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시된 교육과정 明示―敎育課程 manifested curriculum
|
1. 교육목적의 달성을 위해 계획되고 설계된 일련의 경험이나 과정, 또는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학교 교육과정 2. 명시된 교육과정은 계획되고 설계된 교육과정이라는 의미 이외에도 구조화된, 공식적, 외현적, 가시적, 외적, 조직화된, 기대된, 형식적 교육과정이라는 의미도 지닌다. 3.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서는 교육이란 이름으로 계획되고 의도되는 거의 모든 활동과 그 결과들이 포함된다. 의도된 교육목적, 의도된 교육목적을 가장 효율적으로 성취할 것이라는 기대 하에 계획적으로 선정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평가가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며 이들을 명시적으로 구체화한 모든 문서와 자료들이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다. 4. 국가 수준에서 계획되고 설계되는 각종 교육과정 문서나 교과서, 시?도?군 수준에서 의도되고 계획되는 온갖 교육자료, 학교에서 계획한 모든 종류의 교육 계획 및 교육과정 계획서, 그리고 교사들의 수업 계획서나 학습지도안이 모두 명시된 교육과정 속에 포함된다. 5. 명시된 교육과정의 의미는 또한 명시된 교육과정과 대비되는 다른 종류의 교육과정, 예컨대 잠재적(潛在的) 교육과정이나 영(零) 교육과정의 의미와 비교됨으로써 보다 명료화될 수 있다. ⑴ 잭슨(Jackson)에 의하여 처음으로 사용된 잠재적 교육과정이란 용어는 의도되지 않은, 계획되지 않은, 숨은, 비구조적인, 내현적인, 비가시적인, 비조직적인, 기대되지 않은, 비형식적인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명시적 교육과정과 완전히 반대되는 개념이다. ⑵ 간단히 말해서 학교나 학급에서 의도되거나 계획되지 않았는데도 아동들에게서 이루어진 모든 종류의 학습 경험을 의미한다. ⑶ 영(零) 교육과정 : 아이즈너(Eisner)에 의하면 학교에서 의도적으로, 그리고 계획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학습 경험을 의미한다. 영 교육과정은 의도적, 계획적이라는 의미에서는 명시적 교육과정과 동일하다. 그러나 그 내용이 교육과정 문서에 명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명시적 교육과정과 구별된다. |
명시적 목표 明示的目標 explicit objectives
|
1. 진술된 교육목표가 학생이 학습 후 나타내어야 할 성과를 명백하게 관찰할 수 있는 행동으로 되어 있는 목표. 2. 교육활동에 관련되어 있는 교사?학생?학부모?장학사 등이 누구나 서로 합의할 수 있게 구체적으로 목표를 진술했을 때 명시적 목표라 한다. 3. 명시적 목표의 반대개념을 암시적(暗示的, implicit) 목표라 한다. 암시적 목표는 의사소통에 방해를 주는 단점은 있으나 여러 가지 행동을 포괄하는 이점이 있다. 4. 소단원(小單元)의 수업계획에서는 명시적 목표의 진술이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
명제 命題 proposition
|
1. 문장이 지시하는 대상 혹은 문장을 의미 2. 명제는 일반적으로는 문장과 거의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엄밀하게 말하면 문장이 나타내는 의미를 가리킨다. 3. 명제는 판단을 언어로 표현한 것이므로 그것은 반드시 진리치(眞理値, truth-value)를 갖는다. 그러나 모든 문장이 다 명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4. 명령문이나 감탄문 등은 비록 문장이긴 하지만, 진리치가 없으므로 명제를 나타내지는 않는다.?명제함수, 명제계산 |
명제적 지식 命題的知識 propositional knowledge
|
1. 언어나 기호로 표현될 수 있는 지식 2. 방법적 지식(方法的知識, procedural knowledge)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3. 보통 「지식」이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방법적 지식 |
모의환경 模擬環境 simulated environment
|
