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원칙
|
1. 교육목표가 시사하는 것에 따르면 그 행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2. 예컨대 「수영기능의 습득」이 교육목표라고 하면 수영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협동심」을 목표로 내걸고 「경쟁」의 경험을 시키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된다. |
기획예산 제도
|
1. 비용과 전략적 목표의 결과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결부시키고, 전략적 목표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기간별로 배치하고, 기간별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재정요소로 전환시키는 예산제도 2. 거시적 경제 분석에 주목적이 있고, 세부적인 계획과 수행보다는 산출을 강조하고, 장기계획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3. 1961년 미국 맥나마라 국방장관에 의해 도입되고 1965년 존슨 대통령이 정부기관에 채택하도록 하였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
길드체제
|
1. 중세 유럽에서 종교적 혹은 직업적 이해관계에 의해 상호부조와 이익의 수호를 위해 형성된 조직 2. 중세 유럽사회의 길드 체제는 학문적 영역에도 파급되어 교수와 학생이 하나의 길드 체제를 이루게 되었고, 이것이 중세 대학의 원시적 형태를 이루었다. |
김나지움
|
1. 독일의 인문계 중등 교육기관 2. 기초학교를 마친 다음 실과학교 및 주요학교 등으로 전입하는 학생과 김나지움으로 진학하는 학생이 나눠진다. 3. 상위 25% 학생이 김나지움에 진학하며, 졸업 수 대학으로 진학한다. 4. 수업연한 : 9년 |
나선형 교육과정 螺旋形敎育課程 spiral curriculu
|
1.「지식의 구조」를 가르치기 위한 교육과정의 조직 형태 2. 지식의 구조와 관련된 한 가지 중요한 가정(假定)은 “어떤 지식이든지 그 성격에 충실한 형태로 어떤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다. 3. 나선형 교육과정 ⑴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의 구조」는 교육의 수준에 관계없이 그 성격에 있어서 동일하며, 이 동일한 성격의 내용이 학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더 폭넓게, 또 깊이 있게 가르쳐져야 한다. ⑵ 이와 같이 조직된 교육과정이 마치 달팽이 껍질 모양[螺旋形]과 같다고 하여 나선형 교육과정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교육과정의 조직 원칙의 하나인 「계열성」(系列性)의 원칙을 특별한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4. 동일한 교육내용을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가르치는 방법의 하나로서 「표현 양식」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기도 한다. ?지식의 구조 표현 양식 |
낙인이론 烙印理論 labeling theory
|
1. 일탈(逸脫) 혹은 범죄행동이 행위자의 심리적 성향이나 환경적 조건 때문에 객관적으로 발생된다기보다 특정행동에 대한 사회문화적 평가와 소외의 결과 규정된다고 보는 이론 2. 종래의 일탈연구가 일탈행동이나 일탈행위자를 판정하는 객관적이고도 보편적인 기준을 전제하고 있음을 비판 3. 「일탈」개념이 한 사회의 문화적 구성물이며 따라서 「일탈행동」을 규정하는 사회적 과정 자체를 문제시하는 데서 일탈연구가 출발해야 한다고 주장 ⑴ 종래의 일탈연구 : “사람들이 왜 일탈행동을 하게 되는가”를 밝히기 위해 일탈행동의 심리적 동기, 그 동기를 유발하는 환경적 요인, 일탈행위자의 사회적 지위 등에 주된 관심 ⑵ 낙인이론 : “어떤 사람의 어떤 행동이 왜 「일탈」로 규정되는가”를 밝히기 위해 개인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반응, 사회적 낙인이 행위자의 정체(正體)형성에 미치는 영향, 일탈의 증폭과정 등에 관심 4. 의의 : 학생들의 생활과 진로를 지도하는 과정에서 일부집단에게 부당한 낙인을 부여하는 경향이 있음이 낙인이론에 입각한 최근의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
