 영구히 천명(天命)을 받드는 데에 그 주안점을 두었었다. 3. 따라서 이 시대의 교육이 국가통일의 구현자인 제왕을 위한 것이 됨으로써 이 시기의 신민(臣民)을 위한 교육도 실은 제왕을 위한 교육의 한 조건에 지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
제자백가 諸子百家
|
1. 중국의 춘추 전국시대에 배출한 맹자(孟子)?묵자(墨子)?한비자(韓非子)?노자(老子) 장자(莊子) 등 여러 사상가와 그들로 연유한 중국 철학사상(哲學史上) 제종(諸宗)의 학파를 총괄하는 명칭 2.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서는 음양(陰陽)?유(儒)?묵(墨) 명(名) 법(法)?도(道)의 육가(六家)로 분류하고, 반고(班固)는 한서(漢書)의 예문지(藝文志)에서 유?도?음양?법?명?묵?종횡(縱橫)?잡(雜)?농(農)?소설가(小說家)의 십가(十家)로 분류하였다. 3. 이 제자백가의 학문이 우리나라에 전래된 시원은 확실치 않으나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에서 788(원성왕 4)년 태학(太學)에 특히 독서출신과(讀書出身科)란 과거 비슷한 제도를 설치하고 성적을 3등으로 고사하여 인재를 등용하였는데, 만일 오경(五經)-삼사(三史)?제자백가의 저서에 널리 통한자가 있으면 순서를 뛰어 등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로써 보면 제자백가의 서(書)가 788년 당시의 신라에서도 상당히 널리 읽혀졌음을 알 수 있다 |
제트 이론 ―理論 theory Z
|
1. 우치(W. G. Ouchi)가 미국과 일본의 기업을 비교 연구하여 규명한 경영 방식 2. 맥그리거(McGregor)는 경영자들이 인간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기본 가정의 차이에 근거해서 경영의 방식을 「X이론」경영과 「Y이론」경영으로 분류하였다. 이것을 참고로 해서 우치는 일본 기업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미국 기업조직을 Z형 조직이라 명명했다. 결국 Z이론은 Z형 조직에서의 경영 방식을 말한다. 3. 우치가 규명한 미국의 기업과 일본의 기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⑴ 일본의 기업은 조직원의 종신 고용을 관행으로 하는데, 미국의 기업은 단기간의 고용이 일반적이다. 일본의 기업에서는 조직원에 대한 평가를 상당한 시간을 근무한 후에 실시하고 승진 역시 느리게 시키는데, 미국 기업에서는 평가를 조기에 할 뿐만 아니라, 승진의 속도도 빠르다. ⑵ 일본 기업에서는 조직원들의 경력이 전문화가 덜 되어 있는데 비해, 미국 기업에서는 이들의 경력이 전문화 되어 있다. ⑶ 조직원에 대한 통제 방법에 있어서 일본 기업은 간접적인데, 미국의 기업은 가시적인 결과에 의한 통제 방법을 사용한다. ⑷ 일본 기업에서는 의사 결정이 집단적 참여적으로 이루어지고 이것에 대한 책임도 집단적으로 지는데, 미국 기업에서는 의사 결정이 개인적으로 이루어지고 책임도 개인이 진다. ⑸ 일본 기업은 조직원들의 복지에 광범위한 관심을 보이는데, 미국 기업은 제한적인 관심밖에 보이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⑹ 일본 기업과 같은 특징이 있는 조직은 J형 조직 그리고 미국 기업과 같은 특징을 가진 조직은 A형 조직으로 불리운다. 4. Z형 조직은 조직원의 장기간의 고용, 승진 속도의 완만함, 참여적 의사결정, 집단적 결정에 대한 개인적 책임 부담, 조직원의 복지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강조되고 함양되는 가치들은 각각 조직에 대한 헌신, 경력의 존중, 협동과 팀웍, 조직원 상호간의 신뢰와 집단 충성심, 그리고 평등주의이다. 미국과 일본의 기업간의 경영 방식의 차이는 미국과 일본의 가치와 문화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5. 결국 Z이론에서는 조직 문화와 철학이 핵심적인 요인이 된다. Z이론에서의 문화는 노동자의 삶을 총체적인 것으로 가정한다. 조직원들이 신뢰, 친밀, 섬세함, 팀웍, 지원, 평등주의 등과 같은 가치를 공유하는 문화이다. 미국의 경영자들은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테크놀로지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런데 Z이론은 이러한 미국 경영자들의 관심의 방향을 테크놀로지로부터 기업 속에서의 인간 관계 그리고 이것에 영향을 주는 기업 문화로 바꾸는 데 영향을 주었다. |