1. 언어나 기호로 표현될 수 있는 지식 2. 방법적 지식(方法的知識, procedural knowledge)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3. 보통 「지식」이라고 하면 이것을 가리킨다.?방법적 지식 모의환경 模擬環境 simulated environment 1. 모의실험을 할 수 있도록 주위환경을 실제와 같은 형태로 꾸며놓은 상태 2. 모의환경은 모의장치(simulator)로 구성되어 있다. 모의장치에는 인간공학 연구용?기계특성 연구용?장치특성 연구용?교육 훈련용 등이 있다. 모의장치를 설계?제작하기 전에, 모의할 내용을 결정하지 않으면 모의 환경은 제대로 이루어질 수가 없다. 3. 모의환경은 일종의 학습의 장(場)이다. 학습의 장은 학습자의 행동의 대상으로서 무엇을 설정할 것인가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학습자가 행동의 대상에 대해서 어떠한 신경을 써서 행동하는가 하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이 모의환경을 조성하는 데 있어서 기본적 포인트이다. 4. 행동의 신경회로(神經回路)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행동분석이 행해지며, 그 신경회로에 필요한 학습의 장이 모의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
목표관리 目標管理 management by objectives ; MBO
|
1. 상사(上司)나 부하(部下)가 함께 목적을 확인하고 각자의 주요 책임 영역을 그에게 기대되는 결과의 입장에서 확정하고 부서를 운영하고 각 구성원의 공헌도(貢獻度)를 사정하는 지침으로서 이 기준을 사용하는 하나의 과정 2. 1954년 드럭커(P. Drucker)가 그의 주저인 《경영의 실제》에서, 「목표와 자기통제에 의한 관리」(management by objectives and self-control)라는 용어를 사용한 데서 유래한다. 3. 목표관리에 관한 모든 개념을 체계화한 대표적 학자는 1960년대 후반의 미국의 오디온(G.S. Odiorne), 영국의 험블(J.W. Humble)을 들 수 있다. 4. 학교경영에 목표관리의 이론을 처음으로 적용한 학자는 미국의 크네즈비치(S.J. Knezevich)이다. 그는 1973년에 《목표 및 결과에 의한 관리》라는 소책자를 저술하여, 학교행정가를 위한 학교경영에서의 목표관리 일반체제 모형(一般體制模型)을 제시하였다. 5. 목표관리는 결과에 의하여 평가되고, 목표에 의하여 동기가 부여되고, 또 주로 인사지향적(人事指向的) 접근을 취하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교육의 책무성(責務性, accountability)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즉, 목표 및 성과(결과) 지향적인 경영철학에 있어서 양자는 공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6. 목표 또는 목표달성을 위한 프로그램별 예산체제인 기획예산 제도(企劃豫算制度, PPBS)와도 목표를 강조하는 면에서 공통성이 있으며, 목표수립?집행 및 평가과정에서 양자는 상호보완 관계 속에서 양립할 수 있다.?책무성, 기획예산제도 |
목표모형 目標模型 objectives model
|
1. 교육과정의 구성에 있어서 목표의 설정 및 명료화를 중시하는 이론 또는 접근방법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 2. 목표에 근거해서 적절한 수업방법을 동원하고 그에 일관된 평가 방법을 동원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모형이다. 3.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이 목표모형의 대표적인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네 가지 요소와 절차를 강조 ⑴ 목표의 설정 ⑵ 적절한 학습경험의 선정 ⑶ 경험의 조직 ⑷ 학습성과의 평가 4. 경험의 선정 및 조직과 평가단계는 설정된 목표를 기준으로 해서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강하게 부각되는 모형이다. |
목표영역 目標領域 domains of objectives
|
1. 학교학습에서 다루어지는 학습과제를 그 성취하려는 목표의 성질에 따라 구분하고 분류한 상태 2. 학교학습의 목표영역을 학습 내용의 차원에서 분류하는 방식은 일찍부터 많이 활용된 방식이다. 3. 국어?산수?사회?자연 식의 교과분류는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들 교과를 세부적으로 분류하는 것도 이 원리에 해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4. 이러한 분류로는 수업목표의 명료화를 기하는 데 부족하다는 비판과 더불어 행동적인 측면을 강조한 목표분류 방식이 탐색되어 왔다. 5. 