남근기 男根期 phallic stage
|
1. 프로이드(S. Freud)의 정신분석 이론에서 에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복합 등이 발달되는 성격발달의 세 번째의 단계이다. 2. 이 시기에 남근이나 음핵(陰核)에 관련된 관심과 활동을 통해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습득하며 특히 이성의 부모로부터 관심과 인정을 받기를 원하고 또는 동성과 부모와 동일시함으로써 독특한 성의 역할을 학습하게 된다. |
낭만주의 浪漫主義 romanticism
|
1. 주지주의(主知主義), 합리주의, 권위주의, 전통주의 등의 형식성과, 이성(理性)의 기능을 절대시하던 서양의 정신적 전통에 반항하여 18세기 후반에서부터 19세기의 중반에 이르기까지 서양 사회에 전개되었던 사조 2. 문예사조 및 사회적?정치적?도덕적 개혁의 정신까지를 포함하고 있던 근래의 유럽 사회의 정신적 운동 3. 인간의 감성(感性)을 중시하면서 성선설적(性善說的)인 인간관을 바탕으로 하여 프랑스의 사상가 루소(J.J. Rousseau)가 “자연으로 돌아가라”라고 외침으로써 낭만주의는 그 본격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 낭만주의는 영국?프랑스?독일 등의 사회에서 이미 전개되었던 반고전주의(反古典主義)의 문예사조와 시민혁명으로 인하여 고조된 자유주의의 사회사상과 슈투름-운트-드랑(Sturm und Drang)의 격렬한 분위기(1770~80)로 인한 감성주의 등의 영향으로 나타난 것이다. 4. 낭만주의는 일반적으로 개성을 중시하고 감정 혹은 정서의 표현에 중요성을 부여하면서 이성 우위의 합리주의 혹은 주지주의에 도전하는 것을 특색으로 하며, 형식과 관습에서의 탈피를 주장하고 인간을 제도적으로, 기계적으로 구속하는 것에 반항하고 있다. 5. 교육사조로서의 낭만주의 : 주지주의의 편협성에 반대하고 인간의 개성신장 및 지(知)?덕(德)?체(體)의 조화적 발달을 강조 (인간성 강조) |
내담자중심 치료 來談者中心治療 client-centered therapy
|
1. 로저스(C. Rogers)에 의해서 발전된 상담과 심리치료의 이론 및 방법 2. 비지시적 상담 : 진단하거나 설득하는 것과 같은 의도적 통제를 배격하며, 흔히 비지시적(非指示的)인 상담과 심리치료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3. 목적 : 내담자에게 일치(一致)?공감(共感)?수용(受容)의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내담자 자신이 잠재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통찰(洞察)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4. 의미 : 카운슬러, 또는 정신치료자의 역할은 내담자의 태도?생각?행위의 부정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내담자가 무조건적인 존경을 받을 만하다는 점을 진심으로 느끼고 이 느낌을 전달하며, 내담자의 사고?감정?행위를 분명하게 이해하는 것 5. 영향 ⑴ 진로지도, 삶의 갈등 문제의 해결, 신경증의 치료, 정신병의 치료 등에 광범하게 적용 ⑵ 감수성(感受性) 훈련의 이론적 기초가 되고 있으며, 상담과 정신치료 영역 이외에도 산업체의 인사관리, 학교교육 등에 광범한 영향 ⑶ 특히 미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한국의 상담과 정신치료 분야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내면화 內面化 internalization
|
?어떤 개인이 태도?가치?사고?지식 등을 자신의 것으로 수용하는 것 |
내성 內省 introspection
|
1. 자신의 정신적-심리적 상태나 기능을 스스로 관찰하는 일 2. 현대적 용어로는 「반성」(反省, reflection) 혹은 「내적 감각」(inner sense)이라고도 한다. 3. 구분 ⑴ 의식의 상태나 과정 그 자체를 발생 당시에 성찰하는 것 ⑵ 과거의 것을 회상과 기억에 의해서 성찰하는 것 |
내용요소제시이론 內容要素提示理論 component display theory
|