조건반응 條件反應 conditioned response
|
고전적 조건화에서 조건자극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도록 학습 또는 습득된 반응 |
조건자극 條件刺戟 conditioned stimulus
|
1. 고전적 조건화에서 중립적 자극이 무조건적 자극과 연합하여 조건반응을 유발할 수 있게 될 때 그 중립적 자극을 가리키는 말. 2. 무조건적 자극이 생득적(生得的)으로 무조건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임에 반해 조건자극은 후천적으로 조건화에 의해서 어떤 반응을 유발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조건진술 條件陳述 conditional statement
|
1. "만약 ~이면 ~이다"의 형태로 진술된 문장 2. 이 문장이 진위(眞僞)로 판별될 성질의 것일 때, 「조건명제」(條件命題, conditional proposition) 혹은 가언적 명제(假言的命題, hypothetical proposition)라고 한다. ? 가언적 명제 |
조건형성 條件形成 conditioning
|
1. 개념적 또는 물리적 수준에서, 행동을 통제하고 행동 변화의 자료들을 기술하는 하나의 방법 2. 조건형성은 고전적 조건형성과 도구적 조건 형성으로 대별된다. 3. 고전적 조건형성은 두 자극을 밀접한 시간간격을 두고 제시하는 실험절차이다. 두 자극 중 첫째는 반사적 성질을 띠고 있어 이미 어떤 반응과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그 반응과 관계가 없는 자극이다. 이 두 자극을 여러 번 반복 짝지어 제시하면, 둘째 자극은 첫째 자극이 일으키는 반응과 유사한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을 획득하게 된다. 5. 이러한 절차에서 첫째 자극을 무조건 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S)이라고 하고, 둘째 자극을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 CS)라고 한다. 그리고 원래의 반응을 무조건 반사 또는 반응이라고 하며, 새로 획득된 반응을 조건반사 또는 반응이라고 한다. 이러한 절차를 파블로프식 조건형성, S-형 조건형성, 또는 수동 조건형성이라고도 한다. 6. 도구적 조건형성은 어떤 자극이 어떤 반응을 유발함으로써 강화자극을 초래했을 때, 또는 혐오자극을 방지했을 때 그 자극이 그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지는 현상 또는 이러한 현상을 실험하는 절차를 말한다. 7. 강화자극을 유발하거나 혐오자극을 방지하는 반응을 조건반응이라고 하며, 조건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조건자극이라고 한다. 조건반응에 의하여 유발된 자극을 무조건 자극 또는 강화라고 한다. |
조교제도 助敎制度 monitorial system
|
1. 대집단을 가르치기 위해서 고안된 교수방법의 하나 2. 주로 한 교실에 다수의 학생을 한 교사가 책임을 맡고, 고급학년의 학생이나 참가자를 먼저 교육하여 그들로 하여금 분단을 맡아 가르치게 한다. 각 조교들은 10 명 정도의 학생을 책임 맡으며 학생들의 집단은 대체로 학습의 성취능력에 따라 조직된다. 이 제도는 19세기에 영국의 교육학자 랭카스터(J. Lancester)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