대표적인 것으로는 블룸(B.S. Bloom) 등의 교육목표 분류체계(敎育目標分類體系)와 가녜(R.M. Gagne)의 분류체계이다. ⑴ 블룸 : 학교교육의 목표 : 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체적(心體的) 영역의 세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① 지적 영역 : 여섯 가지로 분류 ㉠ 지식 ㉡ 이해력 ㉢ 적용력 ㉣ 분석력 ㉤ 종합력 ㉥ 평가력 ② 정의적 영역 : 다섯 가지로 분류 ㉠ 감수(感受) ㉡ 반응(反應) ㉢ 가치화(價値化) ㉣ 조직화(組織化) ㉤ 인격화(人格化) ⑵ 가녜 ① 정보 및 지식 ② 지적 기능 ③ 인지전략(認知戰略) ④ 태도 ⑤ 운동 기능 ※ 이 중 지적 기능은 다시 8가지 소영역으로 구분된다.?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정보, 지식, 지적 기능, 인지전략, 태도, 운동기능 |
목표의 구조화 目標―構造化 structure of learning objectives
|
1. 한 학습과제 또는 학습단원의 수업에서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여러 가지 학습목표를 수업해야 할 순서대로 위계화(位階化)한 것. 2. 넒은 의미의 목표 구조화는 한 교과 내의 목표를 수업할 순서로 위계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 방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⑴ 가녜(R.M. Gagne)의 학습과제 분석법에서와 같이 단원의 최종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행해서 학습해야 할 것을 연역적(演繹的)으로 분석함으로써 수직적인 위계화에 의해 목표를 구조화하는 방법이다. ⑵ 학습과제에 따라서는 수직적인 위계성이 없는 과제에 대해 횡적인 수업순서를 정해서 목표의 구조화를 하는 수평적 구조화의 방법이다. ⑶ 수직적 구조화와 수평적 구조화가 복합되어 있는 방식이다. |
목표의 위계화 目標―位階化 hierarchy of instructional objectives
|
1. 한 학습과제의 수업을 통해 학생이 성취해야 할 많은 구체적 수업목표 간의 계열적 순서 2. 여러 가지 수업목표 중 어떤 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꼭 선행해서 학습해야 할 목표가 있다면 그것은 하위적 목표가 되며 처음 목표는 상위 목표가 된다. 3. 이러한 방식으로 한 학습과제의 수업을 통해 달성하려는 수업목표간의 위계적 관계를 찾는다면 목표의 위계화가 된다. 4. 이는 가녜(R.M. Gagne)가 발전시킨 개념으로서, 학교학습을 정보 및 지식, 지적기능, 인지전략, 태도 및 가치관, 운동기능의 다섯 영역으로 분류하면서 이 중 지적기능 영역의 학습을 위해서는 엄격한 학습위계의 원리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다. 5. 목표의 위계화는 주로 지적 기능 학습에 한정되는 것이다. ?목표의 구조화 |
목표지향타당도 目標指向妥當度 criterion-referenced validity
|
1. 목표지향검사(criterion-referenced test)는 문항의 타당성을 표현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으로 검사문항들이 목표의 달성 및 미달성 여부를 어느 정도 충실히 재고 있는지를 나타냄 2. 목표타당도(criterion validity)라고도 하며, 설정된 목표에 따라 가르침을 받은 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학생들 보다 그 검사에서 더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개념으로 이를 추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3. 전통적인 측정이론에서의 타당도 추정 방법들, 즉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준거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그리고 구인타당도(construct validity) 등의 방법들도 모두 목표 지향검사에 적용될 수 있으나 그 방법들이 전통적인 측정이론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목표의 달성 및 미달성에 관한 의사결정을 하는 목표지향검사의 관점에서 적용되고 해석되어야 한다는 차이가 있다. 4. 목표지향타당도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우선 검사문항들이 검사가 재고자하는 내용(즉, 교육목표)을 어느 정도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모든 문항들과 문항제작의 기초가 되는 목표 및 내용간의 대응관계를 논리적으로 분석해 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5. 논리적인 방법이외에도 두 사람 이상의 내용전문가들로 하여금 의도한 목적과 관련하여 문항들의 적절성을 판단하게 하여 판단자들 간의 합치도(예를 들면, 문항-목표 합치도지수, 카파계수, 내용타당도지수 등)를 계산하거나, 피검사자의 반응에 기초해 각 문항에 대한 기대난이도와 관찰난이도의 수준을 비교하여 문항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통계적인 방법들도 있다. |