1. 교수목표들을 내용차원과 수행차원의 분류체계에 따라서 범주화하고, 각 목표유형들은 일차제시형과 이차제시형의 독특한 결합방식에 따라 미시적 교수처방을 해 주어야 한다는 메릴(Merill, M.D.)의 교수설계이론 2. 세 가지의 주요한 이론적 관점(즉, 행동주의적, 인지적, 인간주의적)에서 다루고 있는 학습과 교수에 관한 모든 지식을 통합하고 있으며, 인지적 영역만을 다루고 있고, 특히 인지적 영역 내에서도 미시적 수준(예컨대, 단일한 개념이나 원리와 같은 단일한 아이디어들을 가르치는 것과 관련된 교수의 국면)만을 다루고 있다. 3. 내용요소제시이론의 구성원리 : 수행-내용 분류체계, 제시형, 일관성 ⑴ 수행-내용분류체계 ① 내용의 유형을 사실, 개념, 절차, 원리 등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그 내용에 대한 기대되는 수행 수준을 기억하기, 활용하기, 발견하기의 세 가지로 교수목표를 분류한 것을 말한다. ② 하나의 목표는 개념을 기억하거나(예컨대, 정의를 암기하기), 혹은 하나의 개념을 활용하거나(예컨대, 어떤 내용에 관한 새로운 예를 분류하기), 혹은 하나의 개념을 발견하도록(예컨대, 어떤 현상을 범주화하기 위한 방법을 발견하기) 요구할 수 있다. ③ 이러한 분류는 가네(Gagne, R.)의 인지적 영역에 대한 분류와 매우 유사하다. ⑵ 제시형 : 일차제시형과 이차제시형 ① 일차제시형 :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이고 최소한의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말하고, 이것은 일반성과 사례, 설명식과 탐구식이라는 두 차원의 행렬표에 따라서 네 가지의 제시형태로 구성된다. ② 이차제시형 : 일차제시형의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정보의 제시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맥락, 선수학습요소, 암기법, 의미정교화의 도움, 표상법, 피드백 등으로 구성된다. ⑶ 일관성 ① 내용요소제시이론의 기본구성요소인 수행-내용분류체계와 제시형을 연결시켜 주는 것 ② 여기에는 수행 차원과 일차제시형의 일관성 및 내용 차원과 일차제시형의 일관성이 포함된다. 4. 수준의 다양성 : 각각의 모형들(수행-내용 분류체계에 기초하여 처방되는 모형들)은 다양한 수준들(즉, 수업에서 제공되는 처방의 수준들)을 지니고 있다. 쉬운 목표를 위해서는 비교적 간단한 유형이 제시되는 반면, 학생들의 능력이나 경험과 관련된 비교적 어려운 목표들을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모형들의 다양한 유형이 활용될 수 있다. |
내재적 가치 內在的價値 inherent value
|
1. 대상의 내재적 속성, 즉 구조적(構造的) 또는 핵심적 특징(特徵)이 가지는 가치 2. 예 : 우리가 예술작품이나 자연경관(自然景觀)을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은 그 대상의 내재적 속성인 「아름다움」을 그 대상의 내재적 가치라고 부른다. 3. 우리는 내재적 가치를 가진 대상을 접하거나 이해하거나 실천하는 데에서 만족을 느끼게 된다. 4. 참고 : 가치, 본질적 가치, 수단적 가치 |
내재적 교육과정 內在的敎育課程 internal curriculum
|
1. 학교 안에, 또는 교실 안에 내재되어 깔려 있는 사회?심리적인 분위기를 의미한다. 2. 학습자의 행동의 변화에 영향은 끼치지만, 교사와 학습자 자신이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전에 처방하거나 통제하기가 지극히 어렵다. 3. 이와 같은 분위기와의 장기간에 걸친 상호작용 과정은 학습자의 행동, 특히 정의적(情意的)인 특성의 변화에 강력하고도 지속적인 힘을 발휘하므로 「교육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4. 참고 : 잠재적 교육과정, 외재적 교육과정 |
내재적 행동 內在的行動 covert behavior
|
1.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관찰하기 어려우며, 인간의 내부에 내재해 있을 것으로 추정하게 되는 행동 2. 예 : 상상(想像)?사고?태도?가치관 등 3. 학교교육에서 추구하는 목표 중에는 이런 내재적 행동에 관련된 것들이 많다. 4.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으므로, 심리측정법 등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밖에 없다. 5. 참고 : 외현적 행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