무상교육 無償敎育 free education
|
1. 교육을 받는 학생에게 일체의 부담을 주지 않고 무료로 하는 교육형태 2. 일반적으로 의무 교육의 실시와 함께 무상교육이 추진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의무교육이 반드시 무상교육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대개 공립초등(公立初等)은 무상화를 실현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다. 3. 무상화의 정보는 해당국가의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형편에 따라 다르다고 보겠으나 최소한 입학금과 수업료의 면제는 공통되는 것으로 보인다. 4. 우리나라의 경우 초등교육은 무상으로 할 것을 규정하고 있으며, 현재 입학금?수업료 면제뿐만 아니라 교과서 무상공급, 육성회비 국고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고 학교 급식도 실시하고 있다.?의무교육 |
무선표집 無選標集 random smapling
|
1. 전집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element)가 한 표집에 포함될 가능성이 동일한 조건하에서의 표집 2. 보다 엄격한 의미에서의 무선표집이란 일정한 표집의 크기 N을 표집할 때, 이러한 크기의 모든 가능한 표집들이 동일하게 표집될 가능성을 가진 조건하에서의 표집을 말한다. 3. 예를 들어 a, b, c, d라는 네 명의 아동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집에서 두 명을 뽑는 모든 가능한 경우는 (a?b), (a?c), (a?d), (b?c), (b?d), (c?d) 중에 어느 하나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가능한 표집상태로부터 어떤 두 명을 무선표집하는 경우는 1/6이 된다. 즉, 두 명씩 표집하는 모든 경우는 동일하게 뽑힐 확률을 가지고 있다. 후자와 같은 무선표집의 정의에 의하여 추리통계적 방법이 유도되었으며, 전자와 같은 정의는 N=1의 표집이라는 특수한 경우가 된다. 따라서 각 사람의 표집이 동일한 확률을 갖지 않는 비대치적(非代置的) 표집(sampling without replacement)도 무선표집이 된다 4.. 실제의 표집과정에서는 무선표집 방법만이 아니라 다른 표집방법을 혼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구별하여 직접적으로 최종연구 단위가 되는 사례를 무선적으로 표집할 때, 이를 특히 단순무선표집이라 부른다.?확률적 표집, 유층표집, 군집표집 |
무의미 철자 無意味綴字 nonsense syllable
|
1. 일상용어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철자로서 주로 언어학습의 기본과정을 찾기 위해 제작된 의미 없는 철자 2. 무의미 철자는 1885년 에빙하우스(H. Ebbinghaus)에 의해 처음 제작되어 기억과정에 관한 연구에 사용되었다. 3.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연구는 초성(初聲)과 중성만을 사용하여 받침이 없는 두 음절의 무의미 철자를 사용했는데 그 예로는 「고띠?뛰카?쓰하?튀쎄?호뀨」 등이 있다. |
무정부주의 無政府主義 [영]anarchism [독]Anarchismus [프]anarchisme
|
1. 국권을 비롯하여 인간세계의 모든 권력체제를 배척하는 사회사상. 사상적으로는 극단적인 개인주의라고 할 수도 있다. 2. 르클류(F. Reclus)에 의한 “각 개인이 바로 전세계의 중심”이라는 말은 이 사상을 잘 표현한 것이라고 보겠다. 3. 무정부주의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고대 사상가나 근대 문학자들의 무정부주의와, 다른 하나는 사회사상가들의 그것이다. 루소(J.J. Rousseau)의 문명비판(文名批判)을 전자의 대표로 볼 수 있고 국가권력의 강제를 부정하고 개인의 자유의지에 의한 무정부사회를 주장하는 것이 후자의 입장이다. 그 근원은 고드윈(W. Godwin)의 낙관적인 개인주의적 무정부주의를 비롯하여 프루동(P.J. Proudhon)?슈틸넬(M. Stirner) 등이 있고 공산주의적 무정부주의자로 바쿠닌(M.A. Bakunin)이 있